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오늘 모처럼 날씨가 풀려서 한가지 시험을 해봤습니다.
트레드가 거의 다 닳아있는 195/55R15 금호 엑스타 712 타이어가
달궈진 아스팔트라는 좋은 조건에서 어느 정도 그립을 유지해주는지 봤는데요,
한 달 내로 새 타이어를 살려고 하는데, 그 전에
현재의 타이어그립이 실제 주행에서 어느 정도 성능까지 떨어졌을 때 갈아줄지
그걸 감을 잡아보기 위해서 였습니다.(위 사진은 현재 제 타이어 상태입니다^^)
런칭은 3000RPM에서는 별무리없이 되더군요^^
그리고 1단에서 연료컷 직전까지 간 후에 변속하고 클러치를 붙이면서
2단 6000rpm부터 2단 가속을 하게 되는데,
슬립이 있습니다. 그게, 처음 약 0.5초간은 "끼기긱"하는 것이 아니라
rpm이 6000 에 머무르면서 "우웅~" 하구요, 그 후에 "끼기긱" 한 후에
rpm이 올라갑니다.
이 "우웅~" 하는 동안의 슬립이 대체 타이어에서 나는 건지, (휠스핀이 끼긱 소리 없이 나기도 하기 때문에...)
아니면 클러치에서 슬립이 나는 건지 알아볼 기준은 없을까요?
또는 경험상 둘 중 어떤 경우인지 힌트 주실 수 있으신지요?
순정 새 클러치로 교환한 지 15000km되었고, 플라이휠 리서페이싱도 되어있구요,
차는 휠마력 기준으로 15~18% 정도, 순정보다 올라가 있는 상태입니다.
토크도 그 정도 상승되었다고 볼 수 있구요-
타이어 사이즈 선택에 있어서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이게 제 첫 차에, 첫 번째 타이어 교환이다보니,, 더더욱 고민이 되네요-
n/a 튠으로 저 정도의 성능 향상이 있는 상태에서,
타이어를 순정 195/55R15에서 205/50R15로 바꿨을 때, 동일 타이어라고 가정하고서
트레드가 10mm 늘어나는 경우 직진 "가속력" 감소가 실제 체감될는지요?
또는 가속력이 줄더라도 런칭이나 코너 한계에서 성능 향상이 체감될는지요,ㅜㅠ
(예를 들어 35psi 압으로 3000rpm에서 런칭하던 게 3500 에서 가능해 진다든가요^^)
한 가지 더 연비에 있어서도 체감될 정도로 변화가 올 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회원 분들께 비교적 친숙하실 두 가지 타이어에 대한 질문입니다.
지금 보고있는 타이어가, 현재 장착된 것과 동일한
금호 엑스타 712 타이어 205mm나 지금과 같은 195mm로 하는 경우와,
총 비용 약 8~10만원 더 보태서 한국 R-S2 205mm 로 가는 경우를 놓고
고민중이랍니다.
써보신 분들의 두 타이어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습니다.
특히 금호 712에 비해서 짝당 2.5만원이 비싼 한국R-S2가 써킷 뿐 아니라
공도에서도 그 만큼 가치가 있는 것일지요-
장황한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그럼 테드 회원 여러분, 한 주 힘차게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2006.03.27 11:47:18 (*.208.122.131)

타이어가 슬릭수준이라, 일단 타이어 먼저 교환하시고 문제점을 찾아보시는게 좋을듯합니다~~ 한국타이어 가격이면, BFG, Toyo, Goodyear등등 다른 브렌드도 함 둘러보세요~~~
2006.03.27 14:55:40 (*.146.27.237)

아, TCS 언급을 안했군요^^ TCS안달려있습니다 그냥 ABS만 있습니다.
그리고 저 정도면 "슬릭"이란 말이 나올 정도 맞는거죠? ㅜㅠ 그렇군요..
R-S2말고도 토요 프락시, 팔켄 아제니스, 굿이어 이글 시리즈도 알아봤는데,
가격이 보통 1.5배 정도 하고, 그보다, 해당 브랜드 최고 수준의 UHP타이어이면서
15인치 라인업을 갖춘 브랜드를 찾기가 힘드네요.. 아무래도 퍼포먼스 쪽이면
최소 16인치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서요^^
프락시나 아제니스, 이글 제품 중에 중저가 모델을 택하기보단 차라리 R-S2나
아얘 싼 금호 712가 경쟁력 있을것 같아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 정도면 "슬릭"이란 말이 나올 정도 맞는거죠? ㅜㅠ 그렇군요..
R-S2말고도 토요 프락시, 팔켄 아제니스, 굿이어 이글 시리즈도 알아봤는데,
가격이 보통 1.5배 정도 하고, 그보다, 해당 브랜드 최고 수준의 UHP타이어이면서
15인치 라인업을 갖춘 브랜드를 찾기가 힘드네요.. 아무래도 퍼포먼스 쪽이면
최소 16인치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서요^^
프락시나 아제니스, 이글 제품 중에 중저가 모델을 택하기보단 차라리 R-S2나
아얘 싼 금호 712가 경쟁력 있을것 같아서 생각하고 있습니다~^^
2006.03.27 15:17:57 (*.189.163.250)

