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드에는 워낙 매니악하고 끝내주시는 분들이 많아서 도움이 잘 될껄로 알고있습니다..

 

현재 스펙 : 벨로스터 1.6 터보 수동 터빈업. 48000km 주행중, (터빈은 오버홀한지 약 1만km안되었고 엔진도 2만km때 까서

 

오버홀+단조킷 집어넣음)

 

 터보차져 : GTX2860RS , 흡,배기,인터쿨러, 대용량 라디에이터, 단조 컨로드 킷 , 티알 웨이스트 게이트 , HKS SSQV BOV

 

게이지 : 그리디 프로스펙 B 전자식 부스트 컨트롤러 , 현재 39%셋팅됨(피크치가 1.63바 , 대충 유지 1.5~1.55바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고급유 340마력 38토크 셋팅 , 앞 만렘보 4p , 뒤 i40 대용량 1p킷(확장) , SMA 일체형 서스펜션 ,

 

------------------------------------------------------------------------------------------------------------------------------------------------------

 

단도직입적으로 질문 올립니다.

 

1. 터보차 관리할때 신경써야할 게 있나요? 예전 투카터보와 프라이드 디젤터보 탈때 엔진을 두달도 못가서 만날

 

피스톤에 구멍냈던 걸 생각하면 요새 정말 운전습관이 얌전해지긴 했습니다만. 독일 3사 M, RS , AMG들이 우당탕탕

 

달리는걸 보면 가끔씩 따라갑니다.

 

물론 항속기어상으로 푸락셀은 절대 안치고 5단기어까지만 쳐요 보통 6200rpm에서 마무리..

 

뭐 전 차주분이 워낙 관리를 잘했고 점화플러그 HKS 열가 9 , 엔진오일등등 뭐 병적관리를 통해서 거진 신차급을

 

업어왔는데 사실 불안해 죽겠습니다 ㅋㅋ

 

2. 매니폴더쪽이나 웨이스트게이트 용접부위 등이 깨지면 전자식 부콘상으로 푸락셀 칠때 부스트가 확실히 덜뜨나요?

 

3. 현재 토크오플+OBD 단자를 통해서 수온을 항상 체크하는데요 . 5분이내로 쏘는건 수온이 94도 이내에서 노네요

 

(영하 -5도 기준 정속주행 84~88도). 안정적인 수온이 몇도일까요? 보통 유온도 제가 비례해서 보거든여..

 

4. 터보차의 열로인해 산소센서나 그 관련 부위 잭이나 센서가 맛탱이 가는경우는 벨텁에서 경고등이 뜨는 경우도

있나요?

 

SAM2000때는 대충 아날로그 게이지 주렁주렁 달고봤는데 얘는 그런(?)맛이 없으니까 심심하네요 ^^

테드 회원님들이 답변 부탁드립니다

좋은 토요일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