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제목은 거창하지만, 차에 대한 생각을 개략적으로 정리해 보고자 글 써봅니다.
차에 대한 경험은 누구나 조금씩 달라서, 너무나 다양한 관점을 갖고 있습니다.
드라마나 영화에서 PPL 이긴 하지만, 캐릭터의 아이덴티티를 대변하는데 적극적으로 쓰이는걸 보면,
차의 자기화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인거 같습니다. 신사의 품격에서 장동건의 벤츠 M클라스가 나왔을때
'모야 이거.. 부유한 건축가가 주인공이야.' 했는데, 애칭까지 부르며 쩔쩔매는 동건의 모습에 그만.. 씨익~하고
웃음짓게 됩니다.
70년대 남성심벌인 스티브맥퀸의 영화 '블리트'에서 64년형 머스탱을 보면, 별로 비싸지도 않은 물컹한
스포츠카인데도, 터프하고 남성적인 매력을 물씬 풍겨 매혹적으로 느껴지고.. '남과여'의 67년형 머스탱을
보면, 두사람의 애잔한 사랑이 오버랩 되어 로맨틱한 감상에 젖게 됩니다.
본아이덴티티에서의 낡은 쿠퍼는 미천한 성능임에도 고성능으로 느껴지고, 로보캅에서의 무광 토러스는
엄청난 미래형 패트롤카로 여겨집니다.
현실로 돌아와..
06년에 포르쉐 월드로드쇼에서 처음 포르쉐로 서킷을 달리면서 느꼈던 감정은,
" 당신들은 곧 포르쉐 바이러스에 감염될 것이다.." 란 인스트럭터의 말과는 달리, 덤덤했습니다.
1억4천짜리 카레라S 로 강력한 횡G 를 느끼며 코너를 돌아가는데..
"음..적당한 1,2 천짜리 국산차나 일제,외제 중고차를 사서.. 욜케 졸케 보강하고 튜닝하면 이런느낌
충분히 낼 수 있겠다.." 란 생각이 먼저 들었습니다.
다른 좋은 유럽차를 타봐도 그 느낌은 별반 다르지 않더군요.
단지.. 특별하고, 새롭다.. 나만의 캐릭터를 살려주는거 같아 내가 특별해진 느낌이다.
요런 기분이 들었습니다.
미천하고 알량한 레이스 경험과, 나잇살때문에 조금 오래 차를 탔다는걸로 보는 관점이 다른걸까요.
그정도의 얄팍한 과학적 마인드를 가진 제 입장에서도, 자동차의 주행성과 운동성을 좋게 해주는건
별로 어렵지 않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차가 달리는 환경과 타겟오너의 니즈에 따라 차의 컨셉이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는 생각이였죠.
최근 십여년 간 국산차는 비약적으로 발전했습니다.
공학의 발전과,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의 발달.. 정보나 트렌드의 전파속도가 엄청나게 빠르고 정확해
진것도 있지만, 학구적이고 차를 좋아하는 전문인력이 대거 투입되어 왔고, 인풋 아웃풋 속도가 좋아
졌기 때문입니다. 이곳 테드만 해도 많은 자동차 연구원이 들여다 보고, 소비자인 매니아의 얘기를
겉귀로 듣더라도 알게 모르게 동기부여 하는 면이 많을 겁니다. 십여년 전만 해도 꿈도 못꾸던 일들이
가능해진거죠.
유럽차들이 실제로 주행성과 운동성이 좋기도 하지만, 벤츠, BMW, 아우디이기 때문에 좋게 여기는
부분도 있습니다. 같은 말도 누가 하느냐에 따라 명분이 분명해지기도 하고, 똑같은 행동도 누가 하느냐
에 따라 옳고그름의 척도가 되기도 하는데, 역사와 전통이 깊은 메이커가 하는 세팅이니 이게 좋은거야..
로 느끼는 점도 많다는 것이죠.
