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수입차 국산차 모두 타 보고 유지 해 본 경험은 있지만 동시에 2대를 굴려본 경험이 없는 사람입니다..
혼다 어코드, bmw 328i, Mercedez slk 200, mini cooper 이렇게 각각 약 2년 정도씩 보유 했었고요.. 운행 거리는 각 차량별로 2~3만km 정도 입니다..
운행 거리도 많지 않고해서 사실 딱히 유지비가 많이 들지 않았는데요, 국산차량을 타면서 튜닝에 재미들려 소나타급을 4년이상째 타고 있습니다.. 튜닝도 좀 하다보니 튜닝비용도 만만치않고, 유지도 조금 신경쓰이네요. 무엇보다 차량이 재미있게 저에게 커스터마이징 된 튜닝이 되어있다보니.. 운전하는 재미 때문에 운행거리가 꽤 되기 시작했습니다.. 지금 소나타만 2번째인데 두대타는 동안 4년동안 20만 km 정도를 타고있는 제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네요... LPG 차량을 튜닝해서 타다보니, 유류비 걱정도 거의 없었고, 자잘한 기스는 신경안쓰게 되었으며.. 수리비나 기타 소모품에도 큰 부담없이 차량을 운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결혼도 했고 이제 아기도 갖고 하려다보니...
요즘에는 두가지 차량이 너무 눈에 들어옵니다.. 한대는 그랜드카니발 또는 레인지로버급 대형 SUV 이구요..
나머지 한대는 M5 나 파나메라 입니다.
파나메라와 레인지로버는 사실상 유지보다는 구입부터가 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어서...
그랜드카니발이나 M5가 너무 눈에 들어옵니다.
와이프는 mini 컨트리맨을 갖고싶어하고요..
현재 mini r56 노멀을 타고 있지만 뒷좌석때문에 추후 컨트리맨으로 마음을 굳힌 상태입니다.
잡설이 상당히 길었습니다만...
결론적으로, M5 신형과 컨트리맨 이렇게 2대를 굴리려면... 소득 수준이 어느정도가 되어야 유지및 구입에 무리가 없을지요? 아무래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건 매년 주행거리가 될 듯 싶은데, 와이프는 1년에 1만키로 정도 탄다고 보이며 저는 3만 정도 타는것 같네요...
장거리등 유류비가 많이 소모될 때에는 와이프랑 차량을 바꿔타고 다녀야 할것 같구요..
저도 어느정도 상세한 답변을 듣고싶다보니, 몇가지 정보는 오픈 하야겠지요..
저는 일반 회사원이며 연소득 4천만원 중반(세후) 정도 됩니다.
와이프는 공무원이며 연소득 3천만원 초반(세후)정도 됩니다.
아이가 생기면 돈이 많이 든다고해서 좀 걱정입니다만... 좋은 차를 타는게 인생의 낙이기도 하다보니, 조금 무리해도 유지할만 한지 여부가 궁금합니다...

자녀가 어린 네식구인데
E39 M5
SM5d
로디우스 사륜 운용중입니다.
국산차라고 해서 고장이 적은것도 아니고,
르노, 쌍용이 수리비가 적은 편도 아니지만
그거야 케바케라서...다만 유류비만큼은 M5가
고급유에 평균연비 7키대라서 데일리로는 조금
부담스럽게 느껴집니다. 한대쯤은 국산으로
가시는게 운용하기 편하실것 같네요 ^^
현세대 카니발... 좋더군요.
역시 M의 세계는 올라서기 어려운 영역인가봅니다...
현실을 인지하고, 카니발을 목표로 잡아야겠네요 ^^;
나중에 정말 안정적이고 넉넉한 수입이 보장될때 그때 다시한번 생각 해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특별히 돈드는것은 없는데. . 들때면 비용이 굉장하다고. . --
새차인데도 이런엄살을. .

