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테드에는 워낙 매니악하고 끝내주시는 분들이 많아서 도움이 잘 될껄로 알고있습니다..
현재 스펙 : 벨로스터 1.6 터보 수동 터빈업. 48000km 주행중, (터빈은 오버홀한지 약 1만km안되었고 엔진도 2만km때 까서
오버홀+단조킷 집어넣음)
터보차져 : GTX2860RS , 흡,배기,인터쿨러, 대용량 라디에이터, 단조 컨로드 킷 , 티알 웨이스트 게이트 , HKS SSQV BOV
게이지 : 그리디 프로스펙 B 전자식 부스트 컨트롤러 , 현재 39%셋팅됨(피크치가 1.63바 , 대충 유지 1.5~1.55바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고급유 340마력 38토크 셋팅 , 앞 만렘보 4p , 뒤 i40 대용량 1p킷(확장) , SMA 일체형 서스펜션 ,
------------------------------------------------------------------------------------------------------------------------------------------------------
단도직입적으로 질문 올립니다.
1. 터보차 관리할때 신경써야할 게 있나요? 예전 투카터보와 프라이드 디젤터보 탈때 엔진을 두달도 못가서 만날
피스톤에 구멍냈던 걸 생각하면 요새 정말 운전습관이 얌전해지긴 했습니다만. 독일 3사 M, RS , AMG들이 우당탕탕
달리는걸 보면 가끔씩 따라갑니다.
물론 항속기어상으로 푸락셀은 절대 안치고 5단기어까지만 쳐요 보통 6200rpm에서 마무리..
뭐 전 차주분이 워낙 관리를 잘했고 점화플러그 HKS 열가 9 , 엔진오일등등 뭐 병적관리를 통해서 거진 신차급을
업어왔는데 사실 불안해 죽겠습니다 ㅋㅋ
2. 매니폴더쪽이나 웨이스트게이트 용접부위 등이 깨지면 전자식 부콘상으로 푸락셀 칠때 부스트가 확실히 덜뜨나요?
3. 현재 토크오플+OBD 단자를 통해서 수온을 항상 체크하는데요 . 5분이내로 쏘는건 수온이 94도 이내에서 노네요
(영하 -5도 기준 정속주행 84~88도). 안정적인 수온이 몇도일까요? 보통 유온도 제가 비례해서 보거든여..
4. 터보차의 열로인해 산소센서나 그 관련 부위 잭이나 센서가 맛탱이 가는경우는 벨텁에서 경고등이 뜨는 경우도
있나요?
SAM2000때는 대충 아날로그 게이지 주렁주렁 달고봤는데 얘는 그런(?)맛이 없으니까 심심하네요 ^^
테드 회원님들이 답변 부탁드립니다
좋은 토요일 되세요 ^^
배기온이 평소보다 높게뜨면... 연료량이 안맞는 상태로
오버부스트이거나 연료압력이 저하되거나 점화타이밍이
지각된 경우입니다.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잘생했다는 이야기죠.
2. 매니폴드등 배기계통이 깨져서 배기가스가 새면 부스트가
달드는것은 물론이거니와 꽤나 심각한 소음과 진동을 동반합니다.
3. 아무래도 오일쿨러는 필수 아이템이라 생각됩니다. 한 여름에
초고속주행시 엔진오일 점도를 깨트리지 않는 오일온도는 110도
미만, 수온은 게이지만 정상범위라면 별문제 없습니다.
4. 센서가 망가지거나 하는 일은 극히 제한적입니다.
1. 배기온게이지랑 공연비 게이지중 어떤게 더 나을까요? 미국이나 캐나다쪽에선 공연비쪽을 많이 달더군요.
저 투카터보탈때 배기온은 없애버리고 공연비만 보면서 탔었거든여..ㅎㅎ 그럼에도 엔진은 사망이 ㅠㅠ
2. 미새한 크랙같은경우는 감마엔진같은경우는 터빈이 뒷쪽에 있어서 확인이 쉽지가 않네요
3. 감사합니다. 오일쿨러 대신 대용량 라디에이터 달아놨는데 수온이 떨어트리는게 낫겠죠? ㅎ
4. 그렇군요 아무래도 터보차라 배기온이 1100~1200도는 우습게 올라갈 것 같아서 말입니다.
순정의 경우 보통 1천도 내외잖아요 ㅎ

2. 매니폴드나 라인에 크랙이 생기면 부스트가 정상적으로 차오르지 못하고 새나오는 배기가스에 의해 냄새도 나니 평소 정상적인 컨디션일때를 잘 알아두셔야 할것입니다.
3. 수온은 계기반에도 표시가되고 써모스텟도 있으니 과열관련을 신경쓰시면되고 냉각수상태 점검하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튜닝된 가솔린 터보차량은 오일쿨러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벨로스터터보 출시시 시승기를 보면 열이 많이 발생하는 엔진특성상 쿨링시스템이 보완되어야한다는 글을 본적 있고요. 또한 전용 볼트온킷도 있습니다. 과냉을 위한 써모벨브 관련은 찾아보지못해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4. 요즘 차량은 매우똑똑해졌습니다. 각종 센서가 문제 생기면 당연히 경고등을 띄우고 운전자에게 알려주겠지요.
마지막으로 첨언하자면 벨로스터 원메이크 경기도 열리니 각종파츠에대한 여러정보를 알아보시는게 많은 도움이될것 같습니다.
달리는것도 좋지만 공도에서는 안전운전하시길 바랍니다.
라이센스 취득후 취미로 트랙데이 참가하시는것도 차량및 본인에 한계를 느끼기에 더없이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차량구입 축하합니다. ^^
2.심하면 부스트가 아예 안뜨고 소위 찐빠가 나요
3.수온/유온은 본차량의 순정 최대치까지가 한계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오버한다면 쿨러 다셔야 항속 가능할겁니다.
4.요즘차는 그냥 엔진체크등만 떠버리고 진단기 물리면 거의 다 나옵니다
여튼 현재 유온과 수온이 안정적으로 나오는 상태시라면 오버부스트랑 배기온만 조심하시면 항속 하셔도 무리 없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