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재규어를 처음 접한건, 125cc 오프로드용 바이크를 즐겨타던 대딩시절이였습니다.
작가가 기억 안나는 '청춘영웅' 이라는 일본 소설에서였는데, 스피드 영웅이였던 주인공의
불꽃같은 레이서인생을 묘사한 피가 끓게하는 책이였죠.
첫장면은..손수레에 자신의 바이크를 싣고 고갯마루를 넘는 주인공의 모습에서 시작해.. 저배기량의
바이크로 내노라는 고출력바이크들을 하나씩 따돌려가는.. 전일본을 석권하고 세계챔피언쉽을 딴뒤
재규어 레이싱카를 타게되면서 카레이스로 그랑프리의 정점에 도달한다는.. 청춘영웅을 묘사한 내용
인데, 50년대 레이싱계를 배경으로한 스토리에서.. 그는 그의 인생을 최고에 이르게한 재규어에 탄
채 라이벌의 실수로 장렬한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순식간에 먹이를 향해 튀어나가는 야수의 옆모습처럼 날렵한 바디라인과, 클래식한 감성으로 스마트
한 권위주의.. 군더더기없는 명문가를 연상케하는 재규어는, 그때부터.. 추억의 차로 마음 한구석에
자리잡게 되고, 떨어져있지만 늘..마음의 고향처럼 생각나는 오래된 여인마냥..항상..그자리에 고결
하게 서 있는듯 합니다.
지난 윈터드라이빙데이를 통해, 간단한 임프레션을 맛보았고.. 간략하게 정리해 봅니다.
차종은, 재규어 2.1X타잎/ 3.0 X타잎/ S타잎 3.0과 / XJ-8 4.2 였고, 60키로 급제동과 DSC 테스트,
급제동및 긴급회피 테스트.. 슬라럼등의 경험을 해볼 수 있었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전륜구동
(2.1X타잎) 후륜구동(S타잎) 풀타임4륜(3.0X타잎)으로 모든 구동체계가 갖추어진 라인업이라는
사실로 그 차이를 느껴볼 적극적인 기회는 없었지만, 나름대로 의미있는 시승이였던 듯 합니다.


Braking..
눈을 밀어내긴 했지만, 노면이 빙수처럼 젖어있음에도 불구..전반적인 재규어의 브레이킹은 놀라울
정도로 견고했습니다. ABS 작동감은 신뢰감있고, 예상한 정지 위치보다 가까운곳에 정확히 정차
시켰습니다. 승차감이 다소 소프트했지만, 써스펜션의 유격감이 방대하진 않았고요. 급브레이킹시
피칭도 안정적이였습니다.


가속감..
2.1X타잎은 관심있게 타보지 않았고, 3.0의 경우..출발시 가속감이, 폭발적이진 않지만 쫀득하고
호쾌했습니다. S타잎도 비슷했지만 약간 걸러진 느낌이고.. XJ 8 은, 시원스럽게 쭉 뻗어나가는
느낌.. 이였지만, 위화감이 생기진 않을 정도입니다.


긴급 회피능력..
좀더 빠른 속도에서 테스트해봐야 하는데.. 60 이상 가속 후, 깃발신호에 따라 급제동후 임의방향
으로 회피하는 테스트에서 급한 핸들링 시, 부드럽지만 출렁이지않는 움직임을 보입니다. 이느낌
은 요란스럽지 않으며 위기상황을 위기가 아닌 안정감으로 잡아줍니다.


DSC 테스트..
이건 좋은건지 아닌지 잘 모르겠습니다. 트랙에서 드라이빙할땐, 차를 느리게 하고 성가시기만 한
장치여서 별관심없게 다가오지만, 오프시에 비해 온 상태에선 빙판출발때 차의 진행방향을 안정적
으로 해주는 유리함은 있는것 같습니다.


슬라럼..
X타잎 3.0의 스티어링 성향은 4륜이여서인지 언더가 강합니다. 슬라럼 중간중간 풋브레이킹으로
하중이동과 조타각 수정을 해야했습니다. S타잎으로 슬라럼은 못해봤지만, 다른 분들의 움직임을
보니, 조향에서 델리킷한 움직임을 보이더군요. XJ8 도 대형세단에 믿기지않는 날렵한 움직임을
보입니다.


