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폭우속을 달린 후 흠뻑 젓은 모습 몇장 찍었습니다.



저희 식구들은 어제 무사히 서울에 입성하였습니다.
오늘 오전에 볼 일을 보고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는데도 불구하고 M5를 너무 오래 방치해두었다는 생각에 지금처럼 곳곳의 도로가 통제되는 상황도 제 욕구를 막지는 못했습니다.
자주가는 코스인 청담동-->중부 만남의 광장 코스를 선택했습니다.
배수가 엉망인 88도로의 1차선은 곳곳에 물이 고여있어서 아주 위험했고, 후륜 구동 M5는 여러차례 흔들거렸지만 워낙 익숙하기 때문에 90km/h의 속도를 계속 유지한체 달렸습니다.
천호대교 남단을 지나 조정경기장으로 넘어가는 언덕정상을 내려가는데, 제 앞에 EF소나타 택시가 한대 있었습니다.
그때 당시 저는 이렇게 비가 쏟아붛는데도 라이트를 켜고 달리는 차가 절반 밖에 되지 않은 한심한 현실이 아쉬웠고, 앞에 택시도 라이트를 켜지 않고 달리는 모습에서 운전경력과 경험이 많은 운전자라도 스스로 필요성을 깨닫고 행동으로 옮기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쉽지 않음을 새삼 느끼고 있던 찰라였습니다.
1차선을 달리던 택시가 워낙 물살을 가르면서 달리는 모습을 뒤에서 보는데, 속으로 앞차가 갈라놓은 물길을 조금 좋은 조건에서 달릴 수 있네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갑자기 앞의 택시가 좌우로 비틀거리는데, 연속으로 카운터를 친다고 치는데, 일반인들이 심한 tail fish가 발생했을 때 반사적으로 스티어링휠을 반대로 꺽는 동작은 실제로 상황을 전혀 호전시키지 못할만큼 타이밍이 늦다는 것을 잘알기에 휘청거리는 모습을 확인한 순간 거리를 약간 두고 여차하면 2,3차선으로 빠져나갈 생각이었습니다.
결국 균형을 완전히 잃은 택시는 반바퀴를 돌면서 정면을 먼저 중앙분리대에 부딪치고 다시 방향을 바꾸는 찰라에 전 2차선으로 재빨리 비켜나가면서도 차가 순간적으로 튕겨서 2,3차선으로 돌진할 것을 대비했으나 다행히 차는 90도 방향으로 1차선에 멈춰섰습니다.
예전에도 중미산에서 앞차가 미끄러져 벽에 부딪치는 상황에서 차가 추돌이후 튕기는 모습을 직접 경험한 적이 있기 때문에 추돌한 차가 완전히 정차하기 전에는 어디로 튈지 예측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제가 앞차의 사고를 유추해보건데, 아마 좌측 타이어가 고인 물웅덩이를 지나면서 좌측으로 쏠리는 차를 바로 잡기 위해 우측으로 스티어링을 너무 거칠게 틀면서 자세를 잃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일반인들은 수막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진로를 빨리 수정하기 위해 너무 급한 스티어링 조작을 하는 경우가 많고, 차가 물위에 완전히 떠있다고 판단될 때 어느정도 차를 흘러가도록 놔두는 대범함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황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놀란 가슴을 쓸어내리며, 만남의 광장을 찍고 다시 집으로 복귀했습니다.
어제까지는 전륜구동을 오전에는 비슷한 고속화도로에서 A6 콰트로를 그리고 마지막으로 후륜구동을 몰면서 확실히 빗길에서 후륜구동은 위험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콰트로를 타다가 후륜으로 갈아타니 이건 완전 4발짐승과 사람이 깽깽이로 가는 것의 차이만큼 큰 차이가 있었고, 후륜과 전륜도 전륜쪽이 훨씬 안전했습니다.
오늘같은날 멀리 움직이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겠지만 혹시라도 간선도로를 타시게 된다면 1차선과 가장 끝차선인 4차선쪽은 절대로 타지 마시기 바랍니다.
한쪽 바퀴만 물웅덩이에 접지해 균형을 잃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내일저녁까지 비가 온다고하니 안전운전에 만전을 기하시기 바랍니다.
-testkwon-
2006.07.16 12:16:09 (*.187.193.33)

동감입니다, 라이트 정말 안켭니다, 이렇게 날씨가 좋지 않은 상황속에서도...아에 전 차량에 오토라이트를 장착했으면 하는 바램도..
2006.07.16 14:16:32 (*.145.76.171)

전 흐리기만해도 항상 차폭등,안개등을 켜는데.. 가끔 비슷한 차들을 꽤 봅니다. 시내버스들도 사고율 실험후, 확연하게 라이트를 켜는게 사교율이 적어 요샌 평상시에도 많이들 켜더군요. 다른차뿐 아니라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데..
말씀대로 주행중 스핀시에는 과잉대처가 되지않도록 침착성을 유지하는게 중요합니다. 좋지않은 조건에서 달릴때는 주변에서 일어날수있는 모든 상황을 마치, 터미네이터가 모니터링하며 달리듯, 미리 상상하며 주행하면..만일의 상황에 대처하기 수월하지요..
말씀대로 주행중 스핀시에는 과잉대처가 되지않도록 침착성을 유지하는게 중요합니다. 좋지않은 조건에서 달릴때는 주변에서 일어날수있는 모든 상황을 마치, 터미네이터가 모니터링하며 달리듯, 미리 상상하며 주행하면..만일의 상황에 대처하기 수월하지요..
2006.07.16 14:55:20 (*.76.7.194)

