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와인딩하기는 차가 부담스럽고 실력도 되지 않아 고속크루징을 즐겨하는 운전 스타일
입니다. 사실 지금의 순정 서스펜션조합도 다 소화도 못시키는 실력이지만, 얼마전
인천공항에서 차선을 순간이동하는 윤중님의 차량을 보고 서스에 대한 욕심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하나 고민은 지금의 순정차량도 충분히 키가 낮다는 겁니다.
235-45-17인치 타이어와 펜더간의 간격은 지금도 손가락 두개정도 밖에 되지 않고
더 로워링을 할 경우 난감한 경우도 가끔 생길수 있어 순정스프링+빌스테인댐퍼를
고민중에 있습니다.
고속크루징을 하는곳은 주로 경부고속도로와 외곽, 그리고 파주가는길(자유로)입니다.
순정 서스펜션으로 몇번의 고속주행을 통해 느낀점은 생각보다 훌륭하다 였습니다.
노면 이음새와 화물차로 인한 도로굴곡면에서도 훌륭한 직진성을 보여 주었으며
크게 타이트하지 않은 고속 코너에서는 스프링만 교체한 M3보다 접지 한계치가 더 높은듯
하였습니다. 휴게소에서 차주와 대화하던중 코너에서 차가 통통 튀어 악셀을 늦췄다 합니다.
다만 고저차가 존재하는 코너등을 고속으로 돌게될경우 몸으로 느껴지는 두려운 차량의
롤링 제거와 어쩔수 없는 급차선 변경/제동시 안정적이고 즉답적인 차량의 거동을 원하는데 무조건 하드한 서스로 가는것이 정답인지 또 그만큼의 한계치도 높아지는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있습니다. 자유로 또는 경부정도의 도로요철과 이음새 감안할때 과연 딱딱한 서스가 답인지 고민이게 합니다. 서스의 답이라고 얘기되는 빌스타인의 하드함에 순정스프링의 소프함이 조합될때 과연 제가 예상하는 결과가 나올지 궁금합니다.
듣기로는 하드댐퍼와 소프트스프링은 불규칙노면상에서 엄청 쿵쿵 댄다고 들었습니다.
위에 이야기한 어느정도의 롤링제거와 급차선변경시에도 차를 받아주고 또 어느정도의
끈적임을 보여줄수 있는 매칭은 어떤것일까요?
회원분의 조언을 구합니다.
PS: 끈적임을 원하는 이유는 승차감때문이기 보다는 도로 이음새등에서 예상치 않은
차선이동이나 점프로 인한 차량통제블능상태를 막아보고자 함입니다. ^^
물론 통제를 회복할수도 있으나 회복못할수도 있으니까요? 차 날아가면 너무
무서워요...^^
입니다. 사실 지금의 순정 서스펜션조합도 다 소화도 못시키는 실력이지만, 얼마전
인천공항에서 차선을 순간이동하는 윤중님의 차량을 보고 서스에 대한 욕심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하나 고민은 지금의 순정차량도 충분히 키가 낮다는 겁니다.
235-45-17인치 타이어와 펜더간의 간격은 지금도 손가락 두개정도 밖에 되지 않고
더 로워링을 할 경우 난감한 경우도 가끔 생길수 있어 순정스프링+빌스테인댐퍼를
고민중에 있습니다.
고속크루징을 하는곳은 주로 경부고속도로와 외곽, 그리고 파주가는길(자유로)입니다.
순정 서스펜션으로 몇번의 고속주행을 통해 느낀점은 생각보다 훌륭하다 였습니다.
노면 이음새와 화물차로 인한 도로굴곡면에서도 훌륭한 직진성을 보여 주었으며
크게 타이트하지 않은 고속 코너에서는 스프링만 교체한 M3보다 접지 한계치가 더 높은듯
하였습니다. 휴게소에서 차주와 대화하던중 코너에서 차가 통통 튀어 악셀을 늦췄다 합니다.