인테리어..
재규어의 익스테리어는 모두들 익숙해, 말하지 않아도 클래식하고 고고한 감성을 알 수 있을겁니다.
인테리어가 겉에서 보기보다 꽤 좁은 느낌이 드는데, 이는 실제공간이라기 보다는 시트나 대쉬보드
센터터널등의 주변 환경이, 타이트하고 안정적으로 몸을 감싸주기 때문입니다.
가장 큰 XJ8 도 운전석에 앉으면 클래식 스포츠카를 모는듯한 안락감을 줍니다. 뒷좌석도 좁진않지
만, 허풍스럽게 여유있지 않습니다.

랜드로버 디스커버리3..
랜드로버에 오르는 순간.. 왜 이차가 SUV의 귀족..사막의 롤스로이스로 불리우는지 금방 알수있었
습니다. 각진 차체에 의해 실내공간은 넓고 쾌적하며, 조잡스럽지않은 인테리어 질감이 마음에 쏙
들었습니다. 승차감은 고급스럽고, 1,2,3 열 모두에 독립적으로 장착된 썬루프.. 단계적으로 올라가
는 시트배열등이.. 오랜시간동안 크루징과 모험가의 사랑을 받아온 전통의 명기임을 느낄수 있게
했답니다.
신형 디스커버리는 전통의 각진모습을 유지하면서도, 모던하고 심플한 네오클래식 디자인을 보여줍
니다. 정말로 새 디자인은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먼저 모델에서, 왜 저모습을 못벗어날까..했던 우려
를 시원스레 해결해준 멋진 디자인이라 느껴집니다.
스티어링 조타상태나 구동토크 전달상태를 모니터해주는 그래픽 보드는 험로주행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1열시트 헤드레스트 양쪽에 달린 손잡이도 멋진 아이디어로, 전통의
노하우를 갖고있는 랜드로버가 아니면 생각해 낼 수없는 부분으로 믿어집니다.
디스커버리의 제동력과 가속력또한 신뢰감이 듭니다. 전모델에 비해 출력도 올라가고, 높은 토크
셋팅으로 험로뿐 아니라, 하이웨이 고속주행에도 넉넉한 퍼포먼스를 발휘할 듯 하네요.





깜장독수리..
2007.08.06 00:02:00 (*.0.0.1)
와~ 좋은글 잘읽었습니다. 전반부 '청춘영웅'부의 맛깔스런 글솜씨..대단합니다. 그 책어디서 구할수 있나요? 한번 읽고 싶어지네요.
2007.08.06 00:02:00 (*.0.0.1)
제 첫 직장의 정신적 스승이셨던 사장님이 떠오르는군요.. "내가 이차를 만나려고 40 년이 걸렸다.." 그런데 어처구니 없게도 얼마 뒤 세무조사를 받았다는...흠흠.
2007.08.06 00:02:00 (*.0.0.1)
지금이야 그런 일이 있을 수 없겠지만 당시에는 동급의 수입차와 별다른 가격차이가 나지 않음에도 제가 아는 분만 해도 세 분이나 계시네요.. 그 만큼 흔치 않았고 '가오'하나는 지대루 나오는 차였습니다..*
2007.08.06 00:02:00 (*.0.0.1)
저 역시 주유구를 못 찾아서 주유원과 한참을 찾았던 어이없던 기억도 나는군요.. 개인적으로는 쿠페건 세단이건간에 재규어는 구형모델에 더 애착이 갑니다.. 잘 읽었습니다..(^^*)
2007.08.06 00:02:00 (*.0.0.1)
재규어의 바디의 롤링은 독특한 재규어만의 매력입니다. 조향성을 나쁘게 하지 않고 스릴도 있으며, 이상하게도 긴장없이 안락한 기분을 주지요. 코너링시 한계 상황에서도 급작스런 움직임을 보이지 않으므로 운전이 쉽고 안정적이죠.
2007.08.06 00:02:00 (*.0.0.1)
보통 바디 강성이 약한 차가 물렁한 써스를 적용하고 주행안정성이나 조향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지만 재규어는 그런 것과는 거리가 멉니다. 노하우와 정밀한 계산을 통해서 주행성과 승차감에서도 재규어의 독특한 특징( Jaguarness)을 완성하고 있지요.
