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80
포니 농장이라고 아시는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네요
저는 며칠전에 아주 우연히 알게 되었습니다.
출퇴근시 서해안 비봉IC까지의 톨게이트 요금을 절약하기 위해 보통
군포IC에서 39번 국도로 진입해서 내려가는 코스를 선택하는데요
이 39번 국도는 월요일 출근길엔 거의 주차장을 방불케 합니다.
항상 다람쥐 쳇바퀴 도는 이 코스를 미친척하고 과감히 이탈해 본게 지난 주였는데요
어천 저수지 방면으로 산길을 넘어가는 샛길이 하나 있습니다.
그리로 넘어가다보면 산등성이 부근에 철조망울타리 사이로
그 옛날의 포니들이 3대 가량 옹기종기 모여있는 이상한 곳을 지나게 됩니다.
천막이 크게 2채 정도 있기 때문에 철조망 내부를 모두 관찰하기는 어렵습니다.
첫번째 봤을때엔 그냥 웬 포니가 있네... 하고 그냥 지나쳐갔지만..
두 번째 봤을땐 포니의 숫자가 달라지고 위치도 바뀌어 있더군요. 운행을 한다는
얘기죠.
그래서 서행하면서 철조망 입구를 들여다보니.. "포니 농장"...이렇게 팻말이
걸려있네요.
그제야 여기가 올드카 매니아 분이 있는 곳이구나 하고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눈앞에 보이는 천막들도 농작물용이 아닌 주차용 천막일 것이라고 짐작되고요.
야외에 빼 놓은 포니들 외에도 얼마나 더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바쁜 출근길에 우회할 때만 서둘러 지나치는 곳이라 포니가 정확히 몇대나 있는지
1세대부터 포니2까지 모델이 다 구비되어 있는지.. 사진조차 찍은게 없지만
하여간 최소 3대 이상의 포니들이 모여 사는 곳이란 점..
보통 국산차 오래되면 똥차기분 나고 폐차하게 되는데... 저도 20만 탄 애마
3대를 폐차했습니다만.,, 20년도 더 된 차를 최소 3대 이상 보관하는 분은
처음 봤습니다...ㅎㅎ
저는 며칠전에 아주 우연히 알게 되었습니다.
출퇴근시 서해안 비봉IC까지의 톨게이트 요금을 절약하기 위해 보통
군포IC에서 39번 국도로 진입해서 내려가는 코스를 선택하는데요
이 39번 국도는 월요일 출근길엔 거의 주차장을 방불케 합니다.
항상 다람쥐 쳇바퀴 도는 이 코스를 미친척하고 과감히 이탈해 본게 지난 주였는데요
어천 저수지 방면으로 산길을 넘어가는 샛길이 하나 있습니다.
그리로 넘어가다보면 산등성이 부근에 철조망울타리 사이로
그 옛날의 포니들이 3대 가량 옹기종기 모여있는 이상한 곳을 지나게 됩니다.
천막이 크게 2채 정도 있기 때문에 철조망 내부를 모두 관찰하기는 어렵습니다.
첫번째 봤을때엔 그냥 웬 포니가 있네... 하고 그냥 지나쳐갔지만..
두 번째 봤을땐 포니의 숫자가 달라지고 위치도 바뀌어 있더군요. 운행을 한다는
얘기죠.
그래서 서행하면서 철조망 입구를 들여다보니.. "포니 농장"...이렇게 팻말이
걸려있네요.
그제야 여기가 올드카 매니아 분이 있는 곳이구나 하고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눈앞에 보이는 천막들도 농작물용이 아닌 주차용 천막일 것이라고 짐작되고요.
야외에 빼 놓은 포니들 외에도 얼마나 더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바쁜 출근길에 우회할 때만 서둘러 지나치는 곳이라 포니가 정확히 몇대나 있는지
1세대부터 포니2까지 모델이 다 구비되어 있는지.. 사진조차 찍은게 없지만
하여간 최소 3대 이상의 포니들이 모여 사는 곳이란 점..
보통 국산차 오래되면 똥차기분 나고 폐차하게 되는데... 저도 20만 탄 애마
3대를 폐차했습니다만.,, 20년도 더 된 차를 최소 3대 이상 보관하는 분은
처음 봤습니다...ㅎㅎ
2006.06.15 11:43:18 (*.219.0.68)

가장 최근까지 포니2로 재미있게 지냈던 저로서는 반가운 이야기네요.
포니2 4단 트랜스미션에서 후진기어 어떻게 넣는지 기억하시는 분?
과연 몇 분이나 아실런지.. ㅎㅎㅎ
포니2 4단 트랜스미션에서 후진기어 어떻게 넣는지 기억하시는 분?
과연 몇 분이나 아실런지.. ㅎㅎㅎ
2006.06.15 12:06:25 (*.38.26.204)
시프트 레버를 아래로 꽉 누르면서 후진 기어를 넣어줘야하지요. ㅎㅎ
포니의 시프트레버는 케이블이나 로드타입이 아닌 미션과 직결식이라 시프팅 감각이 남달랐던 기억이 납니다...
포니의 시프트레버는 케이블이나 로드타입이 아닌 미션과 직결식이라 시프팅 감각이 남달랐던 기억이 납니다...
2006.06.15 12:35:03 (*.221.97.232)

초등학교 1학년때 아버지가 중고로 구입해오신 포니2 숙제하다말고 헐레벌떡 뛰어나가 연필쥐고 앞자리에서 시승하다가 잠들었던 기억이 생생하네요~~
2006.06.15 12:43:03 (*.149.149.79)