다만 고저차가 존재하는 코너등을 고속으로 돌게될경우 몸으로 느껴지는 두려운 차량의
롤링 제거와 어쩔수 없는 급차선 변경/제동시 안정적이고 즉답적인 차량의 거동을 원하는데 무조건 하드한 서스로 가는것이 정답인지 또 그만큼의 한계치도 높아지는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있습니다. 자유로 또는 경부정도의 도로요철과 이음새 감안할때 과연 딱딱한 서스가 답인지 고민이게 합니다. 서스의 답이라고 얘기되는 빌스타인의 하드함에 순정스프링의 소프함이 조합될때 과연 제가 예상하는 결과가 나올지 궁금합니다.
듣기로는 하드댐퍼와 소프트스프링은 불규칙노면상에서 엄청 쿵쿵 댄다고 들었습니다.
위에 이야기한 어느정도의 롤링제거와 급차선변경시에도 차를 받아주고 또 어느정도의
끈적임을 보여줄수 있는 매칭은 어떤것일까요?
회원분의 조언을 구합니다.
PS: 끈적임을 원하는 이유는 승차감때문이기 보다는 도로 이음새등에서 예상치 않은
차선이동이나 점프로 인한 차량통제블능상태를 막아보고자 함입니다. ^^
물론 통제를 회복할수도 있으나 회복못할수도 있으니까요? 차 날아가면 너무
무서워요...^^
2008.04.15 02:00:44 (*.54.199.64)

순정차량의 댐퍼는 삭스이며,. 튜닝용도 선택의 여지가 많지 않아 빌스테인 (스포츠,스프린터) , 코니 (옐로우) 내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2008.04.15 02:42:53 (*.126.60.12)

하드댐퍼에 소프트 스프링이면 불규칙 노면에서 더 튀지 않을까요?
그런데 윤중님 차량이 차선을 순간이동했다는 것이 차가 튀어서 옆 차선으로 넘어갔다는 말씀이신가요, 차선변경을 빠르게 잘 했다는 뜻인가요?
딴 소리지만, 대구-포항고속도로에서 강풍이 불 때 속도 좀 내서 달리다가 도로 이음새 부분에서 차가 튀면서 옆으로 1-2 센티 날아간적이 있는데 등골이 오싹하더군요. 하지만 바람이 없을 때는 같은 구간에서 그런 현상은 전혀 일어나지 않는 것을 보고 그 이후로 바람 많이 부는 날은 무조건 조심합니다.
911 터보 타는 아는 형님은 역시 강풍 부는 날, 아예 옆차선으로 날아가본적도 있다더군요. 저는 단 몇 센티만 튀어도 정신이 아득하던데... 포르쉐고 뭐고 강한 횡풍에는 장사없나봅니다.
그런데 윤중님 차량이 차선을 순간이동했다는 것이 차가 튀어서 옆 차선으로 넘어갔다는 말씀이신가요, 차선변경을 빠르게 잘 했다는 뜻인가요?
딴 소리지만, 대구-포항고속도로에서 강풍이 불 때 속도 좀 내서 달리다가 도로 이음새 부분에서 차가 튀면서 옆으로 1-2 센티 날아간적이 있는데 등골이 오싹하더군요. 하지만 바람이 없을 때는 같은 구간에서 그런 현상은 전혀 일어나지 않는 것을 보고 그 이후로 바람 많이 부는 날은 무조건 조심합니다.
911 터보 타는 아는 형님은 역시 강풍 부는 날, 아예 옆차선으로 날아가본적도 있다더군요. 저는 단 몇 센티만 튀어도 정신이 아득하던데... 포르쉐고 뭐고 강한 횡풍에는 장사없나봅니다.
2008.04.15 10:04:52 (*.253.219.194)

희재님...
제 차량의 서스가 현재 정상이 아니라서 그런 움직임을 보였을수도 있습니다.
최근에 샵에가서 본결과 핸들 쇼바와 앞 볼부싱 두개가 나가서 교환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 이후에는 차량의 거동이 더 안좋아질수도 있다는 걱정이 요즘 제 큰 걱정중 하나입니다.