2007.08.06 00:02:00 (*.0.0.1)
모터 스포츠의 메카라 불리우는 영국에서도 전통 있는 메이커인 재규어는 여러모로 독일차와는 성격이 많이 다릅니다. 그 성격적인 차이와 세심함은 또 다른 경지입니다. 이익력 님, 재규어 트랙데이에도 같이 가시지요. 좋은 글 퍼갑니다.^ ^
2007.08.06 00:09:00 (*.0.0.1)
재규어하면 다들 떠올리는 구형의 XJ6를 실제로 타봤더니 왜 재규어가 뛰어난 엔지니어링 실력을 가지고도 장사(비지니스)에 실패했는지 이해가 가더군요.
2007.08.06 00:09:00 (*.0.0.1)
너무 멋을 부리다보니 불편해질 정도로 낮아져버린 루프나 멋진 떨어지는 라인의 트렁크를 위해 희생시킨 뒷자리.. 경쟁차들의 큼직하고 든든한 시트에 비교되는 작고 평평한 시트 등 예쁘다고 인정은 되지만 도저히 소유해서 타기엔 망설여지는 특성들이 있습니다.
2007.08.06 00:09:00 (*.0.0.1)
포드에 합병된 이후 재규어는 '훨씬 탈만한 차' 가 되었다고 느껴집니다. 맞 대어 놓고 비교해보면 그 차이가 더욱 극명하게 드러납니다. 포드에 합병되고 나서는 '실내가 포드틱해졌다' 라고 막연한 짐작성 화살을 던지곤 하는데
2007.08.06 00:09:00 (*.0.0.1)
맞대놓고 비교해보면 지금 차가 실내도 더 고급스럽습니다. 이 역시 Legend of it's own time 이라고나 할까요..? 민욱님 처럼 그 시절 재규어에 대한 기억이 특별한 사람들이 많다보니 그런 말들을 많이 합니다.
2007.08.06 00:09:00 (*.0.0.1)
'그 때가 좋았지' 혹은 '그 때 그 XJ 정말 멋졌는데' 라는 식으로.. 심지어 여기 근무하는 세일즈 직원도 그런 말을 하길래 구형 XJ를 AS센터에서 가져다가 보여줬죠. 그랬더니 ' 참 옛날엔 멋졌다고 생각했는데 지금 보니까 아니네요.' 하더군요.
2007.08.06 00:01:00 (*.0.0.1)
이종권 님, 역시 좋은 말씀입니다. 그런데 구형XJ( 1995-1997, 코드네임 X300) 역시 포드와 합병한 후에 이야기입니다만... ^ ^;; 88년경에 합병되었으니 꽤 되었지요. XJ40의 디자인은 재규어 수석 디자이너가 했지만, X300 디자인은 포드 출신 디자이너가 맡았습니다.
2007.08.06 00:01:00 (*.0.0.1)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재규어 디자이너( 말콤 세이어)에 의해 탄생한 XJ는 포드스럽다는 악평에 시달려야했고, 그 후 바통을 넘겨받은 포드 출신 제프 로슨에 의해서 비로소 재규어로 다시 태어났다는 평을 받게 되지요.
2007.08.06 00:01:00 (*.0.0.1)
XK를 비롯하여 S-type, X-type 역시 제프 로슨의 작품입니다. 심지어 new XJ의 디자인까지도 제프 로슨이 했으며, 아이언 컬럼은 막판 수정작업만을 맡았다고 합니다. 아이언 컬럼은 이후 RD6 컨셉카를 디자인했지만 이번에 발표된 new XK가 그의 첫 양산 작품이죠.
2007.08.06 00:01:00 (*.0.0.1)
아이언 컬럼은 애스턴마틴 DB7을 디자인한 인물로서 new XK에서 그 실루엣을 약간 엿볼 수 있지요. 하지만 재규어의 전통성을 버무리려고 많이 노력한 디자인입니다. 결과적으로 구형 XJ와 신형 XJ는 같은 디자이너의 작품이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2007.08.06 00:01:00 (*.0.0.1)
다만 시대적인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디자인으로 태어났을뿐이죠. X-type으로 새로운 재규어를 시작햇습니다만, 1999년 제프 로슨이 뇌졸증으로 사망하면서 삐걱거리기 시작했지요. 그러나, 재규어는 언제나 재규어입니다.
