추월주행법규에 대한 논쟁(규정속도초과 추월차량에 대한 양보)이 잊을만 하면 달아오르는 군요.

 

관계당국의 운전자들에 대한 계몽은 당연히 해야하는 거니 논외로 치고

 

추월에 대한 법을 분명히 알고 있는 운전자들 사이에서의 애매한 상황에대한 추월 룰을 제가 정해봅니다(희망사항이죠)

구체적인 상황은 내가 추월하려고 추월차로로 주행하고 있는데 앞에 나보다 저속인 주행차량을 만났을때입니다.

앞차도 추월법규는 안다고 가정.

 

뒷차 (추월하려는 차) 행동요령

1. 앞차의 10m후방까지 접근하여 추월의사 표시를 위해  좌측깜박이를 켠다. (비켜줄때까지)

2. 금방 반응이 없으면 클락숀을 짧게 1번 울린다.

3. 5초 정도 후 반응이 없으면 클락숀을 3번 연타로 울린다.

 

추월차로를 달리고 있는 앞차 행동요령

1. 내가 추월중인데 뒷차가 위와 같이 신호를 내면 즉시 오른쪽깜박이를 켜서 가급적 빨리 비켜주겠다는 의사표시를 한다.

(차로 변경 완료할때까지 계속 켜둔다)

2. 이때 하위차로에 차량이 없거나 안전거리밖의 앞에 있으면 바로 하위차로로 내려간다. (후에 다시 추월시도한다)

3. 혹은 하위차로에 차량이 있어서 당장 차로변경이 힘들다면 좀더 가속을 하여 제빨리 추월을 한 후 하위차로로 비켜준다.

(제한속도를 초과하던 이내로 달리던 본인의 선택으로 한다)

 

이때 뒷차의 행동요령

1. 앞차가 즉시 양보의사를 표시하면 위협하지 않고 안전하게 하위차로로 내려갈때까지

안전거리를 유지하며 기다려준다. 비록 앞차의 속도가 제한속도내라고 할지라도요.

2. 하위차로에 저속차가 한대가 아니고 여러대 혹은 행렬이 있어서 앞차가 그들을 추월한 후 양보하려고 한다면

무리하게 양보를 바라지 말고 충분히 안전하게 추월하도록 기다려준다.

3. 앞차가 양보를 마쳤으면 좌측깜박이를 비로서 끄고

고마움의 의사표시를 위해 그 차를 지나친 2초 후(대략 5m전방에서) 비상등을 세번깜박여준다. 

(조작에 따른 위험때문에 클락숀 1번으로 대체 가능)

 

이방법은 제가 애용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제가 추월차건 추월당하는 차건. 요렇게 합니다.

이와 비슷하게 하시는 분들도 계시리라 봐요. 특히 좌측깜박이방법을 많이들 알고 계시잖아요?

제 룰의 핵심은 상황종료전까지 깜박이를 계속켜자입니다.(앞차는 우측깜박이, 뒷차는 좌측깜박이)

즉 뒷차의 경우 앞차가 하위차로로 갈때까지 좌측깜박이를 계속 켜고 있자라는 건데요.

좌측깜박이를 안켜고 있으면 뒤에 또 추월의사가 있는

차가 붙으면 상황이 엄청 애매해지기 때문입니다. 앞에 차가 좌측깜박이를 켜고 있으면 아...저차도 추월하려고 하고

있구나라고 생각하고 기다리자는 얘기죠. 3번째 차가 이를 무시하고 하위차로로 추월한다면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겠죠.

 

(이제 애정남 말투로)

 

단!!! 예외상황. 대도시 출근시간 7시반~9시, 퇴근시간 오후 6시~8시의 고속도로는 추월차로 무시합니다잉. 

다들 급해서 맘같아선 모두다 1차로로 달리고 싶어서 입니다. 그런데 그럴수 없으니 법대로 하자고 하면 서로 피곤해집니다잉.

 

요정도로 하면 서로 기분좋고 안전하지 않을까 합니다(멘트가 이게 아닌데요. 아름다운 어쩌곤데 생각이...)

물론 지키지 않는다고 경찰출동안하죠잉 (추월차로 정속주행은 법위반이지만 출동해봐야 현장단속 안됩니다잉)

 

 

 

그밖의 저의 터무니없는 바램은

1.  추월차로에서의 관계당국의 과속의 소극적 단속 및 약간 눈감아주기

2. 더나아가 추월상황에서의 속도제한 완화 법제화. 100이면 150정도? ㅎㅎㅎ

 

이건 무리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