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본인 :
주행거리 기준 ~2000Km 까지는 3000rpm을 넘지 않는 선에서 살살 운행하다가
( 과적, 급제동, 기타 부하가 걸릴민한 운행은 피한 상태 ) 2000Km 전후에서 순정엔진오일 (5W30)교환 후 현재 10000km까지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대로 고속 길들이기 중입니다.
친구
저와 3일차로 같은 차를 산 후 4000Km까지는 저와 동일하게 3000rpm을 넘지 않는 수준에서 살살 주행 후 순정 오일(5w30)로 교환과 동시에 고 rpm 사용 운행 (4000 ~ 4500 rpm에서 변속)현재 7500km 주행 중입니다.
주말에 함께 청원-상주간 고속도로(왕복 190Km)를 올라 80~140km/Hr 구간 가속, 최고속등을 비교해 봤습니다. 이런 저런 비교도 해보고자 상주 가는길에는 자기차를.. 오는길에는 상대차로 바꿔서 운행을 해 본 후 느낌은 친구차가 중속에서 가속은 좀 더 경쾌하게 된다는 부분과 최고속도 친구차가 빠르다 입니다.
(생활무전기를 이용해서 하나, 둘, 셋! 하면서 서로 풀 스로틀을 해 보았지만 친구의 차가 한박자 반 빠르게 앞서 나가고 최고속도도 친구차에 비해 제차가 GPS상으로 15~20 km/Hr정도 뒤지더군요...계속 밟으면 올라갈 수 는 있겠지만 저는 단순히 친구차와 비교를 하는게 목적이기에 확인만 하고 말았습니다 )
차 특성 상 5단 3000rpm이 140km/Hr 근처를 가르키니 저는 4000rpm대에는 다가가본 경우가 거의 없고(킥다운의 경우만..) 친구는 수동변속기능을 사용해서 3000~4500 영역을 평상시에 자주 사용하는 지라 고 rpm의 사용 여부가 엔진 특성 길들이기에 영향을 주는 건 아닌가 싶습니다. TCM의 학습도 물론 다르게 되어 있으니 그런 차이가 날 수도 있다고 생각은 합니다만..
주말의 경험으로 인해 그냥 이런저런 생각이 듭니다....
차 길들인다고 고속도로에서 눈 부릅뜨고 밟는거나 기어 단수 낮춰 고 rpm을 잠시 운행하는 거나 같은건지... 너무 낮은 rpm만 사용하면 플러그의 자정작용은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는건지... 그렇다면 엔진 내부에 쌓이는 카본은 오히려 내차에서 더 빨리 쌓이게 될런지...
그제, 어제 그냥 그런 생각들 해 봤습니다...
길들이기를 차속 기준으로 하는게 효율적인지.. 엔진 rpm을 적절하게 높여주는게 적절한지..
그런거 고민하면서 타지 않겠노라고 마음먹은지 6개월이 지난 후 다시 병이 도집니다--;
주행거리 기준 ~2000Km 까지는 3000rpm을 넘지 않는 선에서 살살 운행하다가
( 과적, 급제동, 기타 부하가 걸릴민한 운행은 피한 상태 ) 2000Km 전후에서 순정엔진오일 (5W30)교환 후 현재 10000km까지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대로 고속 길들이기 중입니다.
친구
저와 3일차로 같은 차를 산 후 4000Km까지는 저와 동일하게 3000rpm을 넘지 않는 수준에서 살살 주행 후 순정 오일(5w30)로 교환과 동시에 고 rpm 사용 운행 (4000 ~ 4500 rpm에서 변속)현재 7500km 주행 중입니다.
주말에 함께 청원-상주간 고속도로(왕복 190Km)를 올라 80~140km/Hr 구간 가속, 최고속등을 비교해 봤습니다. 이런 저런 비교도 해보고자 상주 가는길에는 자기차를.. 오는길에는 상대차로 바꿔서 운행을 해 본 후 느낌은 친구차가 중속에서 가속은 좀 더 경쾌하게 된다는 부분과 최고속도 친구차가 빠르다 입니다.
(생활무전기를 이용해서 하나, 둘, 셋! 하면서 서로 풀 스로틀을 해 보았지만 친구의 차가 한박자 반 빠르게 앞서 나가고 최고속도도 친구차에 비해 제차가 GPS상으로 15~20 km/Hr정도 뒤지더군요...계속 밟으면 올라갈 수 는 있겠지만 저는 단순히 친구차와 비교를 하는게 목적이기에 확인만 하고 말았습니다 )
차 특성 상 5단 3000rpm이 140km/Hr 근처를 가르키니 저는 4000rpm대에는 다가가본 경우가 거의 없고(킥다운의 경우만..) 친구는 수동변속기능을 사용해서 3000~4500 영역을 평상시에 자주 사용하는 지라 고 rpm의 사용 여부가 엔진 특성 길들이기에 영향을 주는 건 아닌가 싶습니다. TCM의 학습도 물론 다르게 되어 있으니 그런 차이가 날 수도 있다고 생각은 합니다만..
주말의 경험으로 인해 그냥 이런저런 생각이 듭니다....
차 길들인다고 고속도로에서 눈 부릅뜨고 밟는거나 기어 단수 낮춰 고 rpm을 잠시 운행하는 거나 같은건지... 너무 낮은 rpm만 사용하면 플러그의 자정작용은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는건지... 그렇다면 엔진 내부에 쌓이는 카본은 오히려 내차에서 더 빨리 쌓이게 될런지...
그제, 어제 그냥 그런 생각들 해 봤습니다...
길들이기를 차속 기준으로 하는게 효율적인지.. 엔진 rpm을 적절하게 높여주는게 적절한지..
그런거 고민하면서 타지 않겠노라고 마음먹은지 6개월이 지난 후 다시 병이 도집니다--;
2008.02.19 12:02:48 (*.155.138.149)