클릭페스티벌 원메이크의 타이어가 712(엑스타 수프라)입니다. 제 기억이 틀리지 않는다면 저 정도 수준으로 '만든' 타이어를 실전용으로 쓰더군요 - 새 타이어일때보다 상당히 마모가 진행된 상태에서 그립이 더 좋다고 합니다. 물론 마모시켜가는 과정과 수명에서 좀 차이가 있을듯 싶습니다만... ^^ 클러치 슬립은 스톨테스트해보시는 방법 말고는 딱히 떠오르는 것이 없네요, 사이드 땡겨놓고 ...
2006.03.27 16:04:07 (*.62.42.192)

타이어 슬립이라면 속도계가 rpm 상승에 맞춰 올라갈테고(속도계는 변속기 출력축에 붙어있으므로 타이어가 슬립하면 속도계도 같이 올라가겠죠) 클러치가 슬립이라면 rpm만 올라가고 속도계는 그대로겠죠...왜냐면 클러치가 슬립하면 변속기 출력축은 안도니까 속도계는 그대로일테구요^^
2006.03.27 17:36:40 (*.126.41.70)

타이어에 관한 것만 (아는게 그것밖에 없어서) 말씀드리면 클릭페스티벌에서는 딱 좋은 레이싱 타이어의 마모도 입니다. 195/50/15라면 돈킴군을 비롯한 여러 친구들이 군침을 흘렸을 ^^; 가운데에 비해 사이드가 많이 마모되어 있는 것을 보니 공기압이 적게 넣고 타신것 같네요.. 일반적인 주행에서야 34psi정도가 맞겠지만 와인딩 및 서킷 주행에서는 45psi이상 넣고 탑니다.
2006.03.27 20:02:11 (*.216.116.133)

한국에 계시다면 당장 새타이어와 교환하자는 폐인들이 줄을 설것 같습니다.
액스타 수프라 새 타이어일때와 지금정도의 타이어일때 용인써킷기준으로 약 2초 정도 빠르답니다.(평균적으로)
액스타 수프라 새 타이어일때와 지금정도의 타이어일때 용인써킷기준으로 약 2초 정도 빠르답니다.(평균적으로)
2006.03.27 23:30:50 (*.146.27.237)

휴~ 많은 답변 감사합니다~ 앞으로더 더 부탁드려요^^;
김순익님 답변의, "스톨 테스트"는 어떤 걸 의미하시는 것인지요?
그리구 배지운님^^~ 음~ 바퀴를 띄워놓거나 다이나모 기계에서 돌릴 때는
바퀴가(헛)도는 만큼 rpm이 상승하지만 실 생활에서 휠스핀/번아웃을 할 때는
헛도는 타이어와 지면과의 마찰이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rpm이 그냥 유지가 되더라구요-
그래서 속도도 안오른답니다- 그래서 가속 시간이 길어지는 거구용::ㅜㅠ
그래도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
김순익님 답변의, "스톨 테스트"는 어떤 걸 의미하시는 것인지요?
그리구 배지운님^^~ 음~ 바퀴를 띄워놓거나 다이나모 기계에서 돌릴 때는
바퀴가(헛)도는 만큼 rpm이 상승하지만 실 생활에서 휠스핀/번아웃을 할 때는
헛도는 타이어와 지면과의 마찰이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rpm이 그냥 유지가 되더라구요-
그래서 속도도 안오른답니다- 그래서 가속 시간이 길어지는 거구용::ㅜㅠ
그래도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
2006.03.27 23:34:17 (*.146.27.237)

그리구 마모가 저렇게 진행되었을 때 써킷에서 더 빠르다는 건 정말 새로운 내용이네요-
그럼 드랙/오토크로스에서도 더 낫다는 얘긴데..
ㅡ.ㅡ; 이런.. 타이어를 좀 더 있다가 갈아야하나요^^;;
그렇다 해도 이번 여름 내내 타기는 힘들겠지요? 클릭 페스티발에선
저 수준의 타이어를 갖고 ,, 그냥 몇 랩만 돌고 버리는 건 아닌지^^;
아참, 그리고 트레드 옆 쪽이 많이 닳은 건, 앞바퀴 마이너스 캠버 때문에
안쪽이 많이 닳은거랍니다~ 반대편은(사진에서 먼쪽) 트레드가 더 남아있습니다-
그럼 드랙/오토크로스에서도 더 낫다는 얘긴데..
ㅡ.ㅡ; 이런.. 타이어를 좀 더 있다가 갈아야하나요^^;;
그렇다 해도 이번 여름 내내 타기는 힘들겠지요? 클릭 페스티발에선
저 수준의 타이어를 갖고 ,, 그냥 몇 랩만 돌고 버리는 건 아닌지^^;
아참, 그리고 트레드 옆 쪽이 많이 닳은 건, 앞바퀴 마이너스 캠버 때문에
안쪽이 많이 닳은거랍니다~ 반대편은(사진에서 먼쪽) 트레드가 더 남아있습니다-
2006.03.27 23:38:06 (*.146.27.237)

