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동아블로그에 적었던 글을 옮겨왔습니다.
----------------------------------------------------------
우리나라는 고속화도로를 제외한 일반도로에서의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이 의무화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고속화도로에서 뒷좌석 안전벨트 미착용에 대한 실질적인 단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본적이 없다.
유럽은 이미 수십년전부터 도로전역에 걸쳐 모든 좌석 안전벨트 착용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으며, 몇년전 일본 역시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을 모든 도로에서 의무화시켰다.
뒷좌석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은 앞좌석에서 벨트를 착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안전행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뒷좌석 안전벨트에 대한 인식이 너무 낮은데에는 범국민적인 홍보가 부족했을 뿐 아니라 공영방송이 제역할을 하지 못한 책임도 크다하겠다.
그 어떤 드라마나 한국산 영화에서도 차량 실내씬에서 뒷좌석에서 연예인들의 안전벨트를 착용장면을 본 적이 없다.
청소년들이 우상으로 생각하는 연예인이나 유명 스포츠스타들의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모습이 공중파를 탈 경우 이는 그 어떤 홍보동영상보다 큰 위력을 발휘할 것이다.
뒷좌석 안전벨트는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 본인의 안전뿐 아니라 앞좌석에 탄 승객의 안전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추돌사고가 발생할 경우 뒷좌석 승객은 앞좌석 쪽으로 날라가는데 머리부터 앞쪽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앞좌석 승객의 머리와 헤딩을 할 가능성이 있고, 심하면 앞창문을 뚫고 날아가버리는 사고도 빈번히 발생한다.
이렇게 차에 타면 안전벨트를 매는 습관은 아주 어릴 때부터 가지는 것이 좋다.
아이를 키우면서 한번도 전용 베이비시트나 차일드 시트에 앉히지 않은체 운행을 해본 적이 없는 부모의 입장에서 큰 아이 유치원을 결정할 때 유치원버스에 안전벨트가 있는지 그리고 매일 탑승 선생님들이 아이들 벨트를 착용하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했을 정도로 내가 유럽에서 배운 안전교육은 생명만큼 소중한 것이었다.
블로그를 통해서 직간접적으로 여러차례 언급했지만 우리나라의 자동차 관련 안전교육은 후진국 수준이며, 1천만대가 넘는 차가 운행되는 나라에서 제대로 된 매뉴얼 조차 구비하지 못하고 있는 한심한 상황속에서 이를 인지하고 가장 빠르게 계몽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절실하다.
직업상 유럽친구들과의 접촉이 많아 독일에 갈 일이 많고 한국에서 독일친구들을 만날 기회 역시 마찬가지로 많은데, 항상 차에 태우면 무조건 뒷좌석도 안전벨트를 매는 것을 당연시 여기는 것을 그냥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렇게 안전교육이 정착되고 모든 국민이 이견없이 따르는 것은 분명 데이터에 근거한 충분한 경험과 안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행위가 무엇인지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최고의 스타 김연아 선수가 뒷좌석에서 안전벨트를 매고 있는 모습이 공중파를 탔으면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testkwon-

마지막의 "대한민국 최고의 스타 김연아 선수가 뒷좌석에서 안전벨트를 매고 있는 모습이 공중파를 탔으면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아주 인상적인 말입니다..^^
안전벨트=생명벨트 라는 고속도로상의 표어가 새삼스레 떠오르네요.^^
요즘차는 뒷좌석 벨트도 크게 불편하지 않던데... 가급적이면 꼭 매는 습관을 들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찾아보니 안전벨트 착용과 미착용시를 비교한 영상이 있네요.

저희 쌍둥이 경우에는 태어났을때 부터 계속 카시트 사용중입니다. 제 목표는 차를 타면 무조건 벨트를 메는것, 벨트를 안메는것을 아예 인식을 못하게 해주는것입니다. 마스터님 글을보니 어린이집이 벌써부터 살짝 걱정되네요. 콩시루에 콩나물처럼 실려 다니는 어린아이들을 많이 봐 온지라..

최근 우결을 한번씩 보고 있는데 소녀시대 서현의 경우 뒷좌석 안전벨트를 중요시 생각하더군요.
정용화가 안전벨트를 안하니까 바로 안전벨트 매라고 계몽하는 장면이네요ㅎㅎ
안전벨트 잘하니까 더 이뻐보이네요. 김연아는 아니지만 갑자기 생각나서 올려봅니다.^^

100% 동감합니다.
전, 뒷좌석에사람을 태울 때, 맨 먼저 하는 말이 '벨트매세요~' 입니다.
벨트 안 매시면, 출발안합니다라고 엄포아닌,엄포를 놓는데도,
뒤에 탔으니 앞보다 안전하니까 안 매도 된다고 착각(?) 하시는 분들이 꽤 많더군요 -_-;;

미국애들은 뒷좌석에 타도 꼭 안전벨트를 매더군요..
그래서 저도 아는 형님차 뒤에 탔을때 안전벨트를 매었더니..
"너 형이 운전하는게 무서워?" 이러시더군요 ㅎ;;;

저도 움직이는 차에 탈때 무엇이든 몸을 누르지 않고 있으면 허전해서...
특히 승용차 뒷좌석이나 (고속)버스에 앉아서 안전벨트 찾으면
대부분의 주변 사람들은 "혼자만 살려고 그래?" 라는 반응을 보이더라구요...
"전 온전한 팔다리 가지고 오래 살고 싶어요..." 라고 답하지만...

