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lpg 봉고 타고 다니는 김정환입니다.
앨범에 사진을 보신분도 계실거 같고...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여지껏 저를 거쳐간 가스차가 4대째 입니다.
카니발, 카스타, 그레이스2.4...그리고 지금의 개조차.
지금차를 제외하면 모두 '원레' 가스차로 나온차입니다.
지금차를 제외하면 다른차들 모두 휘발유차에 유사한 특성을 보였습니다.
힘...은 제외하고요. 회전영역이라던가... 소음이라던가...
클러치조절 잘못하면 바로 시동꺼짐 이라던가...
궁금한것은. 디젤차가 개조를 거쳐 lpg 엔진이 되어도
기존 디젤엔진의 특성을 가져오는가 입니다...
회전의 증감도 느리고. 회전영역 역시 그대로 인것 같고.
개조를 의뢰하면서 당연히 좀 바뀌지 않을까.
계기판의 알피엠부분이 바뀌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한참 굴리면서 보니 좀... 궁금합니다.
클러치 대충 조작해도 시동은 꺼지지 않고...
더블클러치를 쓰려해도 악셀을 지긋이 밟아야 하니
자주 멈칫하게 되고... 그 감으로 다른차 올라타면
더블클러치 쓰는순간 주변사람들이 불안해하고...;
엔진의 특성은 어떤것에 의해 결정이 되는건가요?? ^^;
너무 두리 뭉실한 질문이 아닌지...
가르침을 주세요~
앨범에 사진을 보신분도 계실거 같고...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여지껏 저를 거쳐간 가스차가 4대째 입니다.
카니발, 카스타, 그레이스2.4...그리고 지금의 개조차.
지금차를 제외하면 모두 '원레' 가스차로 나온차입니다.
지금차를 제외하면 다른차들 모두 휘발유차에 유사한 특성을 보였습니다.
힘...은 제외하고요. 회전영역이라던가... 소음이라던가...
클러치조절 잘못하면 바로 시동꺼짐 이라던가...
궁금한것은. 디젤차가 개조를 거쳐 lpg 엔진이 되어도
기존 디젤엔진의 특성을 가져오는가 입니다...
회전의 증감도 느리고. 회전영역 역시 그대로 인것 같고.
개조를 의뢰하면서 당연히 좀 바뀌지 않을까.
계기판의 알피엠부분이 바뀌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한참 굴리면서 보니 좀... 궁금합니다.
클러치 대충 조작해도 시동은 꺼지지 않고...
더블클러치를 쓰려해도 악셀을 지긋이 밟아야 하니
자주 멈칫하게 되고... 그 감으로 다른차 올라타면
더블클러치 쓰는순간 주변사람들이 불안해하고...;
엔진의 특성은 어떤것에 의해 결정이 되는건가요?? ^^;
너무 두리 뭉실한 질문이 아닌지...
가르침을 주세요~
2007.08.20 11:38:26 (*.64.62.191)

lpi로 간다면 압축착화 방식이 아닌 가솔린과 같은 점화로 가기 때문에 엔진을 통째로 바꾸는 겁니다.
따라서 김정환님의 차량의 rpm 게이지가 원래의 디젤것을 사용한다면 비효율적인 주행이었겠죠.
차량의 최대출력 지점이나 토크지점이 원래 엔진과는 확실히 다르기 때문에 엔진을 쓰는 방식도 달라져야 합니다.
좀더 신경써서 운전하시다 보면 어떤 회전수를 써야 효과적인지 경험으로 알게되실거라 생각합니다. 아니면 대배기량의 lpi 엔진으로 교체하셨다면 유효 회전수는 종전의 디젤과 비슷할 것 같습니다.
ngv 버스의 것을 보면 기존의 디젤 버스와 별 차이가 없는거 같더군여.
따라서 김정환님의 차량의 rpm 게이지가 원래의 디젤것을 사용한다면 비효율적인 주행이었겠죠.
차량의 최대출력 지점이나 토크지점이 원래 엔진과는 확실히 다르기 때문에 엔진을 쓰는 방식도 달라져야 합니다.
좀더 신경써서 운전하시다 보면 어떤 회전수를 써야 효과적인지 경험으로 알게되실거라 생각합니다. 아니면 대배기량의 lpi 엔진으로 교체하셨다면 유효 회전수는 종전의 디젤과 비슷할 것 같습니다.
ngv 버스의 것을 보면 기존의 디젤 버스와 별 차이가 없는거 같더군여.
2007.08.20 12:23:37 (*.134.225.3)
에... 제가 알기로는 엔진 보링이랑 헤드,피스톤등등 70가지 정도 부품교환해서
lpg가 된다고 알고 있는데... 정확히는 ^^;
3.0디젤이 3.xlpg가 된셈인데요...
기화기식에... 악셀을 밟아보면. 회전 증감이 디젤의 그것이랑 흡사합니다...
전 이런점은 연료의 특성으로 차이가 생긴다고 알았는데...
그게 아닌거 같아서 여쭤보아요 ^^;;;; 아울러 회전영역도 당연히
바뀌는것이 아닌지... 흠흠ㅋ
lpg가 된다고 알고 있는데... 정확히는 ^^;
3.0디젤이 3.xlpg가 된셈인데요...
기화기식에... 악셀을 밟아보면. 회전 증감이 디젤의 그것이랑 흡사합니다...
전 이런점은 연료의 특성으로 차이가 생긴다고 알았는데...
그게 아닌거 같아서 여쭤보아요 ^^;;;; 아울러 회전영역도 당연히
바뀌는것이 아닌지... 흠흠ㅋ
2007.08.20 14:37:22 (*.254.212.129)

압축비가 아주 많이 다를텐데... 블럭을 안 바꾸고도.. LPG를 사용할 수 있을지요? 갈수록..궁금..궁금...^^;;; 헤드 바꾸면서.. 점화 플러그를 추가 하셨다는 이야기?? 이신지요?
디젤/가솔린 엔진의 특성은 연료 특성에서 차이가 난다고 알고 있었는데...
디젤엔진도 LPG로 변경이 가능한지요? 디젤엔진은 점화 없이 고압상태로 발화 시키는 엔진일터인데... LPG로 그런 환경으로 가려면.. 음... 상상이 안되던 일이라서, 그냥 주절 거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