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이틀 전이군요.
의정부에 볼 일이 있어서 오래간만에 동부간선도로를 타고 천천히 달리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
그 날 따라 그랬던건지 골재 트럭들이 유난히 눈에 많이 들어오더군요.
많은 분들이 그렇겠지만 저 역시 차량의 스톤칩에 대해 신경질적인 반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골재 트럭 뒤에서 달리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는 편입니다.
사진에서 보이는 트럭들은 모두 24톤 덤프트럭들인데,
그냥 골재도 아니고 폐골재 (현장에서는 소위 "왈가닥"이라 하죠. ^^;;)를 싣고 가는
차량들입니다.
사진의 덮개를 보시면 대략 무슨 이야기가 필요한지 아실겁니다.
언제부터인가 운전자가 직접 차량 위로 올라가 "막" 형태의 덮개를 수동으로 씌우던 것이
생업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양쪽으로 분리되어 있다가 윗쪽에서 합쳐지는 장치물로
발전되었습니다. (스위치로 작동되는 듯 합니다만 ...)
처음 저 덮개가 윙~ 하면서 움직이는 동작을 보고
"참 .. 신기하다 .. 세상 많이 좋아졌다 .. 만든 사람 돈 벌었겠다 .."
이런 생각이었는데, 이것이 참 달리는 도로 위에서는 무기에 가깝습니다.
수동으로 방지막을 씌울 때 보다 더 많은 비산물들이 발생한다는 거죠.
예전 시절에도 비산물들이 없지는 않았지만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눈가리고 아웅과 다를 바 없이 중간 중간 모두 벌어져있고
들떠 있어서 제대로 속력이라도 내고 있는 트럭 뒤에 있다면
작은 돌 세례 정도는 쉽게 피해를 보게 되어 있습니다.
이틀 전 찍었던 트럭 3대 모두 덮개 상태가 아주 불량했고, 특히 마지막 트럭의 덮개는
자세히 보이지는 않지만 너덜너덜거려서 가리는 부분이 얼마 정도 될까 의심스러운
정도입니다.
도로 교통법이나 관련 유관 법규를 찾아보지는 않았지만 아마도 단속을 하는 쪽에서도
일단 해당 장치만 달려있으면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런 상황이라면 작은 스톤칩이야 사고 유발까지는 어렵겠지만,
폐골재 중 큰 덩어리의 자갈이나 돌조각들이 날라온다고 생각하면 정말 아찔합니다.
공사 현장에 계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폐골재의 내용은 그야말로 가지각색이죠.
깨진 콘크리트 덩어리부터 작은 돌, 시멘트 가루 (이것 역시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앞유리에 비산되면 아주 치명적이죠), 녹슨 철근 가닥들, 대못이 달려있는 각목 등등
아래 불법 튜닝과 관련한 내용도 올라와있지만,
오히려 이런 것들이 도로 질서를 망가뜨리고 위해 요소를 안고 달리는 무기와 같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습니다.
무슨 뱃고동 같이 울리는 그들의 경적 소리와 인도를 향태 내뿜는 강력한 배기구들은
차치하고라도 말입니다 ...
(모든 트럭들이 그러하지는 않겠지만 아쉽게도 상당히 많은 트럭들이 그렇더군요 ..
문제없이 운행하시는 해당 업계 분들께는 송구스럽습니다만 ..)
과연 완벽하게 방지망을 설치한 트럭을 만나는 일은 요원한 일일까요?
2008.10.09 12:53:25 (*.162.63.219)
막씌운 차량은 거의 보기 힘든것 같고 대부분 전동식으로 하고 다니던데 일반골재 적재하고 가는 차량도 코너돌면 아주 천천히 돌지않는이상 떨어져 버립니다. 직전주행때도 변속충격이라던가 바람에 의해서 한두방울 떨어지고요,, 그냥 무조건 피해가는게 상책일듯 합니다 TT
2008.10.09 13:16:59 (*.137.131.158)

매일 고속도로 통근을 하는 사람으로서 왜 저런건 단속 안하는지 항상 궁금합니다. 수박만한 골재가 떨어지는건 일도 아니겠던데..