Cls250 세금45 유류비 500 보험90 기타수리및 소모품 40 (연2회오일교환)
CC 세금43 유류비 180 보험90 기타 수리및 소모품 17(연1회 오일교환)
M6 세금180 유류비 약 300선 보험240 기타수리및 소모품 28 (연3회 오일교환)
수입차라 하더라도 소모품들은 국산고급차량의 부품가격과 크게 차이나지는 않은듯 합니다. 저의 경우 운이 좋아서인지 주행량이 많아 컨디션 유지에 도움이 된것인지는 몰라도 고장 빈도가 극히 낮아 수리비로 큰 금액을 지출한 경우가 거의 없어 수입차라고 해서 막연한 유지비용의 두려움은 느끼지 않습니다.
모하비에서 처음 수입차로 넘어오는 시기에 막연한 유지비용에 대한 걱정이 있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괜한 걱정이었구나 합니다.
차량 유지에 대한 센스가 조금 있으시다면 부품들도 직구나 수입차량 부품판매처에 직접 컨택하시고 그러다 보면 큰 비용이 아님을 느끼실겁니다.
부모님이 엔트리급 독일차 신차로 출고해서 10년 좀 넘게 최근까지 타다 제가 물려받게 되었는데 고성능차도 아니고 평범한 4기통 엔트리인데 수리비 유지비로 그랜저 신차 한대 뽑고도 남았단 소리를 하신 기억이 납니다. 연 2만키로 기준 평균적으로 유류비/유지비/수리비로 월100+@ 쓰셨다고 하신거같네요. 차값은 부친 연봉의 1/3 수준이었지만 아무래도 문제가 터지는게 복불복이고, 아니 10년 또는 그 이상 타다보면 주위 렉서스만 3대/폭스바겐 1대보유 경험 있는분, e36 3시리즈를 20년 가까이 타신 분들과도 대화나눠 보고 종합적으로 결론을 내려보면 독일차는 오래탄다면 꾸준히 돈 들어가는게 현실이라 느껴집니다.
최근에만 보면 타이어나 오일교환 등 소모품 교환 외에 큰 돈 들어갈 일이 몇 차례 있었는데 기억나는 것이 하체 리프레쉬(250~300), 미션 수리(400~500),냉각계통 수리(250) 이렇게 2년새 돈천 금방 깨졌네요.
물론 저희 경우는 그렇게 차를 잘 아는 분들이 아닌, 일반적인 경우라 거의 정식센터 위주로/정품 앗세이 교환 위주로 수리를 한지라 서드파티 부품 위주로 합리적으로 수리한다면 조금은 부담을 덜 수 있을것 같습니다.
또 한가지 항상 부모님께서 우스갯소리로 하시던 말이, 자식 키우느라 돈 정말 많이 든다고...각종 학원비 과외비에 악기레슨 운동비 등등등..저희만 아니었음 몇억은 더 모았다고..ㅠㅠ
결론만 말씀드리면 유지 가능 하실거 같은데요?
보증 기간까지는 튜닝만 안하면 별로 돈 들일 없을테고 보증 기간 끝나고 부터 소모성 부품이 조금씩 돈 달라고 할텐데 요즘은 보증 연장도 돈주고 사면 되니 튜닝만 안한다면 별 문제 없으실듯.
게다가 두 차 모두 BMW라서 유지비가 헬은 아닐듯 하구요. 두차 합쳐서 기름값 빼고 년 오튝백 정도 잡으면 될듯한데요?

저도 2대 운행하고 있습니다..훨씬 싼 모델인데요..랜서7기와 w211..
이번 w211 대대적인 정비하느라 600정도 들였네요..랜서는 튜닝한다고 돈 많이 들고
주행거리가 별로인데 하도 만지는걸 좋아해서 했는데 다 없애고 새차 한대로 가보던지
아님 꿈의 포르쉐와 경차? 이렇게 운용한번 해보고 싶네요..
예전의 기억으로 프로필 사진의 e46m3컨버 거의 새차는 기름만 넣고 운행했던 기억이고 중고차는 오히려 정비하다 돈 많이 까먹은 기억입니다..지금도 진행이구요..
해외직구 통해서 최대한 싸게 한다고 하지만... 모든 공임이 국산차의 1.5배를 부르는 말도 안되는 관행으로 인해서 피를 많이 보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