십여년 전만 해도, 미국차의 꿀렁꿀렁한 느낌을 좋은 승차감으로 인식했던 국내 오너들이.. 유럽 빅스리가
상륙하면서부터는 인식이 바뀌어 갔습니다. BMW 는 너무 딱딱하고 뻑뻑해.. 하고 불평하던 오너들이,
그게 좋은거라고들 말하기 시작하니, 점점 그렇게 세뇌되어 갔지요.
승차감때문에 편평비가 높은 휠타이어를 쓰던 국산차의 휠이 점점 커져갔고, 간지를 중요시 하기
시작했습니다. 아마 요즘은 모든 브랜드 중 휠과 편평비가 제일 크지않을까 싶네요.
(빨리도 적용하는 국산차..ㅋ)
출력이 떨어진다.. 라는 속성도, 그쪽에 연구인력을 대거 투입해 수년에 걸쳐 노력하더니,
이젠.. 어지간한 명차와 비교해도 배기량당 출력이 우위에 서게 되었고, 효율성도 밀리지 않게
되었습니다. 엔진을 얻어 심던 일본 메이커에게 역으로 수출하게 된것도 대단한 일이죠.
이런걸.. 이렇게 짧은 기간에 가능케 한것은, 울나라 사람들의 교육열과 무대뽀 정신에서 비롯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외국인 유명 디자이너가 국산차 디자이너들에게 일정기간 안에 리뉴얼을 요구한 디자인이,
절반도 지나기 전에 다 해버려 깜짝 놀랐다는 얘길 들었습니다. 외산차 메이커에선 일년이 걸려 할
프로젝트를 두세번이나 수정하고 다양하게 제시할 역량이 된다는 얘기죠. 엔지니어들도 마찬가지..
이렇게 짧은 기간에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이유는, 여러번 시행착오와 과정을 만들어내는 우리나라
사람 특유의 빨리빨리 정신이 적용된 때문이라 보여집니다.
이는.. 소비자의 니즈만 주어지면 얼마든 해 낼 수 있다는 반증인 듯 싶더군요.
국산차가 세계 생산 1위를 하는건 제 관심 밖이지만,
브랜드 이미지가 더 올라 가려면 남은건.. '다양한 자동차 문화' 밖에는 없고, 이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동차 선진국의 위상 중 제일 무서운 건.. 수백년 된 건축물이 그대로 도시에
존재하고, 리뉴얼 되고, 보존 된다는 점 입니다. 그들의 역사의식과 미학과 철학적 전통이, 가장 무시못할
첫번째 가치관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환경과 리싸이클링에 대한 앞선 마인드도 우리가 한참 따라잡아야 할
과제인듯 싶고요..
그러려면.. 국산차에 대한 애정어린 질책도 당연히 필요하지만,
우리가 누리기 비교적 편한 우리네 자동차 문화를 스스로 만들어내고, 사랑하고 보존할 의무가 차를 사랑하는
매니아들에게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메이커에서도 신경 써야할 일 같고요.
단종된지 십년만 넘어도 그 차 동호회 마저 생존키 어려운 우리네 얄팍한 자동차문화.. 잘~ 하는건 별얘기 없고,
조금만 못하면 무조건 까대는게 미덕인 우리네 정서로는, 어쩌면 가장 중요한 미덕인 '자동차 문화'가 회의적인
요소로 영원히 남게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섵부른 제생각엔 아마도..
수십년 된 국산차 동호회가 유럽이나 미국에서 먼저 생존하고 지켜나가게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냥.. 글 쓰다보니 생각들게된 얘기지만요.
깜장독수리..

