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자작자동차 동아리에서 자작자동차를 만들고 있는 학생입니다.
기어박스에 오일을 흘려 냉각시킬 방법을 생각하다가 엔진오일펌프에 호스를 연결해서 기어박스에 오일을 공급할까 생각했는데 이 방법을 쓰려면 엔진에 오일을 가득담아야하고 그렇게 되면 엔진이 처음 작동할때 무리를 준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왜 오일을 가득 담아야하고 엔진에 왜 무리를 주게 되는건가요?
2015.02.10 22:29:44 (*.162.222.118)
팁으로 제가 제작했던 방식은 2스트로크 엔진의 오일펌프를 기어박스에 장착해서 기어박스 독립적으로 펌핑하기도 했고 윤활목적이었습니다. 펌핑라인을 구리관으로 짜서 냉각을 도모했지만 냉각이 주된 목적은 아니었고,
두번째로 기어와 하우징사이 회전방향으로 엔진오일 압력이 생기는 부분에 니쁠을 꽂아 자연펌핑을 이용하기도 했습니다.
2t 오일펌프는 펌핑이 확실한게 장점이고 동력로스,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고..
자연펌핑은 마지막기어가 속도가 붙어야 펌핑이 되고 확실하게 펌핑이 되지않는다는게 단점이지만 동력로스가 없죠. 자연적으로 생기는 압력을 이용하는거니까..
기어박스 냉각보다는 열팽창으로 인한 기어박스 내부압력문제나 윤활에 신경쓰시는게 바람직한 선택인것 같습니다. 단, 기어의 재질이나 기어열, 피치등 나머지부분에서 설계상의 문제가 없다면 말이죠.
두번째로 기어와 하우징사이 회전방향으로 엔진오일 압력이 생기는 부분에 니쁠을 꽂아 자연펌핑을 이용하기도 했습니다.
2t 오일펌프는 펌핑이 확실한게 장점이고 동력로스,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고..
자연펌핑은 마지막기어가 속도가 붙어야 펌핑이 되고 확실하게 펌핑이 되지않는다는게 단점이지만 동력로스가 없죠. 자연적으로 생기는 압력을 이용하는거니까..
기어박스 냉각보다는 열팽창으로 인한 기어박스 내부압력문제나 윤활에 신경쓰시는게 바람직한 선택인것 같습니다. 단, 기어의 재질이나 기어열, 피치등 나머지부분에서 설계상의 문제가 없다면 말이죠.
2015.02.10 22:22:02 (*.245.48.112)
기어는 필히 동력전달시에 마찰을 수반하죠.
만약 제작후 테스트과정에서 기어의 온도가 무지하게 올라간다면 필히 기어박스를 잘못깎았을확률이 높습니다. 요즘 핫하다는 3d프린터로 카티아로 기어박스 그리고 하나하나 마춰보는게 저번학기 개인별 프로젝트 주제였으나... 설계공차와는 완전 안드로메다인 물건이 나오네요... 기어박스를 냉각시켜야만하는 이유가있나요?
만약 제작후 테스트과정에서 기어의 온도가 무지하게 올라간다면 필히 기어박스를 잘못깎았을확률이 높습니다. 요즘 핫하다는 3d프린터로 카티아로 기어박스 그리고 하나하나 마춰보는게 저번학기 개인별 프로젝트 주제였으나... 설계공차와는 완전 안드로메다인 물건이 나오네요... 기어박스를 냉각시켜야만하는 이유가있나요?
2015.02.10 22:30:18 (*.245.48.180)
자작차를 어떤 엔진으로 만들고 계신지 모르겠는데 기어박스를 새로 제작하신건가요? 오토바이 엔진은 왠만해선 엔진오일과 혼용되어 하나의 유압회로로서 움직입니다
2. 원래 설계되어진 오일라인 외의 오일라인이 추가됨으로 오일펌프에 하중이 늘어남
여담으로 기어박스에 들어간 오일은 어떻게 다시 리턴시킬것인지가 더 어려운 문제같은데요?
기어박스 제작해서 대회나가본 결과로 기어냉각은 크게 신경 안써도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윤활만 제대로 된다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