2007.08.06 00:01:00 (*.0.0.1)
그리고, 재규어의 주행감성은 각 모델별로 다르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공통적인 일관성이 있는데 그 것은 바로 차량의 전반적인 주행감성을 완성하는 사람이 단 한 명이기 때문입니다. 그 사람은 바로 Mike Cross 입니다.
2007.08.06 00:01:00 (*.0.0.1)
2000명이 넘는 우수한 엔지니어들이 코벤트리의 연구 개발센터에서 종사하지만, 차량의 총체적인 완성은 Mike Cross에 의해 방향이 잡히고 다듬어진 후에 출시됩니다. 그래서 재규어는 전 라인업이 모두 재규어답다( pure Jaguar)라고 할 수 있죠.
2007.08.06 00:01:00 (*.0.0.1)
호오~경석님의 디자인 비하인드 스토리 흥미롭네요. 재규어의 더블램프는, 여러 메이커의 디자인에 영향을 줬다고 보여집니다. 20세기 초중반의 레이싱에서 얻어진 명성또한 무시할 수 없는 감성이고..
2007.08.06 00:01:00 (*.0.0.1)
이미 new XJ( X350)는 제프 로슨이 사망한 1999년 이전에 디자인 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는 제프 로슨의 디자인을 만날 수 없다는 점이 참 아쉽습니다. 또한 재규어는 전담 사운드 팀이 따로 있어서 엔진 배기음을 비롯해 각종 소리를 튜닝합니다.
2007.08.06 00:01:00 (*.0.0.1)
재규어 수석 디자이너 말콤 세이어는 C-type, D-type 등을 디자인한 재규어의 수석 디자이너입니다. 하지만 그 배후엔 윌리언 라이온즈 경이 있었지요. 창업자인 윌리엄 라이온즈는 XK120과 XJ6를 디자인했고 말콤 세이어는 항상 그로부터 방향을 지시받았지요.
2007.08.06 00:01:00 (*.0.0.1)
그러다가 윌리엄 라이온즈 경이 타계합니다. 그 이후 말콤세이어가 독자적으로 디자인한 것이 바로 XJS( 육각 헤드램프)와 XJ40( 헤드램프 네모난 엣지 스타일)입니다. 디자인에 있어서 윌리엄 라이온즈의 영향력이 얼마나 컸는지 알 수 있지요.
2007.08.06 00:01:00 (*.0.0.1)
개인적으로 XJS 디자인은 좋아합니다만, XJ40의 파격적인 변신은 재규어 골수 팬들로부터 강한 비난을 받았고 결국 사각 테두리에 어울리지도 않는 듀얼 램프까지 끼우게 됩니다. 이렇듯 자동차와 사람은 참 재밌는 관계같습니다.. 이익렬 님을 위해 좀 더 보탰습니다. ^
2007.08.06 00:01:00 (*.0.0.1)
움..경석님 가히 재규어 박사님이시네요. 애스턴마틴..롤스로이스..TVR등 영국 뿌리의 명차들은 완고한 고집이 있는거 같아요. 엘리제의 곡선 실루엣도 그렇고..조금 답답하기도 하지만, 전통고수에의 노력은 감동적입니다.
2007.08.06 00:01:00 (*.0.0.1)
XK-수퍼V8 함 타보고 싶네요. 마제라티 콰트로포르테랑 좋은 비교가 될 듯 한데.. 참 경석님~지난번 울 아들녀석 이 치료해주신거..안아프고 좋다네요. 시험땜에 2,3일있다 진료받으러 간댑니다.^^
2007.08.06 00:01:00 (*.0.0.1)
사실 재규어의 전통의 계승은 디자인 컨셉과 좋은 승차감과 핸들링에서 느껴질뿐입니다. 보이지 않는 부분에서는 매우 도전적인 메이커입니다. 상황에 따라 각 댐퍼압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혁신적인 에어 써스펜션이나 100% 모노코크 알미늄 바디만 봐도 그렇죠.
2007.08.06 00:01:00 (*.0.0.1)
재규어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자동차에 처음으로 적용한 메이커이며 또 최초로 4륜 독립 써스펜션을 만든 메이커입니다. 그래서 브레이크에도 노하우가 많습니다. 부드럽지만 브레이킹 디스턴스는 매우 짧습니다.