제 차량의 서스가 현재 정상이 아니라서 그런 움직임을 보였을수도 있습니다.
최근에 샵에가서 본결과 핸들 쇼바와 앞 볼부싱 두개가 나가서 교환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 이후에는 차량의 거동이 더 안좋아질수도 있다는 걱정이 요즘 제 큰 걱정중 하나입니다.
2008.04.15 10:19:24 (*.22.116.168)
일상용으로 사용하시기엔 코일오버 타입이 무리이긴합니다.
e39 540 에 한참 고민하다 삭스퍼포먼스로 갔지만..
고속 긴 코너에서의 불규칙바운드에서도 빌스타인 코일오버타입이 더 로드홀딩력은 뛰어났습니다.강한 댐퍼가 항상 노면을 놓치지 않았습니다.
무르다고 해서 접지력이 둔하되는것은 아니지만 범프순간의 조향을 잃을수가 있습니다.
45시리즈 타이어라면..강한쇽에도 어느정도 타협점이 있을듯하며..
고급(?)..KW V1 ,빌스타인 PSS -스포츠주행전용..이나 써스에 스프링/댐퍼조합보다는 세트로 구성된 회사 패키지를 이용해보시는것도 좋을듯합니다.
e39 540 에 한참 고민하다 삭스퍼포먼스로 갔지만..
고속 긴 코너에서의 불규칙바운드에서도 빌스타인 코일오버타입이 더 로드홀딩력은 뛰어났습니다.강한 댐퍼가 항상 노면을 놓치지 않았습니다.
무르다고 해서 접지력이 둔하되는것은 아니지만 범프순간의 조향을 잃을수가 있습니다.
45시리즈 타이어라면..강한쇽에도 어느정도 타협점이 있을듯하며..
고급(?)..KW V1 ,빌스타인 PSS -스포츠주행전용..이나 써스에 스프링/댐퍼조합보다는 세트로 구성된 회사 패키지를 이용해보시는것도 좋을듯합니다.
2008.04.15 16:59:57 (*.127.196.187)
하드한 서스펜션은 트랙같이 포장이 잘되어있는곳에서의 주행에 적합합니다
일반 도로라면 어느정도 소프트한쪽이 로드홀딩에 유리합니다
물론 하드한 서스펜션으로 쿵쾅거리면서도 잘달리는 분도 계시지만... 같은길을 하드한 서스펜션으로 가면 전... 본의아니게 옆차선 이동신공을 펼쳐드릴수밖에 없습니다
저도 류기주님 말씀처럼 스태빌라이저를 강화하시는 쪽이 코너에서 롤은 줄이고 끈적임도 가지실수있다고 생각됩니다
일반적으로 서스펜션이 단단할수록 비례해서 코너에서의 한계는 더 떨어집니다
일반 도로라면 어느정도 소프트한쪽이 로드홀딩에 유리합니다
물론 하드한 서스펜션으로 쿵쾅거리면서도 잘달리는 분도 계시지만... 같은길을 하드한 서스펜션으로 가면 전... 본의아니게 옆차선 이동신공을 펼쳐드릴수밖에 없습니다
저도 류기주님 말씀처럼 스태빌라이저를 강화하시는 쪽이 코너에서 롤은 줄이고 끈적임도 가지실수있다고 생각됩니다
일반적으로 서스펜션이 단단할수록 비례해서 코너에서의 한계는 더 떨어집니다
2008.04.15 18:23:40 (*.163.126.27)

이동섭님과 비슷한 생각을 했었기에 고민을 시작했던것 같습니다.
아직도 고민중이지만 우선 스테빌은 필수처럼 여겨지는군요...
스테빌+빌스테인과 H&R정도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회원분들의 내용있는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아직도 고민중이지만 우선 스테빌은 필수처럼 여겨지는군요...
스테빌+빌스테인과 H&R정도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회원분들의 내용있는 답변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