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바보같은 질문이지만 과급기 처럼 배기도 터보를 이용해서 강제로 해 주는 시스템이 존재하나요?
혹시 과급기처럼 강제배기 시스템을 사용하게되면 굳이 가변배기를 할 필요도 없어지고 배기도 더 리니어?하게 할 수 있을 것이고 장점이 좀 있을것 같은데 아닌가요?
혹시 하지 않는 이유가 터보를 돌려주는 동력에 비해 강제배기를 통해 얻는 효과가 적어서 그런것 인가요?
아니면 제가 완전히 잘못알고 있나요??
이니셜D에서 나온 미스파이어링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나요???
스로틀을 닫을시에 당연히 연료인젝션은안되는것이 맞지만 특정상황에서 꾸준하게 연료를 인젝션시켜서
배기에너지를 유지시켜주는... 어떤의미로 '과' 배기라는지 잘은 이해를 못하겠습니다만... 제가 설명한것이 아니라면...
VVT나 VVL 브이텍 같은녀석들도 일종의 '과'배기 시스템이라고 할수있겠네요... 절대적으로 배기포트가 열려있는시간을 길게해줄수있는 장치이니까요... 요즘나와있는 전자제어엔진들이 흡배기만으로 출력상승이 거의 없다싶이하고(있다고하더라도 미비... 피크파워가 상승할지라도 피크까지 픽업되는 시간의 지연이 생기면 오히려 실제 배틀에선 전투력이 높아졌다고 할수없죠) 그 이유는 가변밸브타이밍에 기인하는거 같습니다... 과 배기라기보단 밸브오버랩을 적극적으로 이용한다던가 에초에 밸브가 열리는 시간을 오래끌게되면... 생략...
기본적으로 엔진의 파워는 흡입되는 공기량과 점회시 점화타이밍, 압축비와 혼합기의 화염전파속도에의해 결정됩니다.
이때 배기가스가 원활히 빠진다는의미는 연소실내에 존재하는 잔류가스가 거의 없어진다는의미이고 그것은 더많은 혼합기를 폭발시킬수있다는 이야기임과 동시에 뜨거운 잔류가스에의해 달궈진 연소실의 온도가 내려가는 효과를 얻을수 있고 그로인하여 점화타이밍을 조금더 진각시킬수있는... 즉, 출력이 올라갈수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소위 흡배기튜닝이라는것의 기본적인 근간이 위와같은 이야기와 일맥상통합니다.
실린더 내에 과급이 될거 같지는 않습니다
진공상태 비슷하게 되어 미미한 효과가
있을것 같습니다
밸브 오버랩이라고 배기밸브가 닫히지 않았는데 흡기가 열리는게 일반적입니다. (공기 흐름의 관성으로 "강제" 배기 됨) 또, 연소행정이 끝나지 않았는데 배기밸브가 열리는 것이 저rpm 허당의 원인인데요 음......과급으로 그냥 밀어내면 되는데 굳이 뒤에서 잡아 뺄 이유가 없는 것 같습니다. 또, 과급이야 크랭크나 배기관에서 끌어오면 되지만 배기를 뽑아내려면 그 동력을 어디서 가져올까 전체적 효율도 나오기 힘들 것 같네요. 배기관에서 강제배기를 할 에너지를 끌어오면 어디선가는 효율이 떨어지고 그건 전체 배기시스템의 저항으로 작용하겠죠.

2륜차의 고출력 2스트록 엔진에서는 div.-con. 형태의 챔버를 사용해서 특정 rpm 시에 부압(negative pressure)파가 배기포트에 형성되도록 하여 연소실 내부 스캐빈징을 원활히 하는 효과로 출력을 증대시켰습니다. 보통 파워밴드라고 부르는 영역대였으며 출력 증가분이 꽤나 높았습니다.

2스트록의 배기관의 쳄버에게 기대하는 역활은
스케빈징이아닌...(더많이 빨아낸후 다시 되밀어 넣는다는 컨셉이라면..틀린것은 아니지만..)
오히려1차압축을 마치고소기싸이클에서 과량연소실로들어오다못해
배기포트로 빠저나온혼합기를 다시 연소실로밀어넣어 결과적으로
1차압축후에 연소실로 가려는 혼합기+배기쳄버의 형상에의해 반대파로 되돌아온 혼합기
의 연소실충진효율을 노리는것 같습니다.
그런방향으로 조율해야..파워가 오릅니다.
이전에는 2스트록엔진의 연소메카니즘의 데이터가 부족하고
마치 곡예와같은 가스의 교환움직임이 막연히 어려운영역이라고 생각했지만..
많은 부분이 밝혀져서..이른바" 정번"(일본식표현)이라는것이 정립되었다 생각합니다.

동의합니다.
사실
흡기행정은자연흡기의경우 유동이 느리고 압력이 낮지만..
(좀더많은 흡기를연소실로밀어넣키위해 관성과급 등을 이용해야할정도로 ...)
배기행정은 연소후 압력이 높아진가스가 빠져나가는 것이니..
굳이 빼내려는 노력없이도..과하게 빨리나오려는 특성이있습니다.
일상용도의자연흡기 엔진이라면
여러가지 고려해야할것이많은데다가...
저회전부터 고회전까지 고르고 사용하기편한 특성을 보이기위해서 고심을 많이합니다.
이전세대 전자제어기구(밸브제어기구 등등)가 많치않턴엔진은
타협해야하는 부분과 탑제될 차량에맞게 조율하기도 합니다.
터보챠저를 잘 적용한엔진이라면..
배기에너지의 기세가 터빈휠을 돌리는데..줄어들기때문에..
터보엔진의 배기는 자연흡기보다..과 배기라고하기 힘듭니다.
과급엔진은 결과적으로 배기가스량이 많아지게되기때문에.(많이넣었으니 많이나오는).
같은 배기량이라고해도..배기가스량이 많케되는것이 당연하기에..
이것을 과배기라고는 볼수는 없지싶습니다.
그런개념을 이해한다면..강제 과 배기 같은것은 생각치안켔지만..
발상의전환이나 개념의 정리를통해서..
좋은 아이디어가 불쑥 나올수도있는것이니...재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아는 것은 별로 없지만 제 생각으론 과급기도 결국 배기가스의 힘으로 터빈을 돌리는 건데 가능할까요?
그리고 애초에 4행정에서 실린더에서 배기가스를 배출할 때 흡기 밸브는 닫혀 있으니 전혀 효과가 없을 것 같습니다
또 배압이 존재하는 이유도 있을 것이고 강제로 배기를 배출한다면 배압이 안맞아 중저 알피엠에서 허당이 심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