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수동입문 1년된 초보회원입니다~
그나마 1년이되가니 어느정도 수동에도 익숙해지고 엔진도 조금만 꺼뜨려먹네요 ^^;
일반주생시는 기어변속을 이용해서 적절한 속도조절로 차량흐름을 따라가는데요..
저앞에 신호등이 빨간색으로 바뀌어서 감속후 정지해야할때도 기어 저단변속으로인한
엔진브레이크의 힘으로 감속해서 정차시키는것이 어떠한지 의문이 생깁니다.
저는 풋브레이크+엔진브레이크 둘다 조금씩 사용해서 정차시키고 있습니다~
혹시 미숙한 엔진브레이크카 미션계통에 손상을 주지 않을까 걱정이에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
수동입문 1년된 초보회원입니다~
그나마 1년이되가니 어느정도 수동에도 익숙해지고 엔진도 조금만 꺼뜨려먹네요 ^^;
일반주생시는 기어변속을 이용해서 적절한 속도조절로 차량흐름을 따라가는데요..
저앞에 신호등이 빨간색으로 바뀌어서 감속후 정지해야할때도 기어 저단변속으로인한
엔진브레이크의 힘으로 감속해서 정차시키는것이 어떠한지 의문이 생깁니다.
저는 풋브레이크+엔진브레이크 둘다 조금씩 사용해서 정차시키고 있습니다~
혹시 미숙한 엔진브레이크카 미션계통에 손상을 주지 않을까 걱정이에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
2008.09.08 13:02:02 (*.114.22.46)

저같은 경우는 쓸때 있고 안쓸때 있는데, 엔진브레이크 이용시 악셀을 쳐줘서 미리 RPM을 보정해 놓은 후 기어를 내립니다. 그냥 내리는 경우라면 미션계통에 손상을 주겠지만 RPM을 보정해준다면 좀 낫지 않을까요?
2008.09.08 13:48:13 (*.111.171.107)

회전수가 높을수록(즉, 저단으로 변속하면) 엔진브레이크가 더 강하게 걸리겠지만, 일상 주행속도의 대략 3-4단 정도에서 감속해 정차하는 것이라면 엔진의 회전에 무리가 없는 정도로(즉, 아이들 회전수보다 조금 높은 정도까지)는 시프트다운하지 않고 감속해도 무방할듯 합니다. 정차 조금 전에 클러치 페달을 밟아서 동력을 끊어주어 부드럽게 정차하는 것이 필요하겠구요.
시프트다운하여 저단으로 변속후 정차시 손상이 걱정되신다면 시프트 다운 혹은 업시 레브매칭(rev matching)을 정확히 하는 것을 연습하시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겠죠.
뭐 개인적으로는 재미를 위해 혹은 바로 파란불로 바뀌는 상황에 대비해 일일이 저단변속하면서 정차합니다만. ^^;;
시프트다운하여 저단으로 변속후 정차시 손상이 걱정되신다면 시프트 다운 혹은 업시 레브매칭(rev matching)을 정확히 하는 것을 연습하시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겠죠.
뭐 개인적으로는 재미를 위해 혹은 바로 파란불로 바뀌는 상황에 대비해 일일이 저단변속하면서 정차합니다만. ^^;;
2008.09.08 15:08:16 (*.133.223.166)

제 경우는 신호가 바로 바뀌면 해당 기어가 들어가 있는 상태로 제동을 하다가 속도가 20키로 정도로 줄어들었을 때 클러치를 밟고 기어를 뺍니다. 저 멀리 빨간불이 켜져있는 상황이고 차들이 멀리 있을 때는 엑셀 오프를 하고 속도가 줄어들면 쉬프트 다운을 해서 재가속이 쉽게 만들고 녹색불이 들어오면 가속을 합니다.
매번 제동할 때마다 쉬프트 다운을 하면서 rpm 동기화만 잘 시켜준다면야 문제가 없지만 매일같이 서울의 시내에서 그렇게 운전했다가는 피로도가 장난 아닐 것 같네요.
매번 제동할 때마다 쉬프트 다운을 하면서 rpm 동기화만 잘 시켜준다면야 문제가 없지만 매일같이 서울의 시내에서 그렇게 운전했다가는 피로도가 장난 아닐 것 같네요.
2008.09.08 16:02:31 (*.229.112.141)

일반운전에선 풋브레이크와 엔진브레이크를 적당히 혼용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그러나 보통.. 시프트다운을 통해,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할때는 1차, 풋브레이크로 충분한 감속후 시프드다운 해주는게 좋고,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게 자연스럽답니다. 풋브레이크와 밋션 둘 다 약간씩의 부담을 주고받는게 좋죠. 한쪽 의존도가 높으면 무리한 요소가 생기는게 당연할겁니다.
2008.09.08 16:20:38 (*.117.99.154)
서울 시내에서도 계속되는 시프트조작으로 엔진브레이크 많이 사용합니다. 기어 바꾸는것 자체는 별로 불편한점이 없더군요. 저는.....
다만 사람많은 길에서 오르막 주행하는 짜증나는 상황이 제가 자주가는 홍대에서는 매번 겪게되는 일이라는게 좀.....;;;;;
거의 모든 신호등에서 힐앤토를 사용해서 풋&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익숙해지면 역시나 힘들고 뭐고 그런거 없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사람많은 길에서 오르막 주행하는 짜증나는 상황이 제가 자주가는 홍대에서는 매번 겪게되는 일이라는게 좀.....;;;;;
거의 모든 신호등에서 힐앤토를 사용해서 풋&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익숙해지면 역시나 힘들고 뭐고 그런거 없다고 생각됩니다.
2008.09.09 09:12:17 (*.32.126.154)

신호등마다 힐앤토를 쓰거나 전혀 쓰지않거나 두가지 모두 해봤는데... 사실 연비 차이는 크지않더군요 -_-;; 2.0 이하 경제형연비세팅의 차량이라면 조금 다를수있겠지만.. 엘리사 수동의 경우엔 별차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