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몇달전 차체 부식을 발견하였습니다.
현대 홈피에서 접수를 시도 하였으나 도통 찾을수 없어 소보원에 접수를 하였습니다.
차량 결함 신고란이 있더군요.. (차종 New EF)

며칠후 담당 주재원이 연락이 왔고 차량을 확인하였습니다.
10분정도 육안확인후 재도색 한것 같다고 하였습니다, 먼저 사고나 도색은 없다고 하였으나 그 분이 하는 일이 그러하니 이해를 하고 몇가지 물어 보았습니다. 육안상 판단이 가능한지와 도색여부를 알기위해 도막 측정기를 가져왔는지 물어 보왔으나 준비가 안되고 육안으로는 정확히 판단 할수 없다고 하더군요.
사실 육안확인중에 조금 답답했습니다..
장비측정 결과 이외에는 동의 할수 없어 장비가 있는 곳을 문의하였고 남부 서비스에 가서 측정 하기로 하고 남부에 같이가서 차량전달후 1시간정도 어디딘가에서 고참들과 함께 아마도 잘 모르는 출고 상태 도막 두께부터 확인하느라고 한참후 차를 가져왔습니다.
결론은 무사고 상태이며 무상 A/S 처리 하도록 하였습니다.
예약 및 차량 입고후에 시간이 조금 생겨 방문하였습니다.
아시다시피 판넬 전체를 교환하는건 나중 중고차 판매에도 불리하고 작업범위만 커서 부식부위만 작업키로 하였습니다.
작업자분 열심히 작업중인데 조금 당황하시더군요.. 보통의 경우 찾아오는 경우가 없는것 같습니다.
(부식부위 절단후 신품교체)

작업후 실내 오염 및 뒷마무리가 엉망이지만 그러려니 하였습니다..
작업완료후 사진

차체 부식은 물기가 스며들기 쉬운 부분 및 또는 특정부위에 발생 빈도가 높은듯합니다.
예전 차에서도 휀더부위에서 부식이 발생되어 무상수리 하였고 이번이 전체적으로 두번째이 었습니다.
이런 경우 추천하는 방법은 가급적 적극적 처리를 위해서 소보원에 신고 접수후 처리하는 방법도 좋을 듯합니다.
사안이 동일하지 않거나 관리상의 이유로 무상수리가 않될수도 있으므로 접수시 이점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것 같습니다..
김병옥
현대 홈피에서 접수를 시도 하였으나 도통 찾을수 없어 소보원에 접수를 하였습니다.
차량 결함 신고란이 있더군요.. (차종 New EF)

며칠후 담당 주재원이 연락이 왔고 차량을 확인하였습니다.
10분정도 육안확인후 재도색 한것 같다고 하였습니다, 먼저 사고나 도색은 없다고 하였으나 그 분이 하는 일이 그러하니 이해를 하고 몇가지 물어 보았습니다. 육안상 판단이 가능한지와 도색여부를 알기위해 도막 측정기를 가져왔는지 물어 보왔으나 준비가 안되고 육안으로는 정확히 판단 할수 없다고 하더군요.
사실 육안확인중에 조금 답답했습니다..
장비측정 결과 이외에는 동의 할수 없어 장비가 있는 곳을 문의하였고 남부 서비스에 가서 측정 하기로 하고 남부에 같이가서 차량전달후 1시간정도 어디딘가에서 고참들과 함께 아마도 잘 모르는 출고 상태 도막 두께부터 확인하느라고 한참후 차를 가져왔습니다.
결론은 무사고 상태이며 무상 A/S 처리 하도록 하였습니다.
예약 및 차량 입고후에 시간이 조금 생겨 방문하였습니다.
아시다시피 판넬 전체를 교환하는건 나중 중고차 판매에도 불리하고 작업범위만 커서 부식부위만 작업키로 하였습니다.
작업자분 열심히 작업중인데 조금 당황하시더군요.. 보통의 경우 찾아오는 경우가 없는것 같습니다.
(부식부위 절단후 신품교체)

작업후 실내 오염 및 뒷마무리가 엉망이지만 그러려니 하였습니다..
작업완료후 사진

차체 부식은 물기가 스며들기 쉬운 부분 및 또는 특정부위에 발생 빈도가 높은듯합니다.
예전 차에서도 휀더부위에서 부식이 발생되어 무상수리 하였고 이번이 전체적으로 두번째이 었습니다.
이런 경우 추천하는 방법은 가급적 적극적 처리를 위해서 소보원에 신고 접수후 처리하는 방법도 좋을 듯합니다.
사안이 동일하지 않거나 관리상의 이유로 무상수리가 않될수도 있으므로 접수시 이점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것 같습니다..
김병옥
2009.04.19 23:40:26 (*.152.207.117)