그 얄팍한 자동차문화가 빨리빨리정신에 기인하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그 빨리빨리정신에 다수의 개발자들의 자기희생(투자하는 노동력 대비 형편없는 대우)이 있겠지요.
결국 깊이있는 문화는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봅니다.

저는 과연 '문화' 가 교육으로 만들어지는 건지.. 또는 '문화' 가 수도권에 서킷 만들어주면 생길지에 대해 진지하게 의심하게 되었습니다. 정말로 '얇다.' 라는 생각이 새삼 듭니다.
깜독님 세대가 몽산포 뻘밭에서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 레이싱 분야에서 고군분투(?) 내지는 악전고투하고 계신 분들 노력에도 불구하고 .. 저변확대는 정말 눈꼽만큼 된 것 같습니다. 오히려 운전자 인구 대비? 혹은 자동차 산업 매출액 대비? 는 줄었다고 보입니다.
정말 이십년전 실물 보기도 어려웠던 수퍼카들이 즐비한 요즘.. 그 시절 지하철을 타고 시내에 나가 철 지난 외국 잡지를 사서 보면서 제원을 외우고 상상의 나래를 펴던 그런 매니아들의 후배들은 그냥 Youtube 만 몇 번 클릭해도 전설들이 운전하는 동영상을 업드려서 구경할 수 있는 시절인데.. car show 도 마스터가 처음 했던 규모와 수준이 그냥 유지되고 .. 다른 이들에 의해 전파되어 이렇게 십년이 흐르면 여러 개의 car show 가 생기고 track 주행도 자주 할 줄 알았는데..

우리나라 자동차 회사들이 왜 독일차들 만큼 뛰어난 주행성을 못가질까.. 에 대한 답을 저는 이런 기본적인 '인프라' 가 부족하구나.. '인적 자원' 이 부족하구나.. 하는 생각을 합니다. 테드 회원 전부를 다 채용해도 국산메이커 현대, 기아, 쌍용, GM 대우, 르노 삼성에 근무하는 직원수의 10%도 안될겁니다. 그나마 회원자격을 가진 14000명 중 평균적인 독일사람 수준으로 자동차에 열정내지 관심을 가진 사람은 몇 % 일까요...
테드가 전부는 아니지 않냐? 라고 할 수는 있겠지만 오랜 커뮤니티 생활을 통해 느껴지는 건 우리나라에서 자동차가 그냥 '이동수단'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인구는 1만명 근처인 것 같고.. 그 중 '초 하수' 수준의 지식을 넘어서게 갖췄다고 판단되는 건 2천명이나 될까...? 싶습니다. 5천만 인구 대비 보면 정말 극소수이고.. 늘지도 않는 것 같습니다. 그 2천명 남짓의 수준은 인터넷이 발달하고 수입차가 들어오면서 무척 높아졌다고 보입니다만.. 그 種의 生存에 대해서는 염려스럽기 그지 없습니다.
십년쯤 후에 우리 애들이 '글쎄.. 힐앤토? Slow in? 옛날에 우리 아빠는 그런 얘기 했던 것 같은데.. 요즘도 그런 것 하는 사람이 있어? 근데 새로 나올 ipad 는 어때?' 하는 모습이 쉽게 상상되는 건 왜일까요?

글고보니 인터넷이 변태적인 모터리제이션을 부추기기도..ㅎㅎ
유럽이나 미국과 달리, 생업에만 열심인 우리 부모 세대들이.. 여유있게 자기차를 손보고, 주말 서킷을 찾고하는 수준에 다다르지 못했기 때문이겠죠. 결국 필요한 과정이였습니다. 우리 아들딸 들은 차를 매만지고, 즐기는 우리를.. 조금씩 관심있게 보고 있어 보입니다.
94년 에버랜드 스피드웨이(당시 용인모터파크로 명명) 오픈 첫 경기때 나눠준 팜플렛의 자료가 아직도 생각납니다. 경제력에 따른 스포츠의 관심도죠.
1) 축구 야구 경기관람.
2) 낚시, 등산, 골프 즐기기.
3) 스쿠버다이빙 스키, 등등의 레저 스포츠.
4) 자동차레이스. 스카이 다이빙..
5) 모험, 오지탐험..
선진국들의 자동차 역사를 가만히 살펴보면, 거의 정확히 위의 순서에 준합니다.
우리나라는 비로소 지금부터인거죠.