비가오는 상황에서 슬립이 되면 타이어가 물위에 뜬 상태이기 때문에 카운터를 한다고해도 접지력을 되찾기가 훨씬 힘들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런의미에서 비올때는 과속을 하면 안되고 후륜차는 더 조심해야겠죠..
아무튼 영주님 사고나지 않고 무사히 돌아오셔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의미에서 비올때는 과속을 하면 안되고 후륜차는 더 조심해야겠죠..
아무튼 영주님 사고나지 않고 무사히 돌아오셔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2006.07.16 15:39:40 (*.210.217.64)

잘봤습니다. 말씀해주신대로 1,4차로는 물이 많아 다니기에 부담이 크더군요;
테드회원님들 사고없이 무사히 연휴 잘 보내셨음 좋겠습니다;;
테드회원님들 사고없이 무사히 연휴 잘 보내셨음 좋겠습니다;;
2006.07.16 17:38:59 (*.116.110.35)

동감입니다.. 저도 오늘 일이있어 중부타고 남행하는데 산타페 한대가 구겨져서 앞뒤 휠 다 접히고 한바퀴 돌아 있더군요... 비오는날 사고.. 정말 한순간입니다.
2006.07.16 19:52:12 (*.131.106.61)
저도 어제 밤 11시쯤 올림픽대로 타고 집에 오는데 배수가 잘 안 되어 있더군요. 특히 1차로는요. 거의 보트처럼 물살을 헤치면서 가야 하는 구간도 더러 있구요..
너두 나두 비상등 켜고 가는 상황인데..
제 개인적인 생각은 오히려 그런 상황에서는 비상등이 별로 의미가 없다는 생각입니다.
비상상황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상황이기도 하고..
그런 상황에서 차선을 바꾸게 되면, 방향지시등이 켜지지 않으니 더 위험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너두 나두 비상등 켜고 가는 상황인데..
제 개인적인 생각은 오히려 그런 상황에서는 비상등이 별로 의미가 없다는 생각입니다.
비상상황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상황이기도 하고..
그런 상황에서 차선을 바꾸게 되면, 방향지시등이 켜지지 않으니 더 위험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2006.07.16 22:20:16 (*.140.26.111)
저도 오늘 자유로-내부순환을 시속 80~90정도로 왕복했는데..내부순환 홍제램프 부근에서 1차로로 달리다 물이 고여있는 곳을 왼쪽바퀴로 지나가다가 가슴이 섬뜩하였습니다..차가 휘청~하며 물위로 뜨는 느낌이 나더군요..그뒤로는 속도가 좀 떨어지더라도 2차로로 의식적으로 달리게 되더군요..
평소에는 비가 좀 오더라도 미등정도 켜고 마는 정도였는데 오늘은...주변 차량..특히 뒷차량이 거의 보이지 않는 날씨였던터라 전조등 켜고 달리는 필요성을 절감한 날이었습니다..
두가지 배운 날이었네요...몸으로..
평소에는 비가 좀 오더라도 미등정도 켜고 마는 정도였는데 오늘은...주변 차량..특히 뒷차량이 거의 보이지 않는 날씨였던터라 전조등 켜고 달리는 필요성을 절감한 날이었습니다..
두가지 배운 날이었네요...몸으로..
2006.07.16 22:24:00 (*.187.221.110)

보통 일반적인 택시들은 거의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타이어를 극한 상태까지 쓰시더군요. 경제를 생각하는 면은 좋긴? 하지만 철심이 나올 정도로 타이어를 사용하는 택시들을 보면 참 소름이 끼치더군요. 당연히 마모 한계 이상을 쓰는 차들도 있다보니 빗길 같은 곳에서 일반 차들보다 조향력을 잃을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게다가 주행거리에 비해 휠 얼라인먼트를 그 때 그 때 자주 보지 않는 분들이 많아 사고 위험을 더 높이는 경향도 없지 않아 있는 듯 하네요. 모든 택시들이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차량의 정비를 소홀히 하는 것 역시 타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일종의 범죄?? 로 간주할 수도
2006.07.16 22:24:55 (*.187.221.110)

있지 않을까 해서 남겨봤습니다. 요즘 같은 날씨 무조건 조심 운전하는 것 이외에는 방책이 없습니다. 그리고 타이어 교환 시기가 다 되어가는 분들은 이 참에 생명을 다루는 중요 부분이니만큼 투자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
2006.07.17 00:43:52 (*.16.25.103)

뉴욕의 경우에는 와이퍼 작동시에 전조등 점등이 의무화 되어 있죠. 비오는 날 전조등 안켜고 안전벨트 안하고 운전하다가 꽁초 바깥으로 던졌다가 총 $381의 딱지를 먹었던 친구가 있었습니다.
2006.07.17 10:39:01 (*.143.253.208)

'차가 물위에 완전히 떠있다고 판단될 때 어느정도 차를 흘러가도록 놔두는 대범함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황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마전에 경부고속도로에서 비슷한 상황이 있었기 때문에 매우 공감이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