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 테드 회원인 박강우님이 촬영하고 제가 편집한 동영상입니다.)
청출어람이라는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靑出於藍] <명사> (‘쪽에서 나온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나음’을 이르는 말- 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요즘 미국시장에서 현대자동차를 보면 이말이 실감나지요.
적어도 제가 주변에서 보고 느끼는 바로는 현대의 브랜드 이미지가 예전 현대의
기술제휴선이었던 미쓰비시보다 나아졌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미쓰비시가 이빨 빠진 종이호랑이는 아니죠. 여전히 기술력에서는 상당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랜서 에볼루션같은 고성능모델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랠리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메이커이기도 하지요. WRC에서는
2006년부터 워크스활동을 쉬고 있지만 다카르 랠리에서 지난 10년동안 한번을 제외하고는
자동차부문 종합 우승을 석권한 업체입니다. 다른 메이커들과는 달리 포뮬러나 투어링에
대한 투자보다는 랠리에 주력하는 만큼 모터스포츠 디비전 이름도 랠리아트입니다.
그동안 미국시장에는 랠리아트 배지를 단 차를 볼 일이 거의 없었죠. 튜닝샵에서 구한 스티커를
단 차들은 가끔씩 보였으나 시판모델중에서 제가 타본 차라고는 몇년전 시승한 랜서 랠리아트
정도였습니다. 지난 몇년간 애프터마켓 시장이 확대됨과 동시에 대중차 메이커의 고성능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만큼 미쓰비시도 랠리아트 에디션의 적용폭을 넓히게 되었습니다.
이번 시승기의 주인공인 갤랑 랠리아트도 그런 경우죠.
일제 미드사이즈 세단중에서 고성능버전이라면 아큐라 TL 타입 S, 닛산 알티마 SE-R
정도입니다. 그나마 닛산 알티마는 모델체인지되며 신형의SE-R 버전은 출시되지 않았죠.
보통 컴팩트카나 스포티한 쿠페는 튜닝의 소재로 많이 쓰이는만큼 고성능 버전이 마련되는
경우가 많으나 일반적인 미드사이즈 세단에서는 그리 흔한 경우가 아니기는 합니다.
개인적으로 지금 나오고 있는 갤랑은 참 못생겼다고 생각합니다. 랠리아트 에디션으로
바디킷을 두르고 18인치휠을 끼웠어도 원래 생긴게 그래서인지 여전히 이쁘다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연예인들이 성형수술을 했네 어쩌네 해도 본판이 받쳐주지 않으면 견적이 많이
나오겠죠. 사실 터뷸런스를 쿠다로 바꿀만한 디자인 실력이 아니라면 갤랑을 이쁘게 바꾸기는
힘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성능면에서는 그런대로 인정 받을만합니다.
258마력과 35.6Kg-m를 내는 3.8리터 V6 엔진은 가변밸브기구를 갖추고 있으며 부드럽고
파워풀하게 움직입니다. 변속기는 수동모드를 갖춘 5단 자동입니다. 자동모드에서는
스포츠주행에 어울리는 진득한 변속로직 보다는 다소 헤메는 느낌이 없지 않습니다만
수동모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불구불한 산길을 달릴때 나름대로의 운전재미를 선사합니다.
마음같아서는 패들시프트가 달려있으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도 살짝 남더군요.
계기판의 시프트 인티케이터는 숫자로 표시되는 방식이 아니라 각 단별로 표시등이 일렬로 주욱
늘어서있어 좀 번잡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계기와 각종 스위치의 배치가 잘 되어있고 인테리어
질감이나 마무리도 짜임새도 괜찮습니다.
공간도 넉넉하고 좌석도 편하고 운전자세를 잡기에도 불편함이 없습니다. 전반적으로 별로
흠잡을데도 없고 눈에 띄게 좋은 부분도 없이 무난합니다. 일반형 갤랑을 타보지 않아 직접
비교할 수는 없지만 스프링계수가 조금 올라가고 댐퍼와 타이어도 조종성에 조금 더 무게를
두어 선택한 만큼 승차감은 조금 더 딱딱해졌겠지만 일상적인 주행에서는 미드사이즈 세단의
평균적인 승차감에서 그다지 벗어나지 않는 수준입니다.
스티어링의 무게는 살짝 무거운 쪽인데 코너링중 요철을 지날때 전해지는 킥백이 조금 심하게
느껴집니다. 거를 것은 걸러주고 전해줄 것은 전해주는 느낌이라기보다는 대충 걸러내고
나머지는 다 통과시키는 느낌이랄까요. 제동성능은 클래스 평균수준 정도라고 생각됩니다.
자주가는 산길에서 적당히 혹사시켜 보았을때 눈에 띄는 성능저하는 없었지만 제동컨트롤
면에서는 조금 신경질적인 느낌이 있었습니다. 갤랑의 MSRP는 기본형인 DE가 $19,000
정도에서 시작하여 ES, SE, GTS가 있고 가장 상위 트림레벨인 Ralliart는 $26,000를 살짝
넘는 가격표를 달고있습니다. 물론 여기에 내비게이션 패키지를 비롯한 다양한 옵션이 달린
시승차는 3만 달러 바로 아래더군요. 사실 캠리나 어코드와 비교했을때 갤랑 랠리아트는
성능과 장비의 우위에 비해 브랜드 이미지나 가격, 감가상각 등의 마이너스 요소가 더 크다고
생각됩니다.

