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얼마 전 540i를 처분했습니다.
이사 온 아파트에 주차 공간이 넉넉치 않은 데다가 차를 두 대 관리한다는 게 게으른 저에게는 참 귀찮은 일이더군요.
마음에 켕기는 부분이 있으면 바로 해결을 봐야 하는 성미라 참 피곤했습니다.
540i의 경우 엔진/미션 상태는 매우 좋았지만 하체 일부 등등 손을 봐야 할 부분이 좀 있었죠.
그렇지만 수리 및 세팅이 끝난 뒤에는 너무도 재밌고 행복하게 타고 다녔습니다.
그르렁거리는 V8 배기음, 앞서 가는 차들을 잡아 끌면서 달려나가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토크...
그 중 제일 마음에 들었던 것은 탄탄한 하체입니다. 덕분에 미국서 공수한 빌스타인 HD의 팬이 되었죠.
휠은 순정 17인치, 타이어는 아드레날린 RE001이었는데 바닥에 깔린 레일 위를 지나가는 듯한 그립도 너무 좋았습니다.
테드에서 본 어느 댓글에 이런 내용이 있더군요. '국산 차에 아무리 돈을 많이 들여도 독일 차 승차감은 못 낸다.'
그 말을 제대로 실감하게 해 준, 고마운 차입니다.
그에 비해 '01년식 뉴EF는 정말 편한 차입니다. 540i가 $300~400대의 호텔이라면 뉴EF는 집 같습니다.
4년 간 알터네이터랑 흡기 가스켓, 등속 조인트 갈아준 것 말고는 문제도 없었고요.
전 차주가 거의 안 타던 차라 예방 정비 차원에서 타이밍 벨트 등등 갈아준 뒤로는 더욱 마음이 편안합니다.
밟든 안 밟든 항상 10.5~11km/L가 나오는 연비도 참 신비롭고요.
1.8 DOHC라 힘이 좀 딸리고 자동 변속기도 4단인 데다가 하체는 헐렁하기 그지 없지만...
직접 설치/세팅한 카오디오의 음질이 왠만한 차의 최고급 오디오 옵션보다 훨씬 좋다는 데서 엉뚱한 위안을 찾습니다.
그런데 정신을 차려 보니 어느 새 정신없이 차 정보를 검색하고 있더군요.
게다가 540i을 경험한 뒤라 전보다 훨씬 시야가 넓어져서 후보들도 많아졌습니다.
깡통 뉴EF와 풀 옵션 540i를 번갈아 타다 보니 원하는 옵션을 샥샥 골라내는 피곤한 안목도 생겼고요.
결론적으로 마음에 드는 차를 찾아 구입한 후 뉴EF를 팔고 1대만 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참고로 아래 차량들은 모두 2011년식 중고를 기준으로 살펴본 내용입니다.
1. 골프 GTD/TSI
- 장점: 연비, 탄탄한 하체, 운전하는 재미, TSI의 경우 후보군 중 경제성이 뛰어난 편임
- 단점: 외제차 유지/수리비(워런티 종료 후), 악명 높은 공식 AS망, 왠지 불안한 DSG, 빈약한 옵션, 다소 높은 보험료, 해치백이라 귀엽지만 왠지 짐을 싣는 트렁크 공간과 캐빈은 구분이 되었으면 하는 막연한 생각
6세대 GTI를 타 봤을 때 그냥 괜찮다 정도의 느낌이 있었는데 지금 아니면 언제 골프 타 보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특히 GTD의 경우 막 밟아도 연비가 잘 나온다는 얘기가 많아 자꾸 눈에 들어오네요.
또 주변에 TSI 타시는 분이 있는데 DSG에 적응이 좀 어려웠다는 얘기 말고는 연비/힘 모두 좋다고 합니다.
그러나 DSG가 마음에 걸립니다. 왠지 저는 그냥 편한 오토 미션이 더 마음에 드네요.
어느 분은 정식 센터 미캐닉에게 제대로 고쳐진다는 보장이 없는 수리=1000, 신품 교환=2000이라는 말을 들었다고...
수리비가 전부 그렇게 비싼 건 아닐테지만 AS망이 빈약하다는 점이 참 마음에 걸리네요.
그렇지만 하체는 정말 끌립니다. 골프용 빌스타인 HD도 있더군요. :)
2. K7 3.0 GDI
- 장점: 괜찮은 힘, K5 하이브리드와 비교해서 10kg밖에 안 무거움, 풍성한 옵션, 나름 멋진 디자인, 넉넉한 실내
- 단점: 거의 혼자 타는데 차가 많이 큼, 비싼 자동차세, 좀 비쌀 것 같은 수리비, 좋아하는 쥐색 차량이 거의 없음
지인분이 K7도 한 번 알아보라고 하셔서 살펴봤는데 꽤 괜찮은 것 같습니다.
YF의 곤충룩은 정말 용서가 안 되고 HG는 그보다 낫지만 그래도 제 눈에는 K7이 더 멋져 보이네요.
가끔 부모님 모시고 식사를 하거나 지인들 태우기에는 최적의 차가 아닌가 합니다.
그런데 중대형치고는 소음 유입이 많은 편이라는 얘기가 있네요. 문짝 방음이야 직접 하면 되지만...
구입한다면 오디오는 디멘션 혹은 JBL이 장착된 놈을 살 겁니다.
경제성을 보면 5년 탄다는 가정 시 GTD와 더불어 총 비용이 제일 많이 나오네요.
3. K5 하이브리드/터보
- 장점: 가장 무난, 국산 중형차에서 이 정도의 연비/힘을 경험하기 쉽지 않음
- 단점: 무거운 차체, 왠~~지 검증이 더 되어야 할 것 같은 하이브리드/터보
정말 가장 무난합니다. 디자인도 마음에 들고요.
쏘나타 하이브리드 타시는 지인 중 한 분은 13~14km/L, 다른 분은 막 밟는데 18km/L 나온다고 하시네요.
그런데 하이브리드를 타면 터보가 생각날 것 같고... 터보를 타면 하이브리드가 땡길 것 같군요.
게다가 한 2~3년은 더 있어야 두 차량 모두 검증이 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이 있습니다.
특히 터보를 타면 막 밟을텐데 연비 걱정이 좀 있고... 하체가 생각보단 괜찮다고 하는데 어떨지 모르겠네요.
참, 하이브리드의 경우 내년 상반기까지인가 취득세/등록세 혜택이 있더군요. 좋은 기회인 듯 합니다.
4. 젠쿱 380
- 장점: 차값 가장 저렴, 가장 강력한 파워. 운전하는 재미
- 단점: 가장 비싼 세금/보험료, 적응이 안 되는 외관/인테리어, 문짝이 두 개, 하체 반응이 신경질적이라는 평가가 많음, 전 차주가 엄청 밟았을텐데 상태가 괜찮은 차들이 많을까 하는 두려움
순전히 원하는 가격대에서 마력/토크 기준으로 봤을 때 눈에 들어오는 마지막 차량입니다.
외관이 제 눈엔 너무 이상합니다. 내장도 가격대를 생각하면 좀 그렇고요.
그리고 지금까지 세단만 타서 그런데 혼자 운전하는 시간이 대부분인데도 문 4개/트렁크가 없으면 왠지 불안합니다.
가끔 자전거를 타는데 크기가 좀 되는 로드라 왠지 실을 수 없을 것 같군요.
결론?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ㅎㅎ
최근 몇 년 사이 장족의 발전을 반복하고 있는 국산차를 보면 차라리 한 2년 더 기다릴까 생각도 드네요.
아니면 골프 TSI 신차를 사서 탈까 하는 생각도 들고요.
참고로 이번에 이것저것 시뮬레이션 해 보면서 깨달은 사실인데 연비는 그냥 숫자에 불과하더군요.
연비가 아무리 좋다고 해도 차값이 비싸면 그걸 상쇄하기까지 기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경우가 많거든요.

