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55&aid=0000344176&sid1=001&lfrom=facebook
(전략)
미 환경보호청은 현지시각으로 어제(2일) 홈페이지에 공지문을 올려 폭스바겐이 3천CC급 차량에도 배출가스 조작장치를 부착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새로 적발된 차량은 2014년형 VW 투아렉, 2015년형 포르셰 카이옌, 2016년형 아우디 A6 콰트로, 아우디 A7 콰트로, A8, Q5 등 모델로, 미국에서만 약 1만 대가 판매됐습니다.
그동안 폭스바겐은 2009∼2015년형 2천CC 모델을 상대로만 배출가스 조작을 한 것으로 알려졌었습니다.
폭스바겐은 조작 장치 또는 눈속임을 통해 배출가스 검사를 통과한 뒤 실제 주행 중에는 기준치보다 훨씬 높은 질소산화물을 배출해 오다 당국에 적발됐습니다.
1차 적발 당시 배출가스 조작장치 부착이 확인된 차량은 1,100만 대로, 이 중 약 50만 대가 미국에서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환경보호청 집행국은 "폭스바겐이 다시 한 번 미국의 청정대기 보호 규정을 위반했다"면서 "이 심각한 문제에 대해 조사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폭스바겐은 곧바로 환경보호청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해,... (후략)
이번에는 폭스바겐이 인정 안 하고 바로 반박했네요. 동일한 주제로 제가 의문을 제기했는데,
http://www.testdrive.or.kr/qna/2050370
과연 누가 진실을 말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다만, 저 포르쉐 한국 홈페이지의 홍보자료대로, 요수수 까지 쓰는 카이엔 6기통 엔진도 배출가스를 조작해야 했다면, 포르쉐 브랜드에 미칠 타격도 상당히 커보입니다.
이번에 적발된 차들 목록:
2014 Touareg
2015 Porsche Cayenne
2016 Audi A6, A7, A8, A8L, Q5
EPA의 발표를 보니까 2개의 모드를 가지고 있다가 배기 검사가 끝나고 딱 1초 이후에 정상모드로 돌아가는 형태라고 합니다. 즉 배기검사가 진행중일때는 "temperature conditioning"이라고 부르는 모드에서 진행하다가 검사가 종료되면 "normal mode"로 부르는 모드로 바뀌고 그 간격이 딱 1초였다는거죠. 폭스바겐도 즉시 반박했습니다만 타격이 클듯 싶습니다. 특히 Audi랑 포르쉐가 포함되어서 더더욱 껄끄럽네요...

위 동영상에서 나오는 엔진이 해당 엔진인데
NOC + SCRF 조합과 흠좀무하게 짧은 urea mixing chamber를 보고난 후 "덕국의 기술력은 우주제에에에일"이라고 외치면서 느꼈던 감탄이 배신으로 돌아오네요

http://m.news.naver.com/hotissue/read.nhn?sid1=104&cid=1027133&iid=1323686&oid=014&aid=0003534844
휘발유차들에서도 배출가소 조작되었다고 합니다.
(전략)
AP통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폭스바겐은 이날 자체 배출가스 점검 결과 휘발유 차량 80만대가 표시된 기준치 이상의 이산화탄소(CO2)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폭스바겐은 새로운 결함 발견으로 회사가 입게 될 '경제적 위험이 대략 20억유로(약 2조4900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우려했다.
(중략)
폭스바겐은 문제가 된 차종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은채 약 80만대 차량의 CO2 배출가스가 실제보다 훨씬 적은 수치로 차량에 표시됐다고만 밝혔다.
(후략)
그럼 설마 포르쉐 휘발유차들도....??

3.0 tdi 의 경우 저온 시동시 엔진 등을 보호 (빠른 시간내 엔진 온도를 올리기 위한) 하기 위한 세팅이라고 해명을 했더군요.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최근 나오는 대부분의 디젤이나 휘발유 차량은 같은 방식 혹은 유사한 시스템이 적용되지 않나요?
기술적인건 잘 모르지만.. 대부분 구형 휘발류엔진의 경우에는 온도가 올라갈때까지 팬을 안돌린다던가, 냉각수 서모스탯이 적정 온도에서 열리는 등의 방법이 연비 와 내구성 증가를 위한 방법으로 사용 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요소수를 쓰는데도 배출 가스 조작을 해야할 필요가 있는지 정말 의문이네요. 출력을 얼마나 더 끌어올리고 싶었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