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주 초보적인 질문일 수도 있지만 그래도 테드이기에 겁없이 올려봅니다.
요즘 슬슬 코너링 하는 재미에 빠져사는 처자입니다. ^^;

다름이 아니라 보통 코너링시에는 브레이킹 하지 않는 것이 정석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부드럽게 달리고자 할 때는,,,

직선로에서 브레이킹후, 최대한 깊숙히 들어가서
이븐쓰로틀이나 노쓰로틀로 CP근처를 향해 접근합니다.
되도록 late apex를 찍은후 , 서서히 엑셀을 밟아가며 빠져나옵니다.
(일반적인 단 코너에서의 경우입니당...)

문제는 요런 식으로 달리면 빠르고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주행이 가능하나
별로 다이나믹(?)하지는 않더군요,,,

그래서 요즘앤 여러가지 해괴한 시도를 좀 하고 다닙니다.
약간 오버스피드로 진입해서 풀브레킹... 그후 코너 안쪽을 향해 급격한 핸들 조작
이러면 뒤가 약간 도는데 당황하지 않고 코너 출구가 보이기 시작하면 핸들 풀고
엑셀을 밟아나가면 재미는 있더군요. CP따위는 무시입니다.
올바른 방법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스킬음은 많이 들리는데 빠르지는 않아요. 속도를 너무 많이 까먹는거 같습니다.

또 테드의 어디선가 트레일링 브레이킹에 대한 글을 본 적이 있어서요...
아마도 이익렬님의 글인듯 합니다만...
잘 모르겠지만 코너진입후까지 브레이킹을 계속 물고 들어가는 거 같아서
몇번 시도해봤지만 결과는 언더스티어만 왕창 일어나더군요,,,,
아마도  브레이킹으로 횡그립력이 분산되어서 언더가 나는 듯 해요....
브레이킹을 강하게 하면 안되는가 싶어 코너에 들어가면  살살 밟는 듯 마는 듯
해봤는데 언더는 일어나지 않지만 하중이동에 의한 별 다른 효과는 없는 듯 합니다.
글에서 보면 하중이동으로 앞바퀴 그립력을 높인다고 했는데
제가 뭘 잘못이해하고 있는거 같아요...
오버스피드로 진입했을 때에는 차라리 쏘잉을 몇번 쳐주는게 앞바퀴 그립력 회복에
더 좋은 듯 한데요....
핸들이 돌아간 상태에서 브레이킹이란게 과연 의미가 있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저도 고속코너링중 속도가 너무 빠르다싶으면 살살 브레이크 달래가며 타기는 합니다만
그외에 하중이동의 효과가 과연 있는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