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순정 터보 가솔린차를 운용중입니다
(알파로메오 줄리에타)
예전에 도요타 프리우스를 1년남짓 타본지라
isg의 장점을 아주 잘알고있는데요
도요타를 제외한 타사의 isg는 처음인데
너무나 이질감이 심하더군요
프리우스는 하이브리드라 더 비교가 됩니다
질문입니다
프리우스같은 na야 엔진이 뜨겁던 차갑던간에
엔진이 정지해도 큰 데미지는 없겠지만
지금차는 터보인지라 집앞 수퍼만 나갈려고해도
철저히 예.후열을 하는데요
( 그나마 국내에서 수리받기 편한
독일차라면 그냥 대충타겠지만
사람잡아먹는 이태리차라 ..)
신나게 주행중이거나 도심속 정체길이라도
이놈의 isg가 작동하면 터빈에 큰무리를 주는게
아닌가 싶어서요
( isg 온.오프 버튼은 있습니다
하물며 데이라이트 온.오프 버튼도 존재 )
순정 터보라 메이커에서도 내구성에 자신이 있기에
isg기능을 달아놨겠지만
궁금한건 터빈이 그만큼 기술의 발달로 내구성이
좋아진건지
아니면 엔진이 멈춰도 터빈을 보호하는 무언가가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
( 좀 이상한게 차량을 처음 가져올때는 수시로
작동하더니 지금은 작동을 안합니다 ㅡ..ㅡ
bmw처럼 외기온도가 낮아도 작동을 안하는건지 ..)
마지막 질문은
예전부터 상상만 했던건데
보통 신나게 고알피엠 쏘다가
터보차인걸 깜빡하고
(저처럼 터보차가 처음인분)
바로 시동 오프했다가
아차!! 내찬 터보였지 하며
곧바로 시동을 켜서 터빈열을 서서히 식혀도 무리는 없는지 궁금하네요
(알파로메오 줄리에타)
예전에 도요타 프리우스를 1년남짓 타본지라
isg의 장점을 아주 잘알고있는데요
도요타를 제외한 타사의 isg는 처음인데
너무나 이질감이 심하더군요
프리우스는 하이브리드라 더 비교가 됩니다
질문입니다
프리우스같은 na야 엔진이 뜨겁던 차갑던간에
엔진이 정지해도 큰 데미지는 없겠지만
지금차는 터보인지라 집앞 수퍼만 나갈려고해도
철저히 예.후열을 하는데요
( 그나마 국내에서 수리받기 편한
독일차라면 그냥 대충타겠지만
사람잡아먹는 이태리차라 ..)
신나게 주행중이거나 도심속 정체길이라도
이놈의 isg가 작동하면 터빈에 큰무리를 주는게
아닌가 싶어서요
( isg 온.오프 버튼은 있습니다
하물며 데이라이트 온.오프 버튼도 존재 )
순정 터보라 메이커에서도 내구성에 자신이 있기에
isg기능을 달아놨겠지만
궁금한건 터빈이 그만큼 기술의 발달로 내구성이
좋아진건지
아니면 엔진이 멈춰도 터빈을 보호하는 무언가가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
( 좀 이상한게 차량을 처음 가져올때는 수시로
작동하더니 지금은 작동을 안합니다 ㅡ..ㅡ
bmw처럼 외기온도가 낮아도 작동을 안하는건지 ..)
마지막 질문은
예전부터 상상만 했던건데
보통 신나게 고알피엠 쏘다가
터보차인걸 깜빡하고
(저처럼 터보차가 처음인분)
바로 시동 오프했다가
아차!! 내찬 터보였지 하며
곧바로 시동을 켜서 터빈열을 서서히 식혀도 무리는 없는지 궁금하네요
2015.03.03 11:33:15 (*.162.215.80)
예열은 1분 내외로하고 대신 엔진오일온도가 70도가 되기전까지는 가급적 저 rpm으로 80키로 이하로 주행하고 후열은 보통 지하주차장으로 내려가는 시간과 주차시간을 생각하여 바로 시동 꺼버립니다. 단 과속이라던지 고부하 주행에는 2분정도 후에 끄는편입니다. 제 320d같은 경우 isg가 작동하지 않는 조건이 있습니다. 배터리충전량이 부족하거나,엔진이 열받기전, 도로가 경사가 져있는 경우,핸들이 꺽여있는 경우,에어컨이 작동중에 외기온도와 상이할때 등등 미작동하는 조건이 있습니다.
2015.03.03 12:58:24 (*.162.215.211)
F10 m5런칭하고 얼마안되서 지인이 m5를뽑고 막 길들이기 끈낸참에 m5로 용서고속도로를 250을 넘나들며 초고속 주행후 인터체인지 앞에서 신호대기하니 바로 푸드득 하고 시동이 꺼지더군요.
