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엔진오일의 색깔은 나쁘지 않지만 교환한지 1년정도 되어서 곧 교체를 하려 하는데
하는김에 전부터 생각해왔던 오일스트레이너 교체를 같이 해주려 합니다.
이전까지는 교환주기마다 르노삼성 사업소나 지정정비코너에서 오일+오일필터교체 를 맡겼지만
바로 전 교체는 어디 동네 카센터에서 했습니다. (아버지가 교체하시고 온건데 잘 기억이 안나신다고 합니다. 아마 광유일겁니다.)
직접 엔진오일을 알아보고 사서 카센터에 맡기려는데 순정오일만 쓰다가 합성유같은걸 알아보니 잘 모르겠어서 질문을 올립니다.
1) 구형 SM3의 취급설명서나 닛산 QG16DE의 권장 엔진오일 점도는 5W부터 시작합니다.
그런데 여기에 0W30같은 점도의 오일을 넣어도 문제가 생기지 않나요??
참고로 이차는 2~3주 주기로 한주동안 하루에 2시간정도 80km/h이상 주행을 하며
나머지 주에는 차를 운행하지 않거나, 자잘한 단거리 시내주행을 위주로 합니다.
2) 오일팬을 탈거하고 오일스트레이너 교환할때는 엔진오일이 메뉴얼에 나온 교체용량보다 많이 들어가나요??
메뉴얼에 나온 용량은 오일만 교체시:2.5L , 오일필터까지 교체시:2.7L입니다.
3) 현재 르노삼성 순정 엔진오일과 킥스파오 5W30(킥스파오1이 아닙니다.), 모빌1 ep 5W30을 고려중입니다.
모빌1ep가 합성유의 교과서격 되는 오일이지만 엔진부밍음이나 소음이 심하다고 들었습니다.
모빌1 오일을 쓰셨던 회원님들은 어떠셨는지 궁금합니다.
4) 르노삼성 순정 엔진오일의 정체가 궁금합니다...
어느 회사의 어떤오일인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각 브랜드의 OEM으로 납품되는 순정 엔진오일들은 반 합성유인가요??
API Group으로 치면 어느정도 급인가요??
5) 오일팬을 탈거하고 다시 장착하려면 액상 가스켓이 필요한데 르노삼성 이녀석들은 액상가스켓을 45000원에 팝니다.
퍼머텍스 울트라블루라는 고열본드를 사서 쓰려는데 95g 2통이면 충분할까요??
6) 구형sm3 1600cc의 정비지침서에는 습식에어크리너를 사용하는것 밖에 안나와 있는데
얼마전에 에어크리너를 교체할때 건식에어크리너로 교체했습니다.
부품전산에는 1600cc공용으로 나오지만
습식에어크리너가 순정으로 들어가는차에 건식에어크리너를 써도 되나요??
7) 저에게 필요한 엔진오일을 고르는데에 궁금한점...
저는 주로 시내주행과 가끔씩의 80km/h 이상의 고속주행을 합니다.
고속주행이라고 해봐야 140km/h를 잘 넘기지 않습니다.
각각 자동차 브랜드의 차들은 그 자동차 브랜드의 순정 엔진오일을 베이스로 개발되어
그 차에 가장 무난한 오일이 아닐까 하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엔 국산 엔진오일의 품질도 수입엔진오일 못지않게 품질이 매우 좋다고도 많이 들어왔구요.
그래서 궂이 비싼돈 들여(모빌1 오일은 가성비 오일로 유명하긴 하지만...) 순정 엔진오일이 아닌 Group 4이상의 합성유로 넣어야 하는 생각이 들어서, 앞으로 어떤 오일을 넣어서 관리를 할것인가 고민이 됩니다.
교체주기 꼬박 지키면서 한 30년 탄다고 해도 둘이 큰 차이가 있을까요???
회원님들 생각은 어떠신가요??
8) 글의 주제와는 벗어난 질문이지만 슬슬 브레이크 패달을 밟을때마다 쇠소리가 조금씩 나서
오일을 교체할때 패드를 교체하려 합니다.
쇠소리가 나기 시작하면, 브레이크 디스크에 무리를 주기 시작하는 것인가요??
브레이크 패드의 교체는 언제가 적절할까요??

2. 더 들어갈겁니다. 평소 엔진오일 교환시 엔진오일을 머금고 있는 부품때문에 메뉴얼에서 필터교환유무에서 용량차이가 나는데 하몰며 오일팬작업시도 엔진오일을 충분히 뺐다고 생각하나 오일팬에 200~300ml정도는 남아있습니다 스트레이너까지 교환한다면 적정용량에서 더 들어간다고 봅니다. 어느정도 량이 적당하다 숫자에 연연하지 마시고 작업하시면서 오일지시봉을 보고 주행을 하며 틈틈히 봐주시는게 정확합니다
3. 차마다 같은 오일을 넣어도 반응이나 필링이 다를 수 있고 이는 사람이 느끼는 것이라 다른 이가 쓰는 것과 완전 같을 순 없지요 궁금하면 함 써보시는 것도 공부가 되고 차 좋아하는 사람들은 궁금한거 못 참잖아요^^ 참고로 저는 모빌원ep를 쓰는데 아이들링시 자글자글하는 소리가 나지만 거슬릴 정도는 아닙니다.