GTD 로 고속도로 출퇴근 합니다. 왕복 180km, 막히는 구간이 없어 평속 8-90km/h 정도로 밟고 다닙니다. 11년식 45,000km 주행하였고 연비는 14-15km/l 정도 나옵니다. E92M3, 911S PDK 로 같은 구간을 같거나 약간 더 빠른 속도로 다니면 8-9km/l 정도의 좋은 연비를 기록합니다.
GTD 도 천천히 다니면 연비가 좋겠지만 밟고 다니면 공인연비를 능가하는 환상적인 연비는 나오지 않는것 같습니다.

1.4TSI를 출퇴근용으로 몰고 있습니다.(거리는 왕복 12KM정도 시내)
출퇴근시간대에 생각없이 몰면 10KM정도 연비 찍고 국도에서는 공인연비 이상 찍어줍니다.
아직 4000KM정도밖에 안타서 그런지 생각보다? 연비가 썩~ 좋지는 않습니다.
이 차의 매력은 연비보다는 DSG S-mode일때 발휘되는것 같습니다. 1.4 배기량에 어울리지 않는 시원한 달리기 성능을 보여주네요. 이 차를 몰면서 해치백의 실용성이 원지 알것 같습니다. 잠깐만 타고 방출예정이었는데.. 예상외로 오래탈것 같네요.. 좋은 찹니다..ㅎㅎ
아..DSG 1-2단일때 약간씩 주춤하는 기색?같은 위화감은 있습니다..

쏘나타 하이브리드... 생각보다 많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보통 출퇴근 하는데(안막히는 국도 70%, 막히는 시내 30%) 14~16Km/l 정도 나오고 있는데 같은 동네 프리우스는 훨씬 잘 나오더라구요.. ㅠ ㅠ 그리고 막 밟는데 18Km 나오시는 분은 악셀링의 신이신듯...^^;; 전 절대 안되더라구요...