저또한 아이를 자동차로 이동시킬때부터 베이비시트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간혹 다른 가족 차량으로 아이를 이동시킬때, 아이가 무척이나 당황스러워 하고, 자신의 자리가 아님에 짜증내는 모습을 많이 보고 있습니다.
집사람또한 학원차량이나, 어린이집 차량으로 아이를 이동시키는 것에 벌써부터 걱정하고 있더군요.
정작 자신은 뒷자리에서 벨트를 매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으면서...
어른이 하는 걸 보고배우고 자라는 자녀를 볼때면, 부모라는 자리는 참 어렵다는걸 느끼곤 합니다.
앰뷸런스 등 응급차량이 싸이렌을 아무리 울려도...자동차든 보행자든 급하게 비켜주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아직 우리나라에는 안전에 대한 불감증이 너무 많습니다.... 작은 것에서부터 안전을 위해 지켜주는 것...결국 자기 자신을 보호하는 길인데요...안타깝습니다.

왜 뒷"좌"석에서 벨트를 매느냐는 사람들은 한번 앞"좌"석을 끌어안아 보게 되면 꼭 매는 습관을 가질 것 같습니다.
사람의 팔힘은 고작 30km/h에서의 급정거도 버티지를 못하지요.
(이 글에서는 magnet이 안 보여서 흐뭇한 마음으로 강조해 봤습니다.)

200 % 공감하는 좋은 말씀입니다
친구 커플이 모는 차의 뒷좌석에 앉게 되어 안전벨트를 매었는데
친구의 여자친구가 초면인데도 뒤돌아 저를 보고 '풉 -' 하고 비웃더군여
이넘의 대한민국 국민들은 언제쯤 불감증이 없어질런지 답답 합니다...
이러한 조치는 환영합니다. ^^
이효리는 정규 4집 타이틀곡 ‘치티치티 뱅뱅(Chitty Chitty Bang Bang)’의 뮤직비디오가 현행 도로 교통법상 위법 소지가 있다는 이유로 방송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문제가 된 부분은 이효리가 도로를 막은 채 춤을 추고 걷는 장면과 안전벨트를 매지 않고 트럭을 운전하는 장면 등이다.
관련기사 원문 : 한국일보
http://economy.hankooki.com/lpage/entv/201004/e2010042011482794220.htm
다른 예로, 지도교수님이 활용하시는 간단한 방법인데... 안전벨트를 매지 않으면 절대 출발 안하십니다.(아예 시동을 안 거십니다.^^;)
이러한 가르침(?)으로 저또한 안전벨트 착용하지 않으면 절대 출발 안 합니다. 이것땜에 6살짜리 조카랑 실랑이 많이 했었죠. ^^;

저도 동감합니다.
캐나다,미국 등지에서 생활하다가 오랜만에 한국에서 택시를 타서 뒷자리에서 안전벨트를 매니 기사 아저씨께서 별로 맘에 안들어 하시더군요.. "학생, 사고안나~" 라고 하시면서...
캐나다에 있을적에 한국에서 온지 얼마안되는 사람을 뒷자리에 태운적이 있었는데 안전벨트를 안매길래 "안전벨트 안매요?" 라고 하니 오히려 이상한 눈초리로 쳐다보길래 주차장 속도로 가다가 급브레이크 밟고 나서 "벨트 잠깐만 매보세요" 한다음 50키로 정도로 올려서 급브레이킹을 하면서 "이제 왜 안전벨트 매야 하는지 알겠죠?" 하니 그제서야 이해를 하더군요 ^^:

가끔 택시를 타고 보면 벨트를 하고 싶어도 할수 없도록 꽁꽁 숨겨놓은 택시들이 있더군요.
대충 어디에 있는지 알기에 억지로 꺼내려 해본적도 있지만 어쩔땐 그냥 포기하고 타고 가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재작년에 탔었던 일본 택시들 역시 벨트를 숨긴 차량이 적지 않더군요. 요즘은 또 바뀌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시동도 안전벨트 맨 후에 걸 때가 많은데, 주변사람들에게 안전벨트 착용권유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식구들에게 주입시키기도 좀 힘들긴 합니다. 구영모 님처럼 한 번 해 봤다가 욕만 엄청 들었습니다.

공감합니다.
저는 몇 년 전에 전공 분야와 관련한 건강 상식 홍보를 드라마 등에 삽입하는 방식을 건의한 바 있습니다만...
좋은 의견 또는 독특한 의견으로 끝내더군요. ㅎ
교통안전 공단에서 조금만 예산을 할애하면 가능할 일로 생각합니다.
의미있는 글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