2008.10.09 14:29:11 (*.11.225.200)

덤프도 위험하지만 일반카고트럭도 위험합니다.영종고속도로에서 오락실기계가 떨어져서 난감했던 기억이 있습니다.결국 옆차선의 트레일러가 가루로 만들어서 어쩔수 없이 한방 맞았습니다.그트럭기사는 뒤도 안보고 도망가더군요.
2008.10.09 16:51:15 (*.163.89.123)

원래 전동 덥개를 지금과 같이 엉성한 철재 파이프와 위장막?으로 가리는 수준을 좀더 더껍고 강한 파이프와 철판 위장막?으로 가리면 충분히 그 성능을 발휘할것이나, 경쟁적인 가격과 제조자의 이익을 앞세워 엉성하게 만들어서 오히려 역효과가 나는것입니다.
관리하는 행정부서를 탓하지 않고서는 자본주의에서 누구를 탓해야 할지 참 안타깝습니다.
도심지 통과시간을 제한하고, 도심지 통과 트럭은 세금을 더 부과하며, 매 6개월마다 검사를 필하도록 유도하여 시간을 두고 개선해나가는 수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그나저나, 공무원들 해외사례 연구하면서 뭘 배우고, 어떻게 기획을 세우는지 참으로 안타까운점이 많습니다.
관리하는 행정부서를 탓하지 않고서는 자본주의에서 누구를 탓해야 할지 참 안타깝습니다.
도심지 통과시간을 제한하고, 도심지 통과 트럭은 세금을 더 부과하며, 매 6개월마다 검사를 필하도록 유도하여 시간을 두고 개선해나가는 수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그나저나, 공무원들 해외사례 연구하면서 뭘 배우고, 어떻게 기획을 세우는지 참으로 안타까운점이 많습니다.
2008.10.10 10:10:23 (*.188.81.144)
골재트럭의 덮개는 신경써야 합니다. 전동덮개는 멀쩡한 것이라도 다 가려지는 것은 아니어서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경험담으로, 예전 국도 주행중 앞서가던 골재트럭에서 날라온 아기 머리통만한 돌덩어리에 차 앞유리창이 박살난 사건이 있었습니다.
무섭게도 그 골재가 앞유리창을 뚫고 들어와 조수석에 박혔는데 조주석 의자가 뒤로 재껴질 정도의 충격이었습니다.
마침 그때 아버지께서 탑승중이셨는데 매일 앞자리에 앉으시던 분이 그날따라 뒷자리에 앉으셔서 화를 면할 수 있었지요. 하지만 아찔한 순간이었습니다.
바로 차를 쫓아가서 세우고 수리비 받아냈지요. 기사님이 순순히 인정하고 미안하다며 깔끔히 해결 할 수 있어서 그나마 다행이었습니다.
그때 큰 사고라도 있었으면 뒤가 잘 보이지 않는 트럭은 자기가 무슨일을 야기했는지도 모르고 그냥 갔을것인데, 아찔합니다.
충격이었던게 그 때 트럭의 전동덮개의 상태를 확인 해 본 결과 아주 멀쩡한 상태였습니다.
나온지 얼마 되지 않은 차였고 덮개도 새것이더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 돌덩이가 떨어질 정도였으니, 믿지 못할 물건이더군요.
이 다음부터는 아예 멀찌감치 추월하거나 아예 한참 뒤에서 천천히 가려고 신경씁니다.
경험담으로, 예전 국도 주행중 앞서가던 골재트럭에서 날라온 아기 머리통만한 돌덩어리에 차 앞유리창이 박살난 사건이 있었습니다.
무섭게도 그 골재가 앞유리창을 뚫고 들어와 조수석에 박혔는데 조주석 의자가 뒤로 재껴질 정도의 충격이었습니다.