교육의 의미는, 공교육만 의미하는건 아닙니다.
잘사는데만 혈안됐던 부모세대의 책임부터 시작되는거죠.
그시대엔 그게 미덕일 수밖에 없었지만, 이젠.. 두루두루 살필 수 있는 세대가 된거 같습니다.
모터라이프의 다양한 가치를 인정하고, 유심히 서로 지켜보는데서 시작될거 같아요.

요즘 어린이들이 즐겨보는 만화 두가지가 하나는 현대 하나는 기아 협찬이라고 하더군요,
실제로 쏘울이 만화 캐릭터로 나온다고.....어린이들이 그렇게 좋아 한다고.....
훗날의 현기차의 문화를 만들어간다면 좋은 현상 같습니다~~~^^
모 차는 운전하는 사람이 만족하면 그냥 거기서 ㅇㅋ인데.....
자신의 생각과 다른 선택이나 의견을 부정하다보니 논쟁이 생기는 것 같아요...ㅋㅋ
최근 경험한 자동차 발전사중에 가장 충격적이었던게 젠쿱이었습니다. 인터넷 뿐만이 아니라 실제로 봤던 F/L전의 젠쿱의 하체는 "현대가 저차를 왜 만들었을까" 였는데 최근에 F/L된 젠쿱을 타고 헉! 소리가 날정도로 개선.....이아닌 발전이 있더라구요. 현재 출시되는 차중 신형 젠쿱만큼의 하체 성능을 보여주는 차는 드물것 같다는 생각도 들구요(물론 순수하게 스포츠 주행감...) 구형 젠쿱은 약간의 경사에 비스듬히 주차/통과할때 한쪽 바퀴가 떠버릴정도의 세팅을 보여주던데 신형젠쿱은... 기변의 욕구를 살짝 불러일으키더라구요. 가격도 의외로.......저렴(?)한거 같구요.
저 역시 차를 많이 접해보지 않았고, 운전경험도 이제 7년차이지만, 7년 사이에 한국 자동차시장은 엄청난 발전을 한거 같아요. 물론 일반인들은 대다수의 테드 회원님들과 같이 "자동차=머신"의 개념이아닌 "자동차=패션 소품"의 아이콘으로 생각하고 그쪽으로 자리잡는게.... 결국엔 일반인들의 인식차이 아닐까 싶습니다. A사에서 시작된 "화려한 신차 발표회" 덕분에 신차 발표회는 "문화의 아이콘"으로 자리잡고, 그 주인공인 차는 "문화의 아이템"이 되어가는게 매니아 입장으로써 슬픕니다. 그래서 그런지 화려한 최신모델보단, 예전의 각진, 기계적인 차들이 더끌리네요 @>@

동감합니다. 한국차 좋아용. ^^
전 독일에 거주하니 상대적으로 수리비가 져렴한 독일차를 탈뿐, 한국에 가면 한국차 탈거예요.

이종권님이 댓글에 언급하신 "種의 生存" 여부는 개체의 짝짓기에 의해 모든게 결정되는 것 같습니다.
무한한 여유자금을 운용할 수 있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결국 결재권자의 허용범위 안에서 살게 되니 말입니다.
에혀

제가 테드 가입하고 제일 좋은 글인것 같습니다^^
시간이 갈수록 전반적인 자동차 문화가 발전하기 보다 돈벌이가 되는 일부 형태만 왜곡되어 일반인들에게 전파되고 있는거 같고(대표적으로 오일 교환의 문제), 매니아들과 일반 오너간의 간극은 더 커져만 가는 것 같아서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국산차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디자인의 차가 스쿠프 터보 후기형입니다..
가볍고 혼자 타고 다니기 딱 좋고......직선과 곡선이 적절하게 조화 되어 있고...^^
근데 요즘은 정말 운전하면서 주행하는 스쿠프 구경하기 정말 힘드네요...
우리가 우리것을 스스로 무시하고 괄시하는 문화가 바뀌지 않는 한....
한국 사회가 60년동안 급 발전하면서 MB(맨붕) 대통령의 돈되면 무조건 부수고 밀어부치는 삽질부터 시작해서
점점 우리의 전통은 없는 시멘트 덩어리 도시로 변하는것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단종된지 십년만 넘어도 그 차 동호회 마저 생존키 어려운 우리네 얄팍한 자동차문화.. "
좀 더 시간이 흐르면 언젠간 바뀌겠지만......글쎄요....=ㅂ=;;
제 78년식 924가 아직도 굴러 다닐 수 있는건 현기차와 다른 포르쉐 바이러스의 포르쉐이기 때문이죠..
K9이 CF에서 명차의 기준을 말하는데....
20년 뒤에도 K9의 부품을 신품으로 구입 할 수 있다면.....
K9의 현기차는 명차의 기준에 근접 할 것이라 생각되지만......
오래된것을 과감히 버리는 기업 문화에 과연..???