4. 요즘 oem오일은 3기유인 vhvi로 알고 있습니다 순정오일로 관리해서 큰 문제없이 40만키로씩 타는 차도 봤고 제가 느끼기에도 순정오일도 괜찮더라구요. 르노삼성차순정유는 sk zic A베이스로 첨가물을 넣은거라고 알고 있는데 지크의 오일라인업을 보면 zic a가 단종되어 x5인가 x7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A베이스로 생산하는지 x시리즈 베이스로 만드는진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구형sm 4단미션오일은 에스오일에서 만들고요 순정유도 다 유명한 회사에서 제작합니다
5. 르노삼성차가 블루본드?인가 해서 일본산꺼 쓰는걸로 알고 있는데 현대차 순정부품이나 록타이트 고열액체가스겟 등 좀 더 저렴한 제품써도 상관없습니다. 액상가스켓의 제품보단 작업을 얼마나 잘했냐가 중요한 정비입니다
6. 저도 sm7타며 의아했던 부분이죠 메뉴얼엔 습식인데 부품은 건식이라고 하니까요. 구형Sm팔땐 습식이였고 나중엔 건식으로 바꼈다고 합니다. 뭘 써도 상관없는데 에어필터는 순정이나 보쉬제품정도 되면 괜찮습니다
7. 좋은 엔진오일을 쓰면 각 제조사 롱라이프규격이나 a,b,c등급 같은 것들을 만족 시키는 것도 있지만 아무래도 필링적인 부분이 달라지더라구요 엔진오일후기보면 묵직하게 나간다 경쾌하게 나간다 후빨이 좋다 등등 그런 부분에서 자신의 취향과 부합하는 오일을 쓰는 부분이지 순정차에 순정유쓴다해서 크게 내구나 성능이 나쁠 건 없다 봅니다 택시만해도 순정유만 썼는데 자가용보다 시내주행이 많고 주행거리가 많듯이 르노삼성순정유의 필링은 엔진오일교환시 정숙성이나 성능부분에선 큰 차이 못 느꼈지만 rpm이 좀 부드럽고 더 리드미컬하게 올라간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8. 디스크 상태보시면 알지요 휠 안쪽 캘리퍼를 봐도 패드상태 어느정도 볼 수 있는데 어느정도 볼 수 있다고 말한 이유는 패드가 2개 있는 캘리퍼에서 바깥쪽을 보는거지 안쪽 면은 못보니까 2개의 패드가 편마모가 있거나 고착이 안된 줄 알고 있는 경우도 꽤나 있습니다 쇳소리가 나면 디스크에 무리를 주고 있는게 맞습니다
패드 교환주기는 키로수가 아닌 휠안쪽 캘리퍼나 엔진오일교환때 휠 탈거해서 종종 확인하시는게 맞습니다
다른 답변들은 잘 모르겠고 패드는 얼마전 제가 경험한 것을 토대로 설명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희 아버지차는 08년식 아반떼HD 12만키로가량이고
제 차는 08년식 i30fd 9만키로 정도 탄 차량입니다.
저희 아버지께서는 생전 브레이크패드 안바꾸시다가 최근 쇳소리가나서 교환하셨습니다.
반면.. 저는 위 차량을 5.5만정도에 가져왔었는데 벌써부터 쇳소리가 납니다.
(물론 제 차량은 데려오자마자 패드 교환 하였습니다.)
패드의 종류, 특성마다 교환주기는 다릅니다.
그리고 운전습관에 따라 다릅니다.
저희 아버지는 장거리출퇴근을 하셔서 항상 연비주행 + 안전운행 이시고
저는 단거리출퇴근에 급가속, 급감속을 항상하니.. 패드가 빠르게 닳고요.. 가끔 와인딩이라는 일탈적인 행동도하니
마모가 더욱 빨라집니다.
그리고 간혹 안쪽패드와 바깥쪽패드의 잔량이 심하게 차이나는경우가 있는데
이럴경우 캘리퍼 교환을 생각하셔야합니다.
2. 오일팬 누유가 있지 않으면 굳이 열어 스트레이너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 주행거리가 어떻게 되시는지요?
3. 개인의 주관이라..저는 별로 느끼지 못했습니다.
4.합성유입니다. 제가 교환했을때는 sk루브리컨츠였으니
아마 지크 A가 아닐까 싶습니다. Api SN등급입니다.
5.
6.네 괜찮습니다. 기분상 빨간색이 좋아보이더군요.
7.예전에는 고급오일 신경써서 넣었는데 지금은 규격맞고 가장 저렴한 오일 사용합니다. 순정오일 추천드립니다.
8.휠 안쪽으로 잔량이 보입니다. 운전자에 따라 수명이 다르기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