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아주 초보적인 질문일 수도 있지만 그래도 테드이기에 겁없이 올려봅니다.
요즘 슬슬 코너링 하는 재미에 빠져사는 처자입니다. ^^;
다름이 아니라 보통 코너링시에는 브레이킹 하지 않는 것이 정석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부드럽게 달리고자 할 때는,,,
직선로에서 브레이킹후, 최대한 깊숙히 들어가서
이븐쓰로틀이나 노쓰로틀로 CP근처를 향해 접근합니다.
되도록 late apex를 찍은후 , 서서히 엑셀을 밟아가며 빠져나옵니다.
(일반적인 단 코너에서의 경우입니당...)
문제는 요런 식으로 달리면 빠르고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주행이 가능하나
별로 다이나믹(?)하지는 않더군요,,,
그래서 요즘앤 여러가지 해괴한 시도를 좀 하고 다닙니다.
약간 오버스피드로 진입해서 풀브레킹... 그후 코너 안쪽을 향해 급격한 핸들 조작
이러면 뒤가 약간 도는데 당황하지 않고 코너 출구가 보이기 시작하면 핸들 풀고
엑셀을 밟아나가면 재미는 있더군요. CP따위는 무시입니다.
올바른 방법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스킬음은 많이 들리는데 빠르지는 않아요. 속도를 너무 많이 까먹는거 같습니다.
또 테드의 어디선가 트레일링 브레이킹에 대한 글을 본 적이 있어서요...
아마도 이익렬님의 글인듯 합니다만...
잘 모르겠지만 코너진입후까지 브레이킹을 계속 물고 들어가는 거 같아서
몇번 시도해봤지만 결과는 언더스티어만 왕창 일어나더군요,,,,
아마도 브레이킹으로 횡그립력이 분산되어서 언더가 나는 듯 해요....
브레이킹을 강하게 하면 안되는가 싶어 코너에 들어가면 살살 밟는 듯 마는 듯
해봤는데 언더는 일어나지 않지만 하중이동에 의한 별 다른 효과는 없는 듯 합니다.
글에서 보면 하중이동으로 앞바퀴 그립력을 높인다고 했는데
제가 뭘 잘못이해하고 있는거 같아요...
오버스피드로 진입했을 때에는 차라리 쏘잉을 몇번 쳐주는게 앞바퀴 그립력 회복에
더 좋은 듯 한데요....
핸들이 돌아간 상태에서 브레이킹이란게 과연 의미가 있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저도 고속코너링중 속도가 너무 빠르다싶으면 살살 브레이크 달래가며 타기는 합니다만
그외에 하중이동의 효과가 과연 있는건지요?
아주 초보적인 질문일 수도 있지만 그래도 테드이기에 겁없이 올려봅니다.
요즘 슬슬 코너링 하는 재미에 빠져사는 처자입니다. ^^;
다름이 아니라 보통 코너링시에는 브레이킹 하지 않는 것이 정석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부드럽게 달리고자 할 때는,,,
직선로에서 브레이킹후, 최대한 깊숙히 들어가서
이븐쓰로틀이나 노쓰로틀로 CP근처를 향해 접근합니다.
되도록 late apex를 찍은후 , 서서히 엑셀을 밟아가며 빠져나옵니다.
(일반적인 단 코너에서의 경우입니당...)
문제는 요런 식으로 달리면 빠르고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주행이 가능하나
별로 다이나믹(?)하지는 않더군요,,,
그래서 요즘앤 여러가지 해괴한 시도를 좀 하고 다닙니다.
약간 오버스피드로 진입해서 풀브레킹... 그후 코너 안쪽을 향해 급격한 핸들 조작
이러면 뒤가 약간 도는데 당황하지 않고 코너 출구가 보이기 시작하면 핸들 풀고
엑셀을 밟아나가면 재미는 있더군요. CP따위는 무시입니다.
올바른 방법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스킬음은 많이 들리는데 빠르지는 않아요. 속도를 너무 많이 까먹는거 같습니다.
또 테드의 어디선가 트레일링 브레이킹에 대한 글을 본 적이 있어서요...
아마도 이익렬님의 글인듯 합니다만...
잘 모르겠지만 코너진입후까지 브레이킹을 계속 물고 들어가는 거 같아서
몇번 시도해봤지만 결과는 언더스티어만 왕창 일어나더군요,,,,
아마도 브레이킹으로 횡그립력이 분산되어서 언더가 나는 듯 해요....
브레이킹을 강하게 하면 안되는가 싶어 코너에 들어가면 살살 밟는 듯 마는 듯
해봤는데 언더는 일어나지 않지만 하중이동에 의한 별 다른 효과는 없는 듯 합니다.
글에서 보면 하중이동으로 앞바퀴 그립력을 높인다고 했는데
제가 뭘 잘못이해하고 있는거 같아요...
오버스피드로 진입했을 때에는 차라리 쏘잉을 몇번 쳐주는게 앞바퀴 그립력 회복에
더 좋은 듯 한데요....
핸들이 돌아간 상태에서 브레이킹이란게 과연 의미가 있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저도 고속코너링중 속도가 너무 빠르다싶으면 살살 브레이크 달래가며 타기는 합니다만
그외에 하중이동의 효과가 과연 있는건지요?
2008.09.07 18:23:06 (*.178.198.184)
트레일 브레이크는 코너에 뛰어들며 브레이크를 밟는다는 느낌보다는, 감속을 위해 직선부터 들어갔던 브레이킹을 유지하며 좀더 천천히 떼어준다는 느낌이 맞다고 봅니다. 굳이 풀브레이킹으로 진입하지 않아도 빠르게 앞머리를 돌릴 수 있습니다. 브레이킹과 함께 진입시 언더스티어가 나는 것은 타이어의 종그립을 너무 많이 쓰고 있다는 것, 즉 브레이킹량이 너무 많다는 뜻입니다.
근처 와인딩이나 서킷 모임에서 직접 몸으로 느껴보시는게 빠를 것 같네요~
근처 와인딩이나 서킷 모임에서 직접 몸으로 느껴보시는게 빠를 것 같네요~
2008.09.07 19:04:38 (*.91.9.150)

