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마스터님께서 현재 독일에 계시니 사정을 잘 아실것같아서 질문을 드리려고 합니다.
저는 현재 2006년식 골프TDI를 타고있습니다. 제가 속해있는 동호회에도 몇번 글을 올린적이 있지만
DPF가 안달려있는 모델이여서 스타트 초기에 부하가 걸렸을때라던가,
3천5백rpm이상으로 달릴 때, 매연이 많이 나는 편입니다.
기름은 모 정유사의 고성능경유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엔진오일도 메이커에서 권장하는
505.01규격의 오일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매연이 많이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거의 잘 보이지 않던 매연이 계절이 바뀌면서 어느순간 주유후에
매연이 급증하는것도 이상하더군요.
독일의 경우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한국에서 운전할 때, 앞에 경유승용차나 경유SUV같은 차량이 가속을 할 때,
여지없이 매연이 보이는데, 이러한것이 독일에서도 정상인지 아니면 우리나라의 어떤
특정한 사항때문에 그렇게 된것인지 아주 궁금합니다.
모 독일 ECU튜너의 경우를 봐도 제차와 같은사양의 차량을 한계까지 튜닝을 하고도,
동영상을 보았을 때, 매연을 거의 볼 수 없는것을 보면, 의구심이 더 커집니다.
테드마스터님께서 혹시 관심을 가지시고 보셨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혹시 이 문제에 대해 어떤 견해가 있으신지도 궁금합니다.
시간내주셔서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항상건강하시고 하시는 일 모두 다 잘 되시길 기원합니다.
저는 현재 2006년식 골프TDI를 타고있습니다. 제가 속해있는 동호회에도 몇번 글을 올린적이 있지만
DPF가 안달려있는 모델이여서 스타트 초기에 부하가 걸렸을때라던가,
3천5백rpm이상으로 달릴 때, 매연이 많이 나는 편입니다.
기름은 모 정유사의 고성능경유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엔진오일도 메이커에서 권장하는
505.01규격의 오일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매연이 많이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거의 잘 보이지 않던 매연이 계절이 바뀌면서 어느순간 주유후에
매연이 급증하는것도 이상하더군요.
독일의 경우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한국에서 운전할 때, 앞에 경유승용차나 경유SUV같은 차량이 가속을 할 때,
여지없이 매연이 보이는데, 이러한것이 독일에서도 정상인지 아니면 우리나라의 어떤
특정한 사항때문에 그렇게 된것인지 아주 궁금합니다.
모 독일 ECU튜너의 경우를 봐도 제차와 같은사양의 차량을 한계까지 튜닝을 하고도,
동영상을 보았을 때, 매연을 거의 볼 수 없는것을 보면, 의구심이 더 커집니다.
테드마스터님께서 혹시 관심을 가지시고 보셨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혹시 이 문제에 대해 어떤 견해가 있으신지도 궁금합니다.
시간내주셔서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항상건강하시고 하시는 일 모두 다 잘 되시길 기원합니다.
2007.06.14 20:43:47 (*.255.8.245)

디젤 무쏘에 튜닝을 했던 경험으로는-이게 적용이 되는지 정확하지 않습니다만-디젤에서의 매연은 연료량대비 공기량이 희박할때 생깁니다. 디젤 매핑이라는 것도 결국 같은 조건에서 연료량을 더 많이 가중시켜 출력을 이끌어 내는데요, 공기량은 터빈의 능력에 한정됩니다. 적어도 국산 디젤에서는 거의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었습니다. 터빈에 따라서 스풀업 구간이 다르기 때문에 디젤 튜닝에서는 초기가속이나 급가속시 터빈의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기 전의 구간에서 매연이 발생하더군요. -.- 골프의 경우 어떻게 다른지 저도 궁금합니다.
2007.06.14 20:53:01 (*.208.83.240)

현재 이탈리아에 있습니다.
이탈리아도 다른 유럽 국가와 마찬가지로 고급 디젤승용차들이 대부분입니다.
Mercedes 만 봐도 S 클래스들도 휘발유 차량을 찾기 힘듭니다.
그런데 매연은 한국에서와 같이 똑같이 나옵니다.
고속도로에서 추월을 위해서 1차선 진입을 하거나 할때 보면 똑같이 매연 나옵니다.
다만 신차들은 조금 적게 나오고, 연식이 5년 정도 이상인 차들은 보기에 흉할 정도로 많이 나오기도 합니다.
차량 메이커에 따라서 달라진다기 보단 연식에 따라서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위의 최민석님께서 말씀 하신게 답인 거 같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매연 나오는 경우를 본적이 없으니깐요..
이탈리아도 다른 유럽 국가와 마찬가지로 고급 디젤승용차들이 대부분입니다.
Mercedes 만 봐도 S 클래스들도 휘발유 차량을 찾기 힘듭니다.
그런데 매연은 한국에서와 같이 똑같이 나옵니다.
고속도로에서 추월을 위해서 1차선 진입을 하거나 할때 보면 똑같이 매연 나옵니다.
다만 신차들은 조금 적게 나오고, 연식이 5년 정도 이상인 차들은 보기에 흉할 정도로 많이 나오기도 합니다.
차량 메이커에 따라서 달라진다기 보단 연식에 따라서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위의 최민석님께서 말씀 하신게 답인 거 같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매연 나오는 경우를 본적이 없으니깐요..
2007.06.14 23:19:58 (*.114.62.39)