속으로 암만 그래도 그렇지 기름값이 아깝다고한들 초고속 주행직후 시동을끄나? 라고 생각하며
"형 이거 터보아냐? M5타고 달리면서 기름값아깝다고 신호대기때 시동끈겨?"라고하니ㅋㅋ
"이거 지가 꺼지더라~ 그래도 오일순환은 된데~
뻗으면 너가 가져가라 임마~ㅋㅋㅋ"라고 하더라구요.
그러고보니 시동 꺼졌을때도 뭔가 작동하는 소리가 나더라구요~ 이이잉~하는 소리가요ㅎㅎ
반면 친구어머니 푸조3008은 10만정도 타니 isg때문에 밸트가 다 걸래가됬다고... 케이스바이 케이스인가봅니다.
속으로 암만 그래도 그렇지 기름값이 아깝다고한들 초고속 주행직후 시동을끄나? 라고 생각하며
"형 이거 터보아냐? M5타고 달리면서 기름값아깝다고 신호대기때 시동끈겨?"라고하니ㅋㅋ
"이거 지가 꺼지더라~ 그래도 오일순환은 된데~
뻗으면 너가 가져가라 임마~ㅋㅋㅋ"라고 하더라구요.
그러고보니 시동 꺼졌을때도 뭔가 작동하는 소리가 나더라구요~ 이이잉~하는 소리가요ㅎㅎ
반면 친구어머니 푸조3008은 10만정도 타니 isg때문에 밸트가 다 걸래가됬다고... 케이스바이 케이스인가봅니다.
2015.03.03 13:48:57 (*.22.200.64)

구형쏘랜토 설명서에서 본것 같은데 후열은 고부하 주행후(고속도로 100 이상이었나 하고 긴 언덕 주행직후) 후열하라 되어있습니다
고속주행후 일반주행을 한 후 도착지에 가게되는것이 일반적이기에 일반적으로 후열을 해야하는 경우가 생각보다는 적은것 같습니다
제가 경험하봤던 차들도 스탑엔고가 동작 안한는 경우가 있었고 그것이 웜업 안되었을때였던거 확실히 기억납니다
고속주행후 일반주행을 한 후 도착지에 가게되는것이 일반적이기에 일반적으로 후열을 해야하는 경우가 생각보다는 적은것 같습니다
제가 경험하봤던 차들도 스탑엔고가 동작 안한는 경우가 있었고 그것이 웜업 안되었을때였던거 확실히 기억납니다
2015.03.03 15:53:50 (*.162.215.81)
대량 양산차를 일상적인 용도로 쓴다면(서킷 주행 제외) 예열/후열은 필요없다고 봅니다. 다른분들이 언급하신것처럼 스탑앤고도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 동작하게 되어 있고요, 필요시 key off 상태에서도 일부 기계들은 동작합니다. 요즘차들은 똑똑하죠..^^
2015.03.04 07:19:15 (*.245.48.221)

댓글 감사합니다
현재 현대자동차 i40 디젤로 데일리카로 운행중인데
이놈은 현대차라서 예후열없이 타도 부담되질않아
걍 막타는데
알파로메오는 좀 두려워서 글올려봤는데
많은도움이 되었습니다
현재 현대자동차 i40 디젤로 데일리카로 운행중인데
이놈은 현대차라서 예후열없이 타도 부담되질않아
걍 막타는데
알파로메오는 좀 두려워서 글올려봤는데
많은도움이 되었습니다
2015.03.04 13:30:18 (*.245.48.147)
그렌드 스타렉스 13만km뛴거 막 조지고 시동꺼도 터보가 나가거나 그렇지 않더라구요...막돌려타는차인데 ㅎㅎ(10대중에 터보나간거 한대였습니다;;것도 VGT요)
주차장에서 기어갈때 후열이 다되는거 같아요
2015.03.06 09:58:09 (*.245.48.150)
예열은 시동 거시고 알피엠 떨어지면 출발이고
후열은 톨게이트에 사시는거 아니라면 댁에
들어가시는길에서 모든 후열이 끝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후열은 톨게이트에 사시는거 아니라면 댁에
들어가시는길에서 모든 후열이 끝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터빈이 달려있다는 사실을 무시하고 타셔도 괜찮습니다. 요즘처럼 터보차가 많은 시대, 전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이 터빈이 뭔지도 모르고 잘~ 타고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 차들은 오일 온도가 심각히 높은 상황에는 시동이 꺼진 후에도 팬을 돌리거나, 오일펌프가 시동꺼진 후에도 작동하곤 합니다. 예열/후열도 큰 의미 없습니다. 환경을 위해 자제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