해괴한 시도는 느끼신 바 대로 소리만 요란하지 절대로 빠를 수 없는 방법입니다. 윗분들이 말씀하신 대로 코너링시 여러 동작들은 구분동작이 아닌 오버랩이 필수적인 동작들이죠. 오버스피드로 진입했을 때는 트레일 브레이킹이라는 것이 의미가 없는 것이구요.^^
다이나믹한 것과 빠른 것은 전혀 다른 말이라고 봅니다. 영화에서 보는 액션들이 다이나믹하지만 실제로 레이스에서 보면 그런 액션은 나오질 않죠. 코너링에서 브레이킹을 하지 않는것이 정석이긴 하지만 실제로는 내리막 등에서는 브레이킹을 더 오래 끌고 가야되고 오르막은 그 반대이듯이 코너의 곡률과 경사도에 따라서 천차만별이라고 보셔야 할 겁니다.
다이나믹한 것과 빠른 것은 전혀 다른 말이라고 봅니다. 영화에서 보는 액션들이 다이나믹하지만 실제로 레이스에서 보면 그런 액션은 나오질 않죠. 코너링에서 브레이킹을 하지 않는것이 정석이긴 하지만 실제로는 내리막 등에서는 브레이킹을 더 오래 끌고 가야되고 오르막은 그 반대이듯이 코너의 곡률과 경사도에 따라서 천차만별이라고 보셔야 할 겁니다.
2008.09.07 20:07:12 (*.176.70.15)