뽑기도 원인일 수 있고 또 친구분과 기혁님의 평소 운전 스타일 때문에 차이가 나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평소 저알피엠만 사용한 차들 같은 경우 길들이기 여부를 떠나서 마치 봉인되어있는 것처럼 고알피엠에서 상당히 맥을 못춥니다. 제 생각으로는 엔진 내부나 ecu같은 하드웨어적인 요소들이 그런 고회전에 길들(?)여져있지 않아서 그럴 듯 합니다. 기타 정비상태도 봐야할 것 같구요.
2008.02.19 13:31:31 (*.182.131.212)

요즘 같아서는 제 달리고 싶은 충동에 어울릴만한 엑센트 프로나 세피아 한대
영입하고 싶습니다.--;
5년전에 차값을 넘어서는 튜닝을 해 본 후 아니다 싶어 맘 잡고 얌전히 사는 중인데 남자의 본능 '질주'는 어쩔 수 없나 보네요...
그러고 보면 차 선택을 잘못한듯 하기도 하구요...
영입하고 싶습니다.--;
5년전에 차값을 넘어서는 튜닝을 해 본 후 아니다 싶어 맘 잡고 얌전히 사는 중인데 남자의 본능 '질주'는 어쩔 수 없나 보네요...
그러고 보면 차 선택을 잘못한듯 하기도 하구요...
2008.02.19 21:01:41 (*.235.33.166)
전 길들이기 생략하고 출고후 바로 풀악셀 때렸었습니다....
길들이기의 필요성을 못느끼는지라.......
그러나 적어도 제 차가 동일차량 다른 순정차보다 잘나가는건 확실하더군요.
길들이기의 필요성을 못느끼는지라.......
그러나 적어도 제 차가 동일차량 다른 순정차보다 잘나가는건 확실하더군요.
2008.02.20 16:11:43 (*.134.225.3)
약간 다른경우지만... 저도 엔진 반보링하고 그냥 냅다 달려다녔는데...
같은차종에 같이 반보링한 차들보다 연비 우위, 최고속 우위로 나옵니다.
보링하고나서 길들때까지 만키로 살살타라고 했는데...
막 고속도로 올려서 타버렸더니 남보다 길들이기도 일찍끝나서
정상연비도 일찍나왔습니다.
같은차종에 같이 반보링한 차들보다 연비 우위, 최고속 우위로 나옵니다.
보링하고나서 길들때까지 만키로 살살타라고 했는데...
막 고속도로 올려서 타버렸더니 남보다 길들이기도 일찍끝나서
정상연비도 일찍나왔습니다.
2008.02.20 17:10:57 (*.182.131.212)

리플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길들이기를 엔진 rpm을 이용하여 길들이는게 효율적인지 실제 차속을 그만큼 올려서 길들이는게 효율적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판단이 되지는 않습니다. 주위 의견은 꼭 차속을 높여가면서까지 엔진 길들이기는 하지 않아도 rpm을 활용함으로 엔진 길들이기를 어느정도 할 수 있겠다 하는 정도입니다.
슬슬 춘곤증이 다가오는 씨즌, 안전 운전 하세요^^
슬슬 춘곤증이 다가오는 씨즌, 안전 운전 하세요^^
2008.02.20 20:01:44 (*.193.141.132)

블럭의 열경화는 초반부터 조지는게 아니라 서서히 두고 길들이시는게 블럭의 강도가 안정적이고 마모가 적습니다. 추후에 4000rpm 5000rpm 이후에 풀알피엠까지 풀악셀 보다는 리니어하게 각단을 적당하게 길들이기 해주시면 좋습니다.사실 2단 6500rpm 보다는 3단 6500rpm가 부하가 큰건 사실입니다만 고속에서 레드존만 넘지않으면 됩니다. 즉 레드존 까지는 마음대로 써도 되는거죠. 대신 오일온도를 염두해두고 좋은 합성유를 써야 됩니다. 평소때 주행시는 무리할 필요없이 자신이 필요한 영역까지만 리니어하게 알피엠을 골고루 써주시면 됩니다. 그러다가 한번씩 고속주행을 해주는거죠^^ 저의 경우는 시내주행만 하다가 고속주행 잠깐씩 해주고, 그 다음날 시내주행을 해보면 한결 가볍고 차가 잘나가는 느낌을 받곤합니다.
뽑기가 잘못된차를 조심히 길들인다고 출력이 더 나는것도 아니고... 뽑기가 잘된차를 처음부터 조진다고 차가 안나가는것도 아닌듯.. (뭐 개인적인 경험및 생각입니다.)
제 기준은 1000km 까지는 조심운행.. 3000km까지는 골고루 전 영역대의 rpm을 과도하지않게 사용, 3000km 이후로는 평소운전습관대로... 필요할땐 과감히 풀악셀..
제가 길들였던 차들도 그렇고 주변의 여러 차들을 보아도.. 길들이기 잘해서 차가 잘나간다.. 이런 이야기는 가끔 듣습니다만.. 길들이기 망쳐서 차가 엉망이야.. 완전 실패... 이런 이야기는 한번도 못들어봤네요..
길들이기가 정말 영향력이 크다면 두가지 상반된 경험이 절반씩은 나와야 정상 아닌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