마침 그때 아버지께서 탑승중이셨는데 매일 앞자리에 앉으시던 분이 그날따라 뒷자리에 앉으셔서 화를 면할 수 있었지요. 하지만 아찔한 순간이었습니다.
바로 차를 쫓아가서 세우고 수리비 받아냈지요. 기사님이 순순히 인정하고 미안하다며 깔끔히 해결 할 수 있어서 그나마 다행이었습니다.
그때 큰 사고라도 있었으면 뒤가 잘 보이지 않는 트럭은 자기가 무슨일을 야기했는지도 모르고 그냥 갔을것인데, 아찔합니다.
충격이었던게 그 때 트럭의 전동덮개의 상태를 확인 해 본 결과 아주 멀쩡한 상태였습니다.
나온지 얼마 되지 않은 차였고 덮개도 새것이더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 돌덩이가 떨어질 정도였으니, 믿지 못할 물건이더군요.
이 다음부터는 아예 멀찌감치 추월하거나 아예 한참 뒤에서 천천히 가려고 신경씁니다.
2008.10.10 11:33:54 (*.236.112.153)

적재함 불량시 사진찍으셔서 신고 가능합니다.
특히나 피해 보셨다면 당연하고요.
제가 토목직(토공)에 3년넘게 일했습니다^^;
일은좀 틀렸지만..ㅋ
암튼, 집 주위...혹은 자주 다니는 길에서.
저런 차량이 갑자기 증가했다는건..
근처에 공사 현장이 있다는거죠.
그로인해 도로가 지져분해지거나..
말씀하시는대로 폐기물의 비산물이 도로에 산재되어
위험을 유발하는경우....
다소 수고스럽더라도..
사진을 포함하여 민원넣으시는게 좋습니다.
대부분 ...."에이...그냥 좋은게 좋은거지"하고 넘어가시는데.
반대로 현장쪽에선 아무런 민원이 없으면
적재량을 늘리고..좀더 빠른 속도로 진행합니다.
(민원이 없으니 그냥 빨리 빨리 대충해 = 우리나라는 이거 절대 못고칩니다.)
그네들도 나름의 변명은 있습니다.
공사기간을 지켜야 한다고(그래야 수익이 증대되죠..)..
하지만, FM대로 해도 공사에는 솔직히 지장없습니다.
대부분 관례적으로 2차,3차하도급 문화로인해
비용절감이 목표(공사의 품질은???)도 관련이 있기에..
작은것 하나 하나 부터 고쳐나가야 하는데..
그중 하나입니다.
바로 한컷 찍으셔서 민원 세게 넣으시면 확실히 변화됩니다.
특히나 피해 보셨다면 당연하고요.
제가 토목직(토공)에 3년넘게 일했습니다^^;
일은좀 틀렸지만..ㅋ
암튼, 집 주위...혹은 자주 다니는 길에서.
저런 차량이 갑자기 증가했다는건..
근처에 공사 현장이 있다는거죠.
그로인해 도로가 지져분해지거나..
말씀하시는대로 폐기물의 비산물이 도로에 산재되어
위험을 유발하는경우....
다소 수고스럽더라도..
사진을 포함하여 민원넣으시는게 좋습니다.
대부분 ...."에이...그냥 좋은게 좋은거지"하고 넘어가시는데.
반대로 현장쪽에선 아무런 민원이 없으면
적재량을 늘리고..좀더 빠른 속도로 진행합니다.
(민원이 없으니 그냥 빨리 빨리 대충해 = 우리나라는 이거 절대 못고칩니다.)
그네들도 나름의 변명은 있습니다.
공사기간을 지켜야 한다고(그래야 수익이 증대되죠..)..
하지만, FM대로 해도 공사에는 솔직히 지장없습니다.
대부분 관례적으로 2차,3차하도급 문화로인해
비용절감이 목표(공사의 품질은???)도 관련이 있기에..
작은것 하나 하나 부터 고쳐나가야 하는데..
그중 하나입니다.
바로 한컷 찍으셔서 민원 세게 넣으시면 확실히 변화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