나름 와인딩 좋아하는 매니아로 불리고 싶은 K군의 방법은...
제경우....코너와 코너사이를 풀 악셀로 간후...코너전 감속 포인트를 길게 잡아서..
풀 브레이크!! 그이후 코너각에 맞게 한번에 핸들을 꺽고 그대로 악셀의 가-감으로
in-out라인을 조정하며 코너를 돌아서 CP점이후 다시금 풀 악셀로 in에서 아웃으로
(역시 핸들은 고정,악셀로)밀려 나가는 주행을 좋아하고, 그렇게 알려드립니다.
기본적인 베이스는 비슷하겠지만, 세세한 분야는 다 틀릴겁니다.
역시...와인딩이나...서킷 모임에 나가시면...바로 느낄수있으실거같네요^^;
제경우....코너와 코너사이를 풀 악셀로 간후...코너전 감속 포인트를 길게 잡아서..
풀 브레이크!! 그이후 코너각에 맞게 한번에 핸들을 꺽고 그대로 악셀의 가-감으로
in-out라인을 조정하며 코너를 돌아서 CP점이후 다시금 풀 악셀로 in에서 아웃으로
(역시 핸들은 고정,악셀로)밀려 나가는 주행을 좋아하고, 그렇게 알려드립니다.
기본적인 베이스는 비슷하겠지만, 세세한 분야는 다 틀릴겁니다.
역시...와인딩이나...서킷 모임에 나가시면...바로 느낄수있으실거같네요^^;
2008.09.07 23:32:33 (*.229.112.141)

오..여자분이신거 같은데, 운전방법론을 논리적으로 상세하게 잘 표현하시는군요. '해괴한 시도'라고 설명하신 방법을 조금 부드럽게 시도해보면 감이 잡히시리라 봅니다. 핸들링 했을때 리어가 흐르는 과정에서..이미 하중이동이 어느정도 작용되었다보면 될 듯. 말씀대로..오버스피드로 진입해 잡아나가는 방법은, 액티브하긴 하지만.. 자세를 잡는데 드라이버와 차의 에너지 분산비율이 높아, 빠른 탈출에는 손실이 됩니다.
고속코너나 R이 큰 코너에선 직진 내에서 브레이킹을 마치고 충분히 줄여 정확한 CP를 클리어 하는게 빠르고, 비교적 코너R 이 심하고 직선로가 짧은 연속코너에서는 부분적으로 트레일브레이킹을 사용하면 효율적인데.. 브레이킹 답력은, 속도와 코너R 에 따라 달라져야 할거 같습니다. '해괴한 시도' 를 한결 부드럽게 끌고들어가..'슬라이드'개념의 주행이 되면 요란하지않고 좀더 빨라질거 같네요. Apex(CP) 는 어떤 경우에도 꼭 클리어하는게 빠릅니다.
고속코너나 R이 큰 코너에선 직진 내에서 브레이킹을 마치고 충분히 줄여 정확한 CP를 클리어 하는게 빠르고, 비교적 코너R 이 심하고 직선로가 짧은 연속코너에서는 부분적으로 트레일브레이킹을 사용하면 효율적인데.. 브레이킹 답력은, 속도와 코너R 에 따라 달라져야 할거 같습니다. '해괴한 시도' 를 한결 부드럽게 끌고들어가..'슬라이드'개념의 주행이 되면 요란하지않고 좀더 빨라질거 같네요. Apex(CP) 는 어떤 경우에도 꼭 클리어하는게 빠릅니다.
2008.09.07 23:36:32 (*.152.5.252)

강성환님이 이야기 하신 방법이 '해괴한'시도 중의 하나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소리는 요란하게 나지만 느린 주행법이죠.
그렇게 해서 빠른 사람도 있지만 그렇게 안할때 더 빠를겁니다. ^^
같은차로 이리도 해보고 저리도 해보고 하면 바로 느낄수 있죠.
빨라지는것은 정석대로 하되 '잘'하면 됩니다.
정석대로 하는것이 다이나믹하지 않게 느껴진다면
먼저 브레이킹 포인트를 조금씩 뒤로 보내면 어느순간에 등골이 오싹할정도로
다이나믹 해질때가 올겁니다.
그 포인트에 맞춰서 이젠 진입속도를 조금씩 높이면 됩니다.
이렇게 했는데도 다이나믹 하지 않으시면 그냥 드리프트 연습을 하시는게
더 취향에 맞으실겁니다.
소리는 요란하게 나지만 느린 주행법이죠.
그렇게 해서 빠른 사람도 있지만 그렇게 안할때 더 빠를겁니다. ^^
같은차로 이리도 해보고 저리도 해보고 하면 바로 느낄수 있죠.
빨라지는것은 정석대로 하되 '잘'하면 됩니다.
정석대로 하는것이 다이나믹하지 않게 느껴진다면
먼저 브레이킹 포인트를 조금씩 뒤로 보내면 어느순간에 등골이 오싹할정도로
다이나믹 해질때가 올겁니다.
그 포인트에 맞춰서 이젠 진입속도를 조금씩 높이면 됩니다.
이렇게 했는데도 다이나믹 하지 않으시면 그냥 드리프트 연습을 하시는게
더 취향에 맞으실겁니다.
2008.09.08 02:51:05 (*.96.191.178)