제경험으로도 독일에서 마찬가지로 급가속할 때 검은 매연을 봅니다.
그리고 시내에서 서행을 하는 디젤차의 경우 배기관에 분진이 어느정도 축적되었다가 급가속할 때 한꺼번에 나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시가지 주행이 대부분인 한국의 상황과 독일의 상황차이로 인해 검은 매연을 보는 빈도에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만 디젤 승용차들이 급가속할 때 순간적으로 검은매연을 뿜는 것은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하중님의 차량상태나 기타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일반인들이 누구나 객관적으로 보고 느끼는 것 이상의 의견을 드리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시내에서 서행을 하는 디젤차의 경우 배기관에 분진이 어느정도 축적되었다가 급가속할 때 한꺼번에 나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시가지 주행이 대부분인 한국의 상황과 독일의 상황차이로 인해 검은 매연을 보는 빈도에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만 디젤 승용차들이 급가속할 때 순간적으로 검은매연을 뿜는 것은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하중님의 차량상태나 기타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일반인들이 누구나 객관적으로 보고 느끼는 것 이상의 의견을 드리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2007.06.15 01:11:43 (*.53.97.36)

튜닝한 디젤차에서의 매연의 양은 터빈이 동일하고 능률이 같다는 전재하에서 연료량을 높일수록 출력이 증가하는 반면 제공되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양을 초과하면 매연의 양이 급격하게 늘어납니다. 또한 배기온도 동일한 조건에서 급격하게 높아지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연료량을 증가시키면 출력은 늘어나지만 연소할 수 있는 공기의 양보다 많아지면 매연도 많아지더군요.
2007.06.15 01:18:16 (*.140.176.149)
매연이 신경이 많이 쓰이시나 보네요.
분명 인젝터 상태, 배기라인, 운전조건에 따라 매연의 정도는 달라질수 있지만
가솔린처럼 될수는 없습니다. 저속에서 급가속, 또는 고알피엠 운전조건은 디젤연료의
특성상 연소가 불안정하여 매연도 많이나오는 조건입니다. DPF가 없는 차량이시면 그리 크게 고민하지 않으셔도 될것같습니다. 다른 차종과 비교하는것도 별로 도움은 안될것 같습니다. 같은 유로 4 차량 이라고 배출가스 정도가 같지는 않습니다. 회사별로 차종별로 개발 목표치가 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어떤차는 유로4에 간신히 걸치게 개발된 차도 있을것이고 어떤차는 규정의 70프로까지 줄이는걸 목표로 개발된 차도 있을것입니다.
너무 고민하지 마세요~^^
분명 인젝터 상태, 배기라인, 운전조건에 따라 매연의 정도는 달라질수 있지만
가솔린처럼 될수는 없습니다. 저속에서 급가속, 또는 고알피엠 운전조건은 디젤연료의
특성상 연소가 불안정하여 매연도 많이나오는 조건입니다. DPF가 없는 차량이시면 그리 크게 고민하지 않으셔도 될것같습니다. 다른 차종과 비교하는것도 별로 도움은 안될것 같습니다. 같은 유로 4 차량 이라고 배출가스 정도가 같지는 않습니다. 회사별로 차종별로 개발 목표치가 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어떤차는 유로4에 간신히 걸치게 개발된 차도 있을것이고 어떤차는 규정의 70프로까지 줄이는걸 목표로 개발된 차도 있을것입니다.
너무 고민하지 마세요~^^
2007.06.15 08:08:06 (*.149.144.141)

찬기님 간신히 걸치게 하는게 최.적.설.계. 인가요? ㅋㅋㅋ
나 조만간에 차 파는데 그전에 세기의 대결 해야죠~~~~^^
나 조만간에 차 파는데 그전에 세기의 대결 해야죠~~~~^^
2007.06.15 11:26:35 (*.248.59.111)
양산 마진과 노후화를 대비한 마진으로 규제치 대비 60%를 만족시켜야 양산하는 회사들도 있습니다만.. 인증용 엔진부터 간신히 걸치게 만들면 나중에 차 산 사람들은 땀좀 흘리겠네요..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