스쿱이 당시엔 무지 둥글고 유선형이라 생각했는데 지금보면 굉장히 네모낳더라고요.ㅎㅎㅎ
십년전쯤 국산 디젤터보 키트로 튜닝해, 성능 올려 즐기던 골수 동호회등이 있었는데, 비기(?)전수들 안하고 전화동호회로 바뀌면서 명맥을 유지하지 못하는거 같습니다. ㅋ
스텔라나 포니.. 프레스토등 지난 이름 써서 향수를 불러일으키면,
아마도 새로운 수요가 일어날지도 모를거 같습니다.
아빠가 타던 차를 내가 탄다.. 이런 잇슈로. 냠..
생각해보니 현대가 감성적인 이름을 많이 썼군요. 대우는 로얄, 프린스,제미니..넘 딱딱하네요.
노스탤지어가 없어..음..

전 반대 의견 내봅니다... 라고 쓸 수 없는 내용이네요... ^^
요즘 유행하는 "마음만은~~~" 유행어가 생각납니다...
마음만은... 하지만 현실은...
운전과 자동차에 대한 전반적인 의식이 좀 더 높아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다 보면 자연스레 무개념 운전자나 사고들도 줄어들겠죠...

ML(베티인가요?)을 타는 미래를 꿈꿉니다.
일은 안하고 휠 바꾸러 다니고 풀배기 짜러 다니는 모습이
먼저 오버랩 되는 게 문제.. ㅋㅋㅋㅋ
카라이프 경험과 차에 대한 관점이 남들보다 매우 앞선 것(오타쿠에 가까운..)이
많은 것을 얻은 것일까요, 잃은 것이 많은 것일까요..
해답은 좀 더 살아봐야 나올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제가 고등학교 때 공부를 좀 열심히 했더라면..
하는 뼈아픈 후회를 지금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조금씩 변하리라 생각합니다.
메이커사에서도 현 시장을 주시하고 있을거라 생각도 들고, 외면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예전에 비하면 정말 많이 자동차와 관련된 모임이 많지요.
저는 굉장히 흥미로운 것이 국산 신형 모델이 나올때 마다 새로운 동호회가 신차 출시전 또는 신차 출시 후 정말 순식간에 생기는 현 시장의 반응이 더 놀랍습니다. 회원수도 급격히 늘어나더군요.
그로 인한 환경에서 소비자와 메이커사 간의 피드백도 있을테구요.
조금씩 변화의 바람이 불거라 긍정적으로 봅니다.
좋은 글 언제나 잘 보고 있습니다..^^
요즘들어
"다 한때였나봐..." 라는 얘기를 자주 듣고 심히 공감도 됩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포르쉐 터보를 1000마력 오버로 만들겠다고 배기량 4.0으로 늘리고 크랭크샤프트 밸런스 가공을 독일에서 했다는둥...
튜닝이 얼마나 돼 있는 건지 감도 안올 정도로 보이는... 35GTR도 그냥 순정은 못타시는 분 에다가... C63에 슈퍼차저를 올리고 있는걸 보면...
아직 우리나라에 희망은 있어보입니다 ㅋ
아직 많은 차를 접해보진 않은 저로선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글이었습니다.
테드회원들 같이 다양한 가치를 서로 인정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져야 할텐데요.
글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