정석주행이 다이나믹 하지 않다고 하시는데, 본인 차를 레이서에게 맡겨보세요. 본인이 느리기 때문에 다이나믹 하지 않다고 느끼시는거 같습니다. 레이서도 한계 그립주행은 무섭습니다.^^ 그리고, 풀 브레이킹 뒤 급 핸들 조작으로 뒤를 날리는건 순간적인 그립을 잃는 행위입니다. 한계제동도 릴리즈하게 브레이킹 하셔야 제동 후 재가속에도 유리하고, 뒤가 슬립되면서 속도를 잃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트레일링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밟는 답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감각적으로 하지 않으면 차가 지맘대로 언더나기 쉽지요. 구지 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 쓰신거 같습니다. 트레일링 브레이킹이라고 시도를 해보시다가 오버 브레이킹이 된거 같습니다. 기본을 먼저 생각하시고 그 다음을 생각하세요. 여성분이라 핸들링 및 브레이크를 섬세하고 부드럽게 조작하실줄 알았더니 꽤 터프하신가봐요. 차는 터프하면 터프할수록 부드럽고 강한것보다 느립니다.^-^
2008.09.08 08:18:05 (*.32.126.154)

트레일브레이킹의 경우 제대로 사용하려면 전후브레이크 세팅이 잘 되어 있어야 제대로 효과가 나옵니다.. 프론트가 너무 강하면 언더가 나고 리어가 너무 강하면 오버가 나버리니까요.
트레일브레이킹을 한다고 브레이킹 포인트를 늦게/강하게 가져가지마시고.. 평소 슬로우인패스트아웃과 동일한 포인트에서 브레이킹을 시작하되, 평소의 80%정도의 답력으로 20% 더 늦게 떼어준다는 기분으로 연습하시면 일정 연습량이후에는 확실히 레벨업되는걸 느끼실수 있을겁니다.. 그 뒤로는 취향에 따라 취사선택하시면 되구요..
트레일브레이킹을 한다고 브레이킹 포인트를 늦게/강하게 가져가지마시고.. 평소 슬로우인패스트아웃과 동일한 포인트에서 브레이킹을 시작하되, 평소의 80%정도의 답력으로 20% 더 늦게 떼어준다는 기분으로 연습하시면 일정 연습량이후에는 확실히 레벨업되는걸 느끼실수 있을겁니다.. 그 뒤로는 취향에 따라 취사선택하시면 되구요..
2008.09.08 10:22:50 (*.94.41.89)

약간 뽀인트 벗어난 얘기긴 하지만 FF 와 FR 에서 차이가 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FF 타시는 분들중에 브레이크를 좀 더 끌고 코너인을 하는 경향이 많은것 같더군요. 근데 예전에 한번 안산에서 교육 받을때 지금 R-Stars 감독(?) 하시는 분에게 여쭤 봤습니다. 직선에서 브레이크를 무조건 끝내라라고 말씀하시길래 트레일 브레이킹이라는 기술도 있는데 선수들도 경기중에 다 직선에서 끝내냐 라고 물어봤더니 선수들도 다 직선에서 감속(브레이크)은 끝낸다. 코너인까지 브레이크등이 들어오는것은 브레이크를 떼는 과정에서 들어오는거다 라고 말씀하시더군요. 그리고 코너링중에 핸들량 수정하지 마라라는 얘기도 들었고요. 요즘 가급적 정석플레이를 하려고 합니다만, 공도와 트랙은 환경이 많이 다르니 뭐 그때 그때 달라지더군요... 참조만 하세요~
2008.09.08 10:48:03 (*.96.191.178)

