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넥스젠입니다..

 

 

이번 5월 13일 영암 F1 써킷 번개에 참가해 작년 11월, 금년 4월8일에 이어 세번째로 제대로된 써킷을 체험했습니다.

. 작년 첫 체험 관련 글 : http://www.testdrive.or.kr/index.php?document_srl=1249852

. 금년 4월 두번째 체험 관련 글 : http://www.testdrive.or.kr/index.php?document_srl=1355736

 

 

작년 11월 이후, 세번에 걸친 써킷주행을 하면서 써킷주행을 위한 제대로 드라이빙 교육이라던가 하는건 없이 그냥

무작정 써킷에 가서 경험을 하는 방식으로 체험을 했습니다.

 

항상 그렇듯이 같이간 일행들에게 잠깐씩 귀동냥으로 들은 것이 전부이고 또 영암관련 동영상보고 머릿속으로 연습해

보긴 했지만, 세번째인 만큼 조금더 익숙한지라 좀더 즐겁게 즐기다 올 수 있었습니다.

 

잘 타시는 분들의 입장에서는 아직도 어설픈 수준의 초보 드라이빙 영상이겠지만, 저처럼 써킷을 처음 내지, 두번째~

세번째 이렇게 차근차근 경험해보는 분들께서는 나름 재밌게(?) 보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하며 공유를 해보고자

합니다.

 

그동안 차량의 하드웨어에 조금씩 변화를 줘가면서 트렉에서의 랩타임 비교도 해보고 나름 트렉을 위한 하드웨어들의

특성도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제 보다 본격적으로 트렉을 즐길 수 있게되지 않았나 합니다.

 

아래의 표는 세번에 걸친 트렉체험기간 동안 차량에 변화를 준 부분에 대한 정리입니다.

 

영암자료.jpg

 

※ 아직 ECU셋팅이 되어있지 않는 차량입니다.

 

이번에 영암에 가기전에 18인치e92 M3 순정휠과 한국타이어 R-S3를 끼우고 간게 가장 큰 변화이구요, 이번에 주행하면서

처음으로 M버튼을 사용하게 된 것이 또하나의 큰 변화입니다.

R-S3는 앞쪽은 245-40-18, 뒷쪽은 수출용으로만 있고 국내에는 순정사이즈가 없어서 275-35-18을 사용했습니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20120502_134728.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20120511_184008 (1).jpg

 

아래사진은 네번에 걸친 트랙주행후의 타이어 모습입니다. 조금 과장해서 걸래가 됐네요.... ^^;;;;

 

크기변환_크기변환_20120513_170423.jpg

 

작년 11월 첫 영암서킷 체험시 1분 39초대, 금년 4월 두번째 영암서킷 체험시 1분 36초987, 이번 5월13일 세번째 영암서킷

체험시 1분 33초 897 이 베스트랩 입니다. (두번째, 세번째 모두 폰더사용하였습니다.)

 

아래는 이번에 타고온 동영상입니다. 베스트랩은 5분40초 정도부터 시작되는 랩입니다.

(화면크기를 최대로 해놓으시고 스피커 소리를 키워서 보시면 실감납니다. ^^;)

 

http://youtu.be/wRz2-bP_Lw8

(동영상 바로걸기가 안되어 링크로 대신합니다.) 

 

아래는 이번에 참가한 차량들의 사진입니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20120513_100209.jpg

 

동영상을 올리지 않은 나머지 세번의 주행을 포함하여 총 50 Lap 정도 주행한거 같은데요... 항상 느끼는거지만 달려보면

달려볼수록 빠져드는것 같습니다.

 

작년 11월 첫주행 대비, 지난달 두번째 참가 주행에서 Daily Best Lap Time을 2초이상 단축하여 만족스러웠던 시간이었

는데, 이번에 또다시 3초이상 추가단축을 하게되어서 보다더 즐겁고 보람찬(?) 시간이었던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하드웨어에 대한 체험후기를 몇자 적어보자면,,,

 

1. 타이어 : 한국타이어 R-S3는 트렉진입후 풀주행 5~6바퀴 이내에서 베스트랩을 찍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이말은 타이어가 세미슬릭이다보니 일상에서 제차에 끼우고 쓰고있는 RE-11, PS2 등 일반 공도용 타이어 대비

                    트렉에서의 그립력은 확실히 더 낫습니다. 단, 5~6바퀴 정도 타면서 타이어가 열을 받게되면 그이후의 주행에

                    서는 쿨링없이 계속 탄다면 쉽게 말해 정신못차릴 정도로 다른 타이어같이 느껴집니다.

 

2. 브레이크 : 1년에 한두번 정도 트렉을 체험하시는 정도라면 페로도 DS2500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되며, 좀 자주 트렉

                        을 다니실거면 빅브레이크 장착을 고민해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그리고, 브램보의 순정패드인 HP1000은

                        계속되는 트렉의 과격한 브레이킹 반복에도 변함없는 신뢰감을 보여줍니다. 욕심같아선 HP1000이 다 닳으

                        면 DS2500으로 가게 될거 같습니다.

 

3. 스테빌 : H&R 스테빌을 장착한 이후 좌우 롤링감소로 트렉주행에서 안정성이 많이 향상되었던 바, 트렉을 생각하시는

                    분이시면 꼭 하시길 권해드리는 아이템입니다.

 

트렉주행이라는 것이 어찌보면 부담스럽거나 멀게 느껴지실 수 있는데요... 저도 그랬듯이 청바지에 장갑하나 끼우고

즐기실 수 있는 만큼 이제는 조금만 알아보면 큰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세상이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기회가 점점 많아지는 만큼, 보다 많은 회원분들께서도 즐기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보아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