그럼 여기서,, 한 가지 옵션이 더 생기는데,,
저 타이어를 다 빼고 로테이션을 해서, 바깥쪽의 비교적 남아있는 트레드가 안쪽으로 오게
달고다니면,, (마운팅, 로테이션 비용 6만원쯤 예상..)
한 9월까지 버틸 수 있을까요?
(6개월간 예상으로 약 5000~6000km 주행하게 될 것 같습니다)
(써킷 주행은.. 한 번의 트랙 주행과 몇 번의 드래그/오토크로스 예상됩니다.)
많은 분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타이어를 바꿀려니깐; 어렸을 때 새 신발을 처음 사던 때 처럼 설레이네요..;^^
저 타이어를 다 빼고 로테이션을 해서, 바깥쪽의 비교적 남아있는 트레드가 안쪽으로 오게
달고다니면,, (마운팅, 로테이션 비용 6만원쯤 예상..)
한 9월까지 버틸 수 있을까요?
(6개월간 예상으로 약 5000~6000km 주행하게 될 것 같습니다)
(써킷 주행은.. 한 번의 트랙 주행과 몇 번의 드래그/오토크로스 예상됩니다.)
많은 분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타이어를 바꿀려니깐; 어렸을 때 새 신발을 처음 사던 때 처럼 설레이네요..;^^
2006.03.28 13:00:38 (*.126.41.70)

주행을 어떻게 하시느냐에 따라 틀립니다.
엑스타 수프라 얌전히 공도만 다시면 잘 안닳는 타이어입니다.
그러나 저상태에서 용인스피드웨이 2타임 정도 타면 철심나오기 직전까지 갈겁니다.
와인딩과 서킷에 안가신다면 5000키로는 탈수 있을것 같네요..
엑스타 수프라 얌전히 공도만 다시면 잘 안닳는 타이어입니다.
그러나 저상태에서 용인스피드웨이 2타임 정도 타면 철심나오기 직전까지 갈겁니다.
와인딩과 서킷에 안가신다면 5000키로는 탈수 있을것 같네요..
2006.03.28 14:01:42 (*.189.163.250)

증상으로 봐선 그다지 클러치 슬립같지 않은데요...^^ 스톨테스트는 정확히는 오토트랜스미션 테스트할때 사용하는 용어인듯 싶고... 간단하게 사이드브레이크 땡기고 1단 넣고 천천히 클러치를 떼기 시작해서 완전히 뗄때까지 시동이 꺼지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겁니다. 시동이 꺼지지 않는다면 클러치가 미끄러지고 있는 것이겠죠.
2006.03.28 14:04:22 (*.189.163.250)

국산 타이어 중에는 712 (엑스타 수프라) 뿐만 아니라, 엑스타 SPT, V8-RS(한국) 등이 비슷한 급에 있습니다. 적당한 마일리지와 적당한 그립을 보장하는 UHP 타이어들이구요, 엑스타MX(KU15)와 R-S2(한국)는 맥스 퍼포먼스 급입니다. 타이어랙은 MX를 익스트림퍼포먼스급으로 올려놨더군요. ;;
2006.03.28 15:41:29 (*.146.27.237)

모 클럽에서의 답변에서는, 클러치 슬립이라면 슬립하는 동안 rpm이 상승할거라고 하더군요^^ 또,, 제가 생각해보니 1->2단에서 우웅~ 하는 순간이 클러치 슬립이라면 2->3단 변속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비슷한 시간 동안 일어나야 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또한 노면 상태에 상관없이 언제나 일정하게 일어날테고요-
타이어 슬립이라면 1->2단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2->3단에선 훨씬 약하게 일어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노면에 따라서 영향을 많이 받을테구요.^^
많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네요- ^^~
또한 노면 상태에 상관없이 언제나 일정하게 일어날테고요-
타이어 슬립이라면 1->2단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2->3단에선 훨씬 약하게 일어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노면에 따라서 영향을 많이 받을테구요.^^
많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네요- ^^~
2006.03.28 17:33:53 (*.59.49.177)