조상은님 질문하신 글을 아무리 읽어봐도 여성분이 이런 질문을 올리는 경우는 대한민국 0.1%라고 생각되네요. 와인딩에서 왠만한 남자들은 쩜 만드실 수 있을듯 싶습니다.^^
2008.09.08 14:50:36 (*.52.154.66)

우와~ 갑자기 정신이 버쩍 드네요, 너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뭔가가 혼란스럽기만 했었는데 대강 정리가 되어가는 기분이에요..~~ 그리고 전 남들보다 느리다는건 솔직히 좋아하진 않지만 그렇다고 너무 빠른건 간이 작아서 무섭더라구요. 적당한 스피드로 재미있게 타는 방법을 연구중인 처자였습니당.에공..모두들 감사합니다...
2008.09.08 14:52:49 (*.145.28.61)

주영님 말씀에 한 가지 보태자면, 하중이 빠졌을 때의 리어 서스가 갖는 접지성도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는 중량 배분의 문제겠지만, 서스펜션 구조에 따라 하중이동이나 낮은 노면 뮤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모습을 보이는 차들이 있습니다.
정호님 말씀에 공감하게 되네요. 트레일 브레이킹은 기본적으로 FF나 프론트 헤비인 차를 위한 팁이라고 생각합니다. 브레이킹을 마치는 시점, 파셜/전개에 들어가는 시점 등이 구동방식에 따라 미묘하게 다르네요. 양산차와 레이싱카의 스티어 밸런스도 다르겠구요.
정호님 말씀에 공감하게 되네요. 트레일 브레이킹은 기본적으로 FF나 프론트 헤비인 차를 위한 팁이라고 생각합니다. 브레이킹을 마치는 시점, 파셜/전개에 들어가는 시점 등이 구동방식에 따라 미묘하게 다르네요. 양산차와 레이싱카의 스티어 밸런스도 다르겠구요.
2008.09.08 17:22:00 (*.203.54.3)

정말 여자분 맞으셨군요..와..아무튼 여자분이 수동 타는 것도 대단한데 이런 스킬까지 연구하시다니...정말 대단하십니다^^
2008.09.08 18:16:14 (*.109.154.250)

저기....
혹시 아이콘 속의 표정이 와인딩 중 CP 바라보는 시선인가요..? 답글 달 능력은 안되고.. 처음부터 그게 궁금했습니다. >_<
혹시 아이콘 속의 표정이 와인딩 중 CP 바라보는 시선인가요..? 답글 달 능력은 안되고.. 처음부터 그게 궁금했습니다. >_<
2008.09.08 20:27:00 (*.47.67.15)

으흐~! 윤길님 그건 아닌것 같은데용 ㅎㅎ
상은님 이익렬님이 주최 하시는 번개에 참석 하시면 동승해서
차근차근 지도해 주실겁니다. 원래가 부드러운 말투에 찬찬히
말씀을 진행 하시는 분이라서 아마도 친절한 교관이 되주실겁니다.
이 리플이 최고의 정답일것 같다는 ^^;;
상은님 이익렬님이 주최 하시는 번개에 참석 하시면 동승해서
차근차근 지도해 주실겁니다. 원래가 부드러운 말투에 찬찬히
말씀을 진행 하시는 분이라서 아마도 친절한 교관이 되주실겁니다.
이 리플이 최고의 정답일것 같다는 ^^;;
이렇게 따로따로 하시면 아주 괴로울거예요.. ㅎㅎ
직선로 브레이킹 -> 핸들링이 들어가며 브레이크량 감소
-> cp를 찍기전 엑셀링 살살 -> 엑셀링 증가
핸들링과 브레이킹, 엑셀링은 모두 한집식구 라는것만 기역해두세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