오피러스 마지막 버전도 괜찮을듯합니다
기아에서 실수로 잘만들었다는 소문이 돌았을정도로
실내 외 안팎으로 좋은차입니다
네임밸류가 동급차량에 비해 조금떨어지는 탓에
가격도 괜찮습니다
얼마전 친한형님께서 이천만원안팎으로
차를 알아보시길래 오피러스를 추천 가격대비
엄청 괜찮은놈으로 구입하셨죠 여성운전자나 회사임직원들
차량으로 많이 팔린탓에 조금만 발품파시면 좋은 놈
구하실듯합니다

DSG미션 달린차를 두대째 타고 있습니다. 지금 타는건 3년만에 14만킬로에 근접했는데 미션에 전혀 이상 없습니다. 처음 구입하시는 분들은 DSG내구성에 의문을 가지시는 경우를 제 주변에서도 많이 보는데 일반 자동미션과 같다고 보셔도 됩니다. 특히나 근몇년 사이에는 정말 많이 안정화 된거 같고....그리고 대부분의 DSG 트러블은 출고 초기에 다 나타나더군요.ㅋㅋㅋ
AS센터는 국산차 같지 않습니다. 예약과 대기가 필수죠ㅜㅜ 대구의 경우 엄청난 크기의 서비스센터가 완공되서 요즘은 파츠 주문이 필요없는 간단한 작업들은 예약없이 바로 해준다더군요. 그래도 길가다 눈에 보이는 아무데나 들어가면 바로 스쿠터 탄 아저씨가 부품가져다 주고 수리 완료 해주는 국산차만큼은 절대 안되겠지만요. 이건 현기차의 점유율이 워낙 높으니 일어날수 있는 특이한 케이스 같기도 하구요.
행복한 고민중이시니 부럽습니다. 저라면 GTD를 생각하셨으니 시로코 디젤 R라인 사겠습니다. 또 다르더군요.

혼자 타시는 용도라면 쿠페 타입의 문짝 두 개짜리도 괜찮을 듯 한데요. 세단이나 5도어 해치백도 괜찮다면 GTD지만 혼자 타실 경우고 연비 걱정 안하실꺼라면 시로코 R도 괜찮을 듯 하구요.
폭스바겐의 서비스는 악명이 좀 높다고 하는데, 제 경우에는 그리 잘 못 느끼겠더라구요.
담당 어드바이져의 역활이 중요하다고 보는데 제 경우에는 초기 폭스바겐 어드바이져나 지금 담당하는 어드바이져나 괜찮더라구요.
초기 어드바이져의 경우는 아우디로 옮겼는데, 그 어드바이져 때문에 Q7 팔고 나서도 아우디 차량을 사고 싶다는 생각을 할 정도였습니다.
아무래도 수리 문제도 있지만 응대가 중요한 것 같더군요.
그런데, 밋션의 경우는 Q7도 그랬고 주위 폭스바겐 골프 타는 분들 중에도 밸브 바디를 교환 안 하신 분이 없습니다.
GTD의 경우 할인을 제법 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한 번 알아보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TSI에 관심이 있으시다니 간단하게 연비에 대한 얘기만 풀어 놓을게요.
매일 아우토반 출퇴근 왕복 60KM 구간의 평균 연비는 차가 없어서 생각없이 밟는다면 (고속도로 기준 최저 130~최고 180km/h) 13.3km/L 정도 나오구요. 연비운전을 한다면 (고속도로 기준 최저 90 ~ 최고 120km/h) 17km/L 까지 나옵니다. 평균적으로 14~15km/L 정도 나온다고 보시면 될것 같네요.
근데 540타시다가 골프로 가시면 만족 못하실텐데요... ^^ (다른차들은 말할것도 없구요) 그냥 EF 만 처분 하시는 편이..
후보군 중 제가 고민고민 했던 차들이 몇대 있네요^^
저는 시로코R-line, GTI, K5터보, 젠쿱380을 봤었습니다. (물론 모두 다 중고로)
결국은 GTI를 새차로 영입 했구요... 현재 150km뛰고 있네요^^ (저번주 목요일에 차가 와서 ㅋ)
공감 있는 내용들이 많네요. (보험, 기름값, 세금 생각하니 젠쿱 중고는 차값보다 유지비가 더 압박이 가더군요...)
마지막까지 고민한건 엉뚱하겠지만 시로코와 GTI 였습니다.
생각보다 공간도 넓고 운전도 재미나고(GTI보다도 더 하체는 좋을듯한 느낌... 19인치와 P-ZERO의 타이어 덕분이겠지만)
K5터보는 출퇴근용으로는 너무 커서 패스했네요.
GTI 150km 주행동안 느낀건... 정속주행만 잘하면 정말 연비 좋다 입니다.
기름 고급유 가득 넣고 현재 130km를 넘어가지만 아직 작은 눈금 한칸... (대략 1/12정도) 닳아진듯 합니다.
고급유 가득 넣어줘도 10만원 안짝이라는것도 좋더군요 ㅋㅋ
거기다 현재 할인 정책으로 가격도 딱 좋았구요^^ (잘 알아보면 정말 좋은 가격에 새차를 살 수 있는듯 합니다.)
좋은 차량 구입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