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음악을 들려주고, 일반인과 음악가의 좌뇌와 우뇌 활동상황을 모니터링 해보면,

일반인은 우뇌가 활발히 작동하고, 음악가는 좌뇌가 활발해집니다.

일반인은 감성적으로 음악을 듣고, 음악가는 분석적으로 듣는 것이죠.

여기서 전문가는,  연주자의 의도와 능력을 인정하게 되면 비로소 감동하게 됩니다.

 

오디오에 깊이 빠진 매니아의 얘기를 들어보면,

처음에는 음악을 좋아하다.. 더 효과적으로 음악을 즐기기 위해 더욱 좋은 음질을 추구하게 되고,

기기를 업그레이드 하다보면, 어느 사이 음악이 아니라 사운드를 더 주의깊게 듣게 됩니다.

음악의 총체적인 가락이나, 가사.. 연주를 즐기는게 아니라 원하는 음향이 나오는지에 집중하는거죠.

 

 

자동차는 어떨까요..

전문가에 가까울수록 분석적으로 차를 대하겠지만, 일반의 경우는 이른 바,

호불호가 크게 갈려, 특정차에 꽂히거나.. 혐오하게도 됩니다.

고정관념이나 자신이 원하는 매력포인트에 큰 비중을 두는 것이죠.

 

차를 즐기는 방법에 따라 이러한 기준점에서 차이가 생긴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신의 취향과 선호도 기준에 맞게 세팅된 차를 소유해 즐기기도 하지만,

어느정도 타협해 좋은점을 취하고 나머지 부분은 자신의 성향에 맞춰 튠 해서

타는걸 즐기기도 하고,  그 차의 개발자를 존중해 자신의 스타일(운전등)을 바꾸어

융화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빠르게 달릴 수 있는 차는 좋은 차일 확률이 높습니다.

각 브랜드 마다 빠른차를 이미지 리더로 내세워 메이커를 어필하는 건 당연히,

그 메이커의 기술력을 대변할 수 있는 척도이기 때문일 듯 한데요..

'빠른 차' 가 있으려면, 출력성능과 내구성..과학적인 완성도 등 기술력의 궁극적인

정점에 더 가까워야 하기 때문에, 메카니즘 측면에서 한결 더 발달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빠른 차, 빠른 드라이버.. 속주하는 기타리스트,  빠른 랩을 소화하는 가수?

말을 빠르게 하는 사람,  빠르게 그리는 화가.. 빠른 축구선수, 스키어나 스케이터..

움직이는 모든 빠른것들은,  그에 비례하여  '감동의 폭'도 클까요..?

 

속도의 미학을 요구하는 모든 분야에서는 물론, 단지 최고로 빠른게 어느정도 감동을 줄 수도 있습니다.

누군가를 감동하게 만드는 건  아마도 세상의 모든 분야에서 가장 큰 가치임이 분명할겁니다.

때로는 빠르다는게 감동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을 차지하진 못합니다.

모든 감동은 '공감'에서 시작 되는데, 공감을 위해서는 시간과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빠른것만 추구하다 보면, 이러한 공감의 코드를 놓칠 수 있게 되겠죠.

 

 

 

나가수에서 큰 감동을 주었던 임재범의 노래는, 고음이나 절정에서 음이탈이 일어나기도 하고..

이로 인한 진정성과 호소력이, 깔끔하고 완벽하게 잘부르는 가수보다 훨씬 큰 감동을 주었습니다.

위대한 기타연주가의 손가락 움직임은 스트링이 흔들리는 순간 감동을 주기도 하고,

인상파 화가의 거친 붓터치에서 감동을 느끼게도 됩니다.

그 외에도 어떤 대상에 매료되기 위해선, 차분히 바라봤을때 드라마틱한 스토리가 필요한데..

그걸 발견하기 위해선 여유있게 바라보는 시간성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완벽함이란 어찌보면, 미완의 미학을 내포하고 있을때 더욱 매력적일텐데..

기계공학의 결정체이자 삶의 감성을 반영한 자동차는, 하나의 종합 예술품이라 볼 때

분석적인 평가의 대상으로서와  감성적인 대상으로서의  어느 부분 쯤에서 그 매력포인트를

찾는 것이, 소중한 관점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가끔은 우리가 차를 바라보고 즐기는데 있어,

지나치게 좌뇌만 사용하거나..

지나치게 우뇌만 사용하는게 아닌지  돌아보게도 됩니다.

 

 

 

 

깜장독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