2007.08.06 00:01:00 (*.0.0.1)
그리고 최초로 써스펜션 파트와 바디를 고무 부싱으로 격리시켰습니다. 재규어의 써스펜션 튜닝과 승차감이 그래서 유명한 것입니다. 하지만 무작정 부드러운 승차감을 기대하신다면 실망도 큽니다.
2007.08.06 00:01:00 (*.0.0.1)
재규어는 자연스럽고 쾌적한 느낌을 추구하기 때문에 오래 타봐야 진가를 알 수 있지요. 그래서 재규어 매니아들은 오래 오래 재규어를 탑니다. 저도 한 10년은 탈 생각입니다. ㅎㅎㅎ
2007.08.06 00:01:00 (*.0.0.1)
재규어 예찬론..넘 잼있게 읽었어요 경석님..^^ BMW 가 '나..돈좀 있다.' MB가 '난..자리잡았다.' 아우디가 '난 좀..다르다.' 는 이미지의 캐릭터라면.. 재규어는..' 난..나다.' 란 느낌이 듭니다. 경석님 덕분에 재규어에 대해 좀더 알게되었네요. ^^
2007.08.06 00:01:00 (*.0.0.1)
김강희 님, 이익렬 님, 고맙습니다. 아직도 모르는 것이 많지만 모르는 것을 알아가는 과정이 재미있습니다. 드라이브도 그런 것 같습니다. 오바하다가 낭패도 보지만.. ^ ^;; 좋은 말씀 들으니 기분이 좋네요.
2007.08.06 00:02:00 (*.0.0.1)
항상 이경석님의 자상한? 설명으로 재규어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넓혀지는 재미가 상당히 쏠쏠 합니다..^^ 구형 다임러의 라인 역시 예술품이지만 XJR 같은 모델은 정말이지 실루엣만으로도 저를 미치게 하죠..쿠쿠.
2007.08.06 00:02:00 (*.0.0.1)
현재의 모델이 더 멋지다..?? 라는 이종권님의 의견에는 다소 동의할 수 없지만..^^ 불편을 감수하고 타야할 이유도 점점 흐려져 가는 듯 합니다..*
2007.08.06 00:02:00 (*.0.0.1)
김민욱 님, 고맙습니다. ㅎㅎㅎ 하지만 이종권 님의 말씀처럼, 구형이 낫다고 하기엔 신형XJ 또한 너무 매력적라는 것은 인정해야합니다. 헤드룸을 확보하기 위해 전체 길이를 늘렸습니다. 숏 바디가 5m가 넘죠.
2007.08.06 00:02:00 (*.0.0.1)
옆으로도 넓어졌고요. 그 이유는 바로.... 완벽한 비율( proportion)을 맞추기 위함이라나요. 예나 지금이나 XJ는 디자인에 있어서 타협이란 없는 것 같습니다.
2007.08.06 00:01:00 (*.0.0.1)
어렸을 때 짝사랑했던 여학생은 그냥 추억속에 묻어두는 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민욱님 ..정 확인 하고 싶으시면 제가 전시장에 2대 나란히 놓아드릴께요...그냥 실루엣만 보는 것이 나았다는 걸 느끼게 되실겁니다... 쿠쿠.
2007.08.06 00:03:00 (*.0.0.1)
깜독님의 일목요연한 시승기도 재미있고 재규어 전문가이신 이경석님과 이종권님의 해설도 정말 재미있네요..관심은 가지만 선뜻 시승하러 가게 안되던 재규어..이경석님 ~트랙데이 할때 저도 데리고 가주세요..부탁드립니다..^^
2007.08.06 00:01:00 (*.0.0.1)
백운재 님, 항상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재규어 트랙 데이는 이종권 님께 부탁하시면 100% 함께 가실 수 있습니다. 저도 말씀 드릴게요.
2007.08.06 00:01:00 (*.0.0.1)
하하하.. 몬가 오해가 있군요..^^ 이종권 **님(별두개..흠흠.) 제가 디자인 관련 일을 하다보니 순수하게 디자인적인 측면만을 제 개인적인 취향과 더불어 말씀드린겁니다.. 저 역시 추억속의 여인을 찾아나서는 스탈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