만약 저 타이어가 195/50이었으면 공짜로 새타이어와 바꿀수 있었을 텐데 아쉽군여
타이어 한개당 2만원정도 차이라면 rs2추천 합니다. 지금 우람님 차 정도면 그 이상의 오버사이즈도 장착 가능합니다. 그런 205라면 폭이 넓어 런치시에 유리하겠네여.
그리고 양우람님 차 몇번 동승해 봤는데 제가 보기엔 클러치 슬립 같습니다. 근데 이게 긴가민가 한게 매번 탈때마다 노면이 미끄러웠고 흡배기를 해서여. 쉬프트 업 할때 클러치를 부드럽게 릴리스 해보세여. 그런데도 슬립이 일어나면 타이어 슬립이구여 그렇지 않타면 클러치입니다. 그리고 제일 좋은 방법은 옆에 나란히 관측자를 두어 쉬프트업시에 타이어의 동태를 봐달라고 해보세여. 흡배기가 순정이 아니라 쉽진 않겠지만여.
타이어 한개당 2만원정도 차이라면 rs2추천 합니다. 지금 우람님 차 정도면 그 이상의 오버사이즈도 장착 가능합니다. 그런 205라면 폭이 넓어 런치시에 유리하겠네여.
그리고 양우람님 차 몇번 동승해 봤는데 제가 보기엔 클러치 슬립 같습니다. 근데 이게 긴가민가 한게 매번 탈때마다 노면이 미끄러웠고 흡배기를 해서여. 쉬프트 업 할때 클러치를 부드럽게 릴리스 해보세여. 그런데도 슬립이 일어나면 타이어 슬립이구여 그렇지 않타면 클러치입니다. 그리고 제일 좋은 방법은 옆에 나란히 관측자를 두어 쉬프트업시에 타이어의 동태를 봐달라고 해보세여. 흡배기가 순정이 아니라 쉽진 않겠지만여.
2006.03.28 17:40:52 (*.59.49.177)

아 그리고 다른분들의 말씀처럼 지금 상태의 타이어는 레이싱용 타이어로 써도 무방할마큼 최상의 접지력을 보여줄겁니다. 712의 능력 안에서여
2006.03.28 23:30:10 (*.29.144.104)

말씀하신 증상만 봐서는 클러치 슬립이 맞는 것 같은데요.. 변속후 갑작스럽게 클러치를 이을때 미끌어진다면 클러치 슬립이 맞을 것 같습니다.
2006.03.29 10:42:39 (*.146.27.237)

네- 먼저 보현님~ RS2추천 감사하구요^^; 규원님도 말씀해주셨지만,,
제가 보기에도 클러치 슬립으로 결론 내려도 될것 같습니다.
방금도 퇴근길에.. 흠.. 하루종일 쌓인 스트레스 푼답시고..
해선 안될 운전을 조금 했는데..ㅜㅠ
1단 끝에서 2단으로 옮기니 역시 "우웅~" 하다가 "끼긱~" 하면서 텨나가는데,
가만 생각해보니 "우웅~" 한 뒤에 "쿵!" 하면서 동력이 연결되는 충격이 들어오고
그담에 타이어가 끼긱 하더라구요-
새 클러치나 다름없는데 최대한도로 하드한 상황 아래선 순정 클러치가 100% 맘에
들지는 않는군요^^:
마침 캘리포냐쪽에 아는 분이 클러치를 취급하시니.. 다음 업그레이드 때 스테이지 1으로 가야겠습니다.(플라이휠도 함께~)
좋은 의견들 감사합니다^^
제가 보기에도 클러치 슬립으로 결론 내려도 될것 같습니다.
방금도 퇴근길에.. 흠.. 하루종일 쌓인 스트레스 푼답시고..
해선 안될 운전을 조금 했는데..ㅜㅠ
1단 끝에서 2단으로 옮기니 역시 "우웅~" 하다가 "끼긱~" 하면서 텨나가는데,
가만 생각해보니 "우웅~" 한 뒤에 "쿵!" 하면서 동력이 연결되는 충격이 들어오고
그담에 타이어가 끼긱 하더라구요-
새 클러치나 다름없는데 최대한도로 하드한 상황 아래선 순정 클러치가 100% 맘에
들지는 않는군요^^:
마침 캘리포냐쪽에 아는 분이 클러치를 취급하시니.. 다음 업그레이드 때 스테이지 1으로 가야겠습니다.(플라이휠도 함께~)
좋은 의견들 감사합니다^^
2006.04.07 22:43:18 (*.93.87.133)

참고로 저만큼 닳은 타이어와 새타이어와의 무게 차이는 상당합니다.
그립이 좋아지고 동시에 무게도 가볍고 마지막으로 직경 감소로 인한 가속도 증가합니다.
그립이 좋아지고 동시에 무게도 가볍고 마지막으로 직경 감소로 인한 가속도 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