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이번 주말 Great Canadian VW Show 를 맞이하여
바쁘게 지내고 있는 캐나다 회원 양우람입니다.
올해는 폭스바겐이 캐나다에 진출한 지 60주년 되는 해 이고, 카쇼는 21년째로,
많은 참가자가 올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어제 밤 그 전야제 격인 드래그 이벤트에서 황당한 일을 겪어서 질문 올려봅니다.
일단 동영상을....
왼쪽 레인이 와이프의 GTI(운전은 제가..^^)
오른쪽은 순정으로 보이는(서스는 했더군요) 역시 6세대 GTI인데요,
esp off, 기어는 S.. 스테이징에서 브레이크 밟은 채로 푸락셀하고 대기.. 분명 런치 컨트롤을 쓰고있었는데,
rpm이 1500 정도에서 홀드 되면서 더 이상 안올라가더군요.. 마치 D모드에서 스톨스타트 하는 분위기..
결국 동영상에서처럼 스타트가 늦어.. 김빠진 주행이 되었는데요..ㅜㅠ
혹시 DSG나 DCT 미션에서 이런 증상 겪어보신 분 계시는지요?
예상되는 원인은.. 밤에 기온이 떨어진데다, 타 차량 트러블로 트랙이 정리될 때까지 시동을 끈 채 기다려야했고,
미션오일 온도가 충분하질 않아서 TCU에서 부뤡을 걸은게 아닌가 싶고요,,
아니면, 그 전 주행에서 어리버리 하다가 D 모드에서 런치를 시도했는데, 그 때 1500rpm 에서 스톨 스타트 된 것이
컴퓨터를 헷갈리게해서 1500rpm 에 제한이 걸렸던 건가 싶습니다.
그 이후로 런치컨트롤 준비 과정까지만 몇 번 테스트했는데요, 테스트할 땐 되던 것이, 마지막 주행 때 스테이징에서 또
1500rpm 까지만 올라가는 이넘의 무대 울렁증!!
그대로 출발할 수는 없어, 결국 출발 타이밍을 놓치더라도 악셀 내려놓고 그자리에서 다시 시도했더니 이번엔 제대로 되더군요.. 헐..
이 때 옆에 달리던 4세대 GTI 1.8T 튜닝카보다 2.2초 가량 늦게 출발했는데도 쭈와악 따라가서는 마지막에 0.07초 차이로 피니쉬... DSG+TSI 가 무섭긴 무섭습니다..^^
그리고 동영상을 보면, 출발이 워낙 안되었기 때문에 옆 차보다 느렸을 것 같지만, ET결과는 옆의 6세대 GTI보다도 0.156초 빠르더군요.. 늦게 출발했는데 쭈욱 따라갔음당.. (옆의 차는 수동이 분명한듯 합니다.)
타이어 압 조절, 연료통 좀 비우고서 노면 온도 좋을 때 시도하면 "기록 내기 게임및 실험"으로는 DSG만큼 재밌는 게 또 없을 것 같으나..
수동으로 드래그 할 때에 비해 두근거림은 1/10 밖에 안되는듯 합니다. 게다가 이것저것 복잡해서 자꾸 잊어버리구 이렇게 가끔 작동도 안되고 하니.. 역시 옛 것이 좋은 것이라는 생각도 드네요.
기계와 컴퓨터가 너무 많은 것을 통제하는 차는.. 저랑은 참 안맞는듯 해요^^;;;
이상 DSG 질문으로 시작해서 이상하게 마무리된.. GTI 드래그 후기였습니다.
제가 예전에 MkV R32 탔을때는 우선 미션 온도가 적정 온도에 올라갔을 경우에만 LC가 먹혔습니다. (약 15분 가량 주행이후). 그 후에도 안먹히면 스탠딩 상태에서 브레이크 끝까지 밟고 여러번 움쯜~움쯜~ 거리며 악셀 때리면 결국 먹혀 들어갔던 기억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아 그리고 R32의 경우에는 S모드 에서 LC사용해서 launch하는게 훨씬 유리했습니다. 이유는 S모드 같은 경우 1단에서 레드존을 지나 7000rpm에서 자동 시프트 되었지만, 메뉴얼 모드경우 6500rpm에서 변속 레버를 안때리면 자동으로 레드존 전에 업시프트를 해버렸기 떄문에 1단에서 손해가 있었습니다.

ㅎㅎ전 칩튠한지 반년이 넘도록 런치스타트도 한번도 안해보고,
최고속 test도 안해봤네요......오늘 생각난 김에 함 해봐야 겠어요...ㅋㅋ
아참, 마지막 사진 오른쪽의 CRX SI와 그 앞 파사트 v6는 여자 운전자였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