저두 제 나이랑 비슷한 77년식 포니1을 몰아본 감흥이 아직도 남아 있습니다.
엔진음이 정말 카랑카랑 했었는데....
제가 막 들떠서 이야기 햇더니 아버님이 '그거 내가 만든차다' 그러시더군요...^^
엔진음이 정말 카랑카랑 했었는데....
제가 막 들떠서 이야기 햇더니 아버님이 '그거 내가 만든차다' 그러시더군요...^^
2006.06.15 12:58:52 (*.145.76.171)

88년 어느날 매니아인 친구하나가, 빨간 프라이드로 팔당길을 달리고 있었는데.. 어디선가 무시무시한 배기음과 함께 스티커가 다닥다닥 붙은 포니2한대가 추월해 가더랍니다. 당시 처음생긴 중부고속도로에서 제 르망과 180을 넘나들던 배틀을 벌이던 친구라, 당연하게 포니2의 엉덩이에 붙었고, 기회를 잡고 추월해 갔더랍니다.
다음순간 노폭은 편도일차선으로 줄어들고, 포니2가 추월할 수 없는 상황.. 갑자기, 만화처럼 경사진 비포장노면으로 치고나가는 포니2.. 120이 넘는 속도에서 흙먼지를 일으키며 프라이드를 추월해 가더랍니다. 비포장에서 120 키로 이상의 속도는 컨트롤하기 매우어렵죠. 따라가서.. 차한잔을 마셨다는데..
그 포니2의 주인공은, 당시 최연장 레이서였던 스피드라인의 조기택 단장으로.. 훗날 Cho's 팀으로 새로 결성하셔서, 제가 기본적인 레이싱테크닉을 배우게된 첫번째 스승이 되었답니다. ^^
다음순간 노폭은 편도일차선으로 줄어들고, 포니2가 추월할 수 없는 상황.. 갑자기, 만화처럼 경사진 비포장노면으로 치고나가는 포니2.. 120이 넘는 속도에서 흙먼지를 일으키며 프라이드를 추월해 가더랍니다. 비포장에서 120 키로 이상의 속도는 컨트롤하기 매우어렵죠. 따라가서.. 차한잔을 마셨다는데..
그 포니2의 주인공은, 당시 최연장 레이서였던 스피드라인의 조기택 단장으로.. 훗날 Cho's 팀으로 새로 결성하셔서, 제가 기본적인 레이싱테크닉을 배우게된 첫번째 스승이 되었답니다. ^^
2006.06.15 14:15:02 (*.72.5.10)

포니2 체인지레버에 push라고 써있던 기억이 나는군요. 그리고 수동식인 라디오 안테나 도난방지를 위해서 키홀더에 안테나 머리모양의 형상에 맞는 뭉치가 있어서 그걸 끼워서 쭉 뽑아 올렸던 것도... ^.^
2006.06.15 14:24:33 (*.165.137.144)

지난 2월경에 새벽 서해안고속도로에서 포니1을 만났었습니다. 제가 당시에 추월하면서 사진을 찍었는데 (나는야 찍고 싶으면 바로 뽑아 찍는 카시오디카 익슬림 매니아) 기억으로는 약 13~40 가량의 속력을 내고 계시길래 무척 감탄했었습니다. 지난 5월에는 분당 23번국도 PDR 앞쪽에서 포니 포터를 보고 낼로롬 사진을 찍어뒀는데, 저장해둔 파일을 못찾겠네요 ^^; 어릴때 이모부께서 모시던 포니2가 5도어였던 기억인데 "나라에서 현대에 상줘야한다."며 흡족해 하시던 차량이었던 기억이 납니다 ^^;
2006.06.15 15:34:10 (*.117.180.62)

어릴적 기억으로 포니2가 165정도로 더이상 속도계가 올라가지 않았던게 기억이 나는군요. 그후 프레스토를 거쳐 콩코드로 180이상을 넘을때 아버지와 함께 감탄했던 추억이 생각나네요.
2006.06.15 18:10:42 (*.234.108.6)

많은 분들이 아시네요. ㅎㅎ 눌러서 당겨 내리는.. 항상 발렛 맡길 때, "운전할 수 있어요"라고 물어보면 대부분 '당근이죠~~' 그러다가 전진으로만 가서 차 세우는 거 보고 여러번 웃었던 기억이 있슴다. ㅋㅋㅋㅋ 나중에 rpm 게이지를 달고 안 일이었지만, SOHC 치고는 꽤 높은 6천500까지 돌아갔었습니다. 4단 넣고 그 회전수 돌리면 180에 가깝게 가지요. 보어업 피스톤을 끼우고, 길들이기 끝난 후에 휠스핀 일으키며 날아다니던 기억이 새삼스럽습니다. 스테빌라이저가 앞에만 달려서 그거 부싱 우레탄과 MC로 깎아 넣은 후에 핸들링 달라졌던 일이나, 롤케이지 집어 넣고 실내 잡소리 사라진 일은 정말 전설 같은 경험이군요. ㅎㅎ
2006.06.16 00:17:28 (*.120.215.183)

레버를 꾹 누르고 왼쪽 아래로 당겨 넣으면 후진이죠.. ㅋㅋ 아버지 차가 84년식 포니2였던가.. 할겁니다.. 그 다음 애마가 87년식 스텔라였는데 그 차 또한 4단 미션이라 후진 위치가 똑같았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