제가 국산차에서 제일 불만인 부분인데...^^
잘 처리 되셔서 다행입니다.
2001년식 경차를 탈때도 도색불량으로 몇몇 곳을 재도색 해서 탔는데,
재도색 작업 자체의 서비스 수준도 문제가 많더라구요.
도색에 관련된 시설투자비가 커서인지 몰라도,
수년이 흘렀지만..크게 개선되었다는 느낌이 안들어 걱정입니다.
암튼~^^ 깔끔하게 처리 되셔서..다행입니다.^^
잘 처리 되셔서 다행입니다.
2001년식 경차를 탈때도 도색불량으로 몇몇 곳을 재도색 해서 탔는데,
재도색 작업 자체의 서비스 수준도 문제가 많더라구요.
도색에 관련된 시설투자비가 커서인지 몰라도,
수년이 흘렀지만..크게 개선되었다는 느낌이 안들어 걱정입니다.
암튼~^^ 깔끔하게 처리 되셔서..다행입니다.^^
2009.04.20 08:08:39 (*.244.123.196)

부식부위를 갈아내고 재도색한 것인가요? 그렇다면 오히려 철판이 얇아져서 나중에 또 부식이 되더군요. 그나마 요즘나오는 현대차들은 기본적으로 뒷휀더가 접혀져서 나오므로 위와같은 상황은 발생할 확률이 낮아 보입니다.
EF 시리즈가 그래도 휠하우스 부식이 잘 없는 편인데요
EF 시리즈가 그래도 휠하우스 부식이 잘 없는 편인데요
2009.04.20 10:16:07 (*.94.1.38)
사실 교환용으로 나오는 휀더 및 본넷 등의 보관상태 및 부식상태를 확인해보신분이 몇분 계실지 모르겠지만....
부식이 일어나서 녹이 슨 녀석들도 상당수 있답니다.... 특히 공업사에서 본넷과 휀더같은 종류의 보관장소가 빗물을 피할수 있는곳에 보관되는 녀석들도 일부 있겠지만, 그냥 내 팽계치다 시피 빗물을 다 뒤집어 쓰는 공장 지붕위에 차곡차곡 보관해놓는곳도 많지요... 영세 업체의경우는 더 심하구요..
그러다보니 녹이 발생되는 것도 많고.. 그것을 장착하고선 그냥 녹을 휙~ 날려버리고 도색을 해서 출고한답니다...
아반떼XD이후 인가요? 부터 내수용도 현대차가 아연도금강판을 사용한다, 수출형과 동일하다고 하지만, 저는 별로 신뢰를 할수가 없습니다... 만약 현대가 그렇게 했다면, 삼성차와 마찬가지로 내부식관련 홍보를 했겠지요.... 사실 삼성의 내부식성의 홍보도 년수로 봐선 골프 같은 차종에 비하면 애들 장난을 가지고 홍보를 하는것이지만, 그래도 타 메이커보단 자신이 있다라는 점에서 홍보를 하는게 아닌가 생각하거든요...
본가에 있는 XG..... 그 차주분 매일 하루도 안거르고 차를 닦으시는 분인데.. 휀더와 트렁크에 일부 녹 꽃이 피었더군요... 부글부글 오르는 증상.... 95년식인 제차엔 그런 증상이 하나도 없는데,...시간이 더 지나고 검증이 되어야겠지만, 현대에서 새로나오는 차들은 제발 아연도금강판을 확실히 사용해 줬으면 좋겠네요...
부식이 일어나서 녹이 슨 녀석들도 상당수 있답니다.... 특히 공업사에서 본넷과 휀더같은 종류의 보관장소가 빗물을 피할수 있는곳에 보관되는 녀석들도 일부 있겠지만, 그냥 내 팽계치다 시피 빗물을 다 뒤집어 쓰는 공장 지붕위에 차곡차곡 보관해놓는곳도 많지요... 영세 업체의경우는 더 심하구요..
그러다보니 녹이 발생되는 것도 많고.. 그것을 장착하고선 그냥 녹을 휙~ 날려버리고 도색을 해서 출고한답니다...
아반떼XD이후 인가요? 부터 내수용도 현대차가 아연도금강판을 사용한다, 수출형과 동일하다고 하지만, 저는 별로 신뢰를 할수가 없습니다... 만약 현대가 그렇게 했다면, 삼성차와 마찬가지로 내부식관련 홍보를 했겠지요.... 사실 삼성의 내부식성의 홍보도 년수로 봐선 골프 같은 차종에 비하면 애들 장난을 가지고 홍보를 하는것이지만, 그래도 타 메이커보단 자신이 있다라는 점에서 홍보를 하는게 아닌가 생각하거든요...
본가에 있는 XG..... 그 차주분 매일 하루도 안거르고 차를 닦으시는 분인데.. 휀더와 트렁크에 일부 녹 꽃이 피었더군요... 부글부글 오르는 증상.... 95년식인 제차엔 그런 증상이 하나도 없는데,...시간이 더 지나고 검증이 되어야겠지만, 현대에서 새로나오는 차들은 제발 아연도금강판을 확실히 사용해 줬으면 좋겠네요...
2009.04.20 11:03:48 (*.248.62.128)

저희 차 (동일 차종, 동일 부위) 하고 동일하게 녹이 슬었군요. 보증 기간이 지나면 안되는 줄 알고.. 저는 DIY로 처리를 해버렸습니다.






사실 차체 부식에 관한 하자 처리에는 제조업체나 정부도 관대한 편인데 이 글을 보고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