2007.06.13 01:14:17 (*.236.102.204)

제가 기억하는 80년대 갤랑은 참 멋진 디자인의 차였는데 이게 이런 모습으로 변해버렸군요. 한때 유행이 됐던 사이드 프로텍터 위로 -굴곡이 지는 디자인을 최초로 선보였던 차가 갤랑으로 기억합니다. 나중에 소나타가 나오면서 그 디자인을 국내에도 선보였었지요.
2007.06.13 01:17:04 (*.133.99.229)

저도 90년대 후반에서 2천년대 초반인가 나온 갤랑의 디자인이 좋았던 것 같습니다. 80년대 BMW를 닮은 역슬랜트 노즈에 강인한 스타일이었는데 말이죠..80년대 말인가 조선일보같은 중앙일간지를 보면 당시 갤랑의 차 사진과 함께 첨단기술을 선도하는 미쓰비시...등의 문구로 기업 이미지광고를 보며 미쓰비시의 차가 하이테크의 진수를 보여주는 좋은 차라는 인식을 가지기도 하였구요.
2007.06.13 01:52:32 (*.58.157.129)

미쯔비시의 3.8 엔진이라... 현대의 람다와 관련이 있을려나요?? 갑자기 그 생각부터 드는군요 ^^ 마무리가 멋진 동영상 잘 봤습니다. 방송회사에서 촬영한거 같아요 ^^
2007.06.13 10:27:38 (*.111.101.78)

저도 예전의 멋있던 갤랑의 모습이 떠오릅니다. 그때만 해도 쏘나타와 갤랑은 도저히 비교할 수 없는 상대로 보였었는데 말이죠..
2007.06.13 10:28:56 (*.219.0.69)

BMW 5시리즈를 타겟으로 만들어진 갤랑.. 일본산 하이테스 스포티 세단을 추구했지만 사실상 그 정도까지 입지가 올라가지는 않았었죠. 90년대 후반에는 중형급 정도로 다운 사이징까지 했다가 다시 덩치를 키운 모양이네요. 1.8L 직분사 엔진을 얹고 일본부터 서울까지 무주유 주행으로 국내에 왔다 갔을 때 기억이 납니다.
2007.06.13 13:26:17 (*.188.113.10)

양산모델 최초로 GDI엔진을 적용하면서 희박연소이론을 입증한 차종이 바로 미쯔비시의 갤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대의 린번엔진도 생각나네요^^
2007.06.13 15:06:00 (*.42.197.237)

중국에서도 겔랑 신형 모델이 욜로리한 가격으로 나와가꽁 켐리하고 아코드.. 특히나 어코드 가격을 많이 내려가게 했져..쿠쿠.
언제나 확실하고 담백한 시승기.. 잘 봤습니다..(^^*)
언제나 확실하고 담백한 시승기.. 잘 봤습니다..(^^*)
2007.06.13 15:35:25 (*.4.197.253)
같은 미드사이즈 세단인데 어떻게 저 길에서 저런 스피드가 나올수있는지 궁금합니다 ㅜ.ㅜ
Angeles Crest 에서 촬영하셨나요??
영상 잘 보고 + 시승기 잘 읽었습니다 ^^
Angeles Crest 에서 촬영하셨나요??
영상 잘 보고 + 시승기 잘 읽었습니다 ^^
2007.06.13 23:16:31 (*.210.121.193)

와... 박진감 넘치는 동영상 잘 봤습니다.
혹시 이차 호주 미쯔비시 380 모델인가요? 북미에서는 갤랑으로 팔리나봐요... :)
혹시 이차 호주 미쯔비시 380 모델인가요? 북미에서는 갤랑으로 팔리나봐요... :)
2007.06.14 05:58:06 (*.91.253.52)

엔진 기본은 같더라도 사용되는 부품의 강도나 미션이 틀릴까요?
이리저리 조합해서 저렴한 고성능 튜닝이 가능하면 좋겠는걸요 ^^;;
이리저리 조합해서 저렴한 고성능 튜닝이 가능하면 좋겠는걸요 ^^;;
2007.06.16 14:59:09 (*.83.168.202)

이동훈님, 동영상 마지막의 스핀턴은 아마 웬만한 드라이빙 스쿨에서 가르치는 테크닉중에 하나일겁니다. 실제 고급운전에 큰 도움이 되는 운전방법은 아니기 때문에 가르치지 않는 곳도 있겠지만요. 사이드브레이크를 활용하여 뒷바퀴를 미끄러뜨리는 것인데 요즘 차들중에는 주행중 사이드를 당겨도 잘 듣지 않는 차들이 있는가하면 살짝 당겨도 그대로 락이 걸리는 차들도 있습니다. 혹시라도 연습하실 요량이시라면 넓고 한적한 곳에서 주행중 사이드를 당겼을때 차의 거동부터 확인해보시고 차근차근 해보세요. 고급운전기법이라기보다는 운전잡기중 하나입니다만 차가 스핀할때의 움직임을 경험해본다는 측면에서는 연습해볼만하기도 합니다. 항상 안전운전 하시구요.
2007.06.18 18:26:08 (*.87.60.110)
어머니 차로 연습하다가 사이드 조금식 풀리던 생각 납니다. 어머니가 어느날 그러셨죠.
"요새 사이드 브레이크가 이상해졋어. 헐거워지는 느낌이야' 도로에서 소위 김여사인 저희 어머니도 뭔가 느끼시는가 봅니다.
"요새 사이드 브레이크가 이상해졋어. 헐거워지는 느낌이야' 도로에서 소위 김여사인 저희 어머니도 뭔가 느끼시는가 봅니다.
2007.06.20 12:52:49 (*.59.126.92)
권규혁님....네 한가한곳에서 해봐야 겠네요..그런데 운전기술들도 많은거 같은데
이런기술은 꼭 드라이빙 스쿨에 가서 배워는 방법밖에 없나요..? 궁금해서요
홍인수님....^^
이런기술은 꼭 드라이빙 스쿨에 가서 배워는 방법밖에 없나요..? 궁금해서요
홍인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