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200마력 갓 넘는 소소한 출력으로 펀 드라이빙 하고있는 회원입니다...
와인딩을 하러 다니지는 않지만, 우연찮게 마주치게되는 와인딩코스는 심장을 벌렁이게하면서... 저도 모르게 운전대를 꽉 부여잡고 신나게 운전하는 타입입니다..
초고속 주행은 하지않지만, 시속 y00~y30 정도는 가끔(?) 하게됩니다.. 대낮에 뻥 뚫린 고속도로에선 앞에 차들이 보일때까지 풀악셀을 전개하기도하구요...
여러모로 차타는 즐거움에 살고 있는데요,
타이어를 나름 여러가지 써보았지만 아직까지 저와 맞는 타이어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re050a, csc3, ps3, s1 noble, majesty, 4x(구), efficient grip,...
대충 이정도를 써봤는데요, 정말 이타이어다! 싶어서 정착한 타이어가 아직 없네요...
사실 ps3는 다시 후보에 올라온 이유가...
영동고속도로 배수홈(?) 에서 순간이동을 경험하고선 빼버린 타이어라서.. 오래써보질 못하기도 했고, 그 외의 것들은 꽤 만족 스러웠거든요...
s1 evo 는 예전부터 꽤 평이 좋던 타이어이고.. 가격도 많이 낮아진듯 보이구요... 그래도 아직은 좀 부담되네요..
v12 evo는 제가 좋아하지않는 v 패턴인데... v12 evo2 가 나오면서 상당히 많은 호평때문에... 귀가 얇아서... ㅠㅜ
re003 또한... 제가 귀가 얇아서...
le sport 는 얼마전까지만 해도 유력 후보였는데... 요새들어서 후기가 안좋은것들이 많이 보이네요.. 그래서 좀 고민이 됩니다...
su1 또한 좋은 후기가 많지만 대부분 넥센협찬 받은 블로거들의 글 이라는게 함정....
가격은 어마어마하게 착하네요...
사실 이중에서 저는 su1 에 제일 마음을 두고 있습니다.이유는 가격대비 성능 으로 보구요...
su1이 정말 블로거들 말 처럼 ps3 와 비슷한 수준을 낸다면... 정말 대박 아닐까요??
타이어는 사실 끼워봐야 아는 것이고... 운전자 성향을 많이 타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렇게... 수년동안 여러종류의 타이어 선택에 실패하여...
실패율을 좀 낮추고자.. 이렇게 질문 글을 올립니다 ㅠㅜ
위 나열된 타이어에서.. 써보신분들.. 장단점에 대해 솔직한 후기를 듣고싶습니다!!
아참, 사이즈는 245 45 17 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윈터타이어는 따로 구비할 예정이구요...
봄 가을에도 충분한 접지가 살아나는 타이어였으면 합니다..
영상 5도 정도만 되어도 타이어가 너무 딱딱해지고 접지가 다 죽어버리는 타이어는... 힘드네요 ㅠ
보기에는 없지만 미쉐린 파일럿 스포트 A/S 3 이요.. (Pilot Sport A/S 3)
그리고 달릴때 그립이 좋으면 좋을수록 대체로 추울때는 안 좋습니다. 타협이죠.

후보로 언급하신 타이어들 중에서는 S1evo2가 독보적으로 우수하다고 판단됩니다. PS3가 아닌 PSS와의 경쟁을 염두에 둔 최상급 공도용 UHP입니다. 경험 상 그립력과 배수력, 소음, 내구성 등 여러 요소의 밸런스가 상당히 좋았던 기억입니다. V12도 좋아졌다고는 하는데 S1에 비할 바는 아닌 것 같습니다. evo2가 되면서 사이드월이 많이 단단해졌다고는 하는데 여전히 조금 무르다는 평을 많이 들었습니다.
RE003은 아직 체험 안해봤지만 사이드월이 단단해 필링은 좋을 지언정 절대그립이 어떨 지는 다소 의문이네요. 이전 모델인 RE002의 그립은 V12와 비슷하다고 합니다. 금호는 요새 컴파운드도 안좋아지고 파업 여파인지 전반적인 품질이 많이 들쑥날쑥한 것 같습니다.
넥센은 그립력만 놓고 보면 나쁘지 않은 것 같은데 N9000이나 SUR4 모두 황당할 정도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걸 주변에서 많이 봐서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네요. SU1은 주변의 평가에 따르면 굳이 동일선상에서 비교할 가치가 없다고 합니다.
아니면 곧 한국에 출시되는 미쉐린ps4도 있구요
카더라 통신에 의하면 pss에 버금가는 성능에 다만 가격또한 pss급이라는 소식도 있었습니다
가격이 정말 착해서 이거다 싶었는데...
s1 evo2 가 거의 1.7 배 가량 비싸서... ㅠㅜ 성능만 나와준다면야!!!
s1 evo2 쪽으로 살살 기울고 있네요..

앞은 sur4 구요
극과극이라 완벽한 오버셋팅이 나올줄알았는데
생각보다 접지가 나쁘지않네요
물론 f 245 40 19 r 275 35 19 라 그럴지도모르지만.
Su1 은 가격생각하면 사랑입니다

성능으로만 나눈다면
PSS > PS91 > S1evo2 >> PS3 >> V12evo2 > LE sport 정도라 판단됩니다.
엊그제 와이프님 출퇴근 및 출장용 타이어로 LE Sport를 장착해 주었는데
예전에 장착했을때와 다르게 상당히 물러졌다(?)고 해야할 듯 합니다.
너무 가볍고 쫀득한 맛도 확 떨어진듯 하네요...ㅠㅠ
다음에는 최소 PS3급 이상으로 갈려고 합니다.

V12와 LE는 서머임에도 불구하고 all season 4X 2보다 떨어지는 85점 내외 인것이 의외입니다..

답변이 아니라 죄송합니다.
혹시 4X나 마제스티는 현재 주행패턴에 어떠셨나요?
제 경우에는 순정 서스가 너무 돌처럼 딱딱해서 타이어라도 컴포트한 제품으로 넘어가볼까 생각 중이었거든요...
적당한 그립과 고속 안정성만 나와주면 바꾸고 싶어서요...

개인적으로 PSS와 S1Evo2를 둘 다 사용해봤고, 그것도 PSS에서 윈터타이어로 바꾼 후, 다시 섬머타이어를 고르면서 전혀 엉뚱하게 엑스타 XS를 끼웠다가 엄청난 후회를 한 뒤에 S1Evo2를 잠깐 (3개월 정도) 써보고 바로 PSS로 넘어갔었기 때문에 두 타이어의 비교가 직접적으로 가능했습니다.
한타에서 정말로 PSS와의 경쟁을 염두에 두고 S1Evo2를 만들었다면 솔직히 아마추어로 이름 좀 날리는 선수가 탑클래스의 프로선수에게 도전장을 내민 격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상적인 주행에서 보면 솔직히 PSS보다 정숙성과 컴포트함에서 조금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만, 고속주행의 안정성이나 급격한 움직임에 대한 피드백과 반응은 솔직히 PSS와 비교불가의 수준이었습니다.
물론 가격때문에 su1를 선택한 건 아ㅇ닙니다^^
대신 사이드월이 라운드형식이라 한치수 ㅡ게 하셔야 합니다
믿고 거르는 금호.
Y00넘기시면 V12도 비추.
S1evo를 쓰시면 만족하실듯 합니다.
한타라는 회사가 국내 회사라서 저 가격에 구입이 가능한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