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얼마전에 회사차 Touareg 3.0 TDI를 몰 때의 일입니다.
차를 주차장에서 빼는 순간부터 뭔가 이상했는데, 자세히 보니 조수석 사이드 미러에 평거울이 박혀있는 겁니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미러는 약간 볼록이기 때문에 사물이 보이는 것보다 실제가 더 가깝게 있을 수 있다는 문구가 적혀있곤 합니다.
좀 더 넓게 비춰야 아무래도 사각지대도 적어지고, 아무튼 평거울을 장착한 차량은 예전에 페라리 F355를 탔을 때뿐이었습니다.
관리팀에 전화로 물어보니 사이드 미러가 깨져서 주문을 넣었는데, 부품이 없어 그냥 잘못 들어온 부품을 장착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한 일주일 전혀 도움이 안되는 사이드 미러가 장착된 차를 몰 생각을 하니 앞이 캄캄했습니다.
당장 그차를 몰고 대전을 가야하는데, 왠만한 어른 머리만큼 큰 사이드 미러에서 보이는 것이라곤 한심하기 짝이 없을 정도로 제한적이었습니다.
사이드 미러를 통해 제차의 우측을 보면 약 6,7m 옆에 있는 사물이 아무것도 안보이기 때문에 사이드 미러 믿고 차선 변경하면 무조건 추돌인 그런 상황이었습니다.
십수년전에 미국에 있을 때 타던 82년형 볼보도 조수석 사이드 미러가 없었는데 그때 당시에는 우측은 shoulder check이라는 개념으로 직접 눈으로 보고 확인하라는 의도의 차량 제작이 통할 때 였으니까 이해가 된다지만 이건 완전히 눈을 가리고 운전하는 기분이더군요.
차를 주차시킬 때 역시 마찬가지로 사이드미러가 없는 차나 다름없었습니다.
이때 깨달은 것은 우리가 은연중에 사이드미러에 상당히 의존을 많이하고, 깨지지 않는 이상 사이드 미러의 이상으로 불편함을 느낄 상황은 거의 없다보니 그 중요성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일단 사이드 미러를 통해 내가 차선안에서 우측으로 혹은 좌측으로 얼마나 쏠려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고, 주차할 때는 사물과 차와의 거리를 그리고 항상 원을 그리는 바퀴의 궤적을 고려해 주차시 사물에 붙이고 떨어지는 정도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차선을 바꿀 때 뿐만 아니라 사이드 미러는 또다른 눈이기 때문에 차체가 보일락 말락할 정도의 정확한 각도를 유지해야 운전자가 최대한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습니다.
운전할 때는 차선이 보이는 각도가 유지되어야함도 물론입니다.
이렇게 한쪽눈을 감고 운전하는 기분으로 운전하던 투아렉도 자꾸 타니까 요령이 생겨 일주일을 타면서 위험했던 순간은 없었지만 운전이 상당히 위축되고 소극적인 운전을 하게되는 것은 피할 수 없었습니다.
일단 머리속으로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그렇게 느끼는 것이지요.
사이드 미러의 중요성은 빗길에서 더욱 더 강조되어야 합니다.
빗물이 묻은 사이드미러는 시야를 상당히 방해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Rain OK같은 제품을 발라두어 발수코팅을 해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앞좌석 옆창문도 마찬가지로 발수 코팅을 해두면 빗물이 작게 맺히기 때문에 사이드 미러를 보는 시야가 상당히 좋아집니다.
비가 많이 오는 시즌인만큼 사고의 위험도 높습니다.
아주 작은 것부터 신경을 써서 준비하면 속수무책인 상황을 맞이할 확률이 낮아지고, 당연히 사고율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작은 것부터 실천하고 가장 좋은 방법으로 무장하시는 지혜를 발휘하시기 바랍니다.
-testkwon-
차를 주차장에서 빼는 순간부터 뭔가 이상했는데, 자세히 보니 조수석 사이드 미러에 평거울이 박혀있는 겁니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미러는 약간 볼록이기 때문에 사물이 보이는 것보다 실제가 더 가깝게 있을 수 있다는 문구가 적혀있곤 합니다.
좀 더 넓게 비춰야 아무래도 사각지대도 적어지고, 아무튼 평거울을 장착한 차량은 예전에 페라리 F355를 탔을 때뿐이었습니다.
관리팀에 전화로 물어보니 사이드 미러가 깨져서 주문을 넣었는데, 부품이 없어 그냥 잘못 들어온 부품을 장착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한 일주일 전혀 도움이 안되는 사이드 미러가 장착된 차를 몰 생각을 하니 앞이 캄캄했습니다.
당장 그차를 몰고 대전을 가야하는데, 왠만한 어른 머리만큼 큰 사이드 미러에서 보이는 것이라곤 한심하기 짝이 없을 정도로 제한적이었습니다.
사이드 미러를 통해 제차의 우측을 보면 약 6,7m 옆에 있는 사물이 아무것도 안보이기 때문에 사이드 미러 믿고 차선 변경하면 무조건 추돌인 그런 상황이었습니다.
십수년전에 미국에 있을 때 타던 82년형 볼보도 조수석 사이드 미러가 없었는데 그때 당시에는 우측은 shoulder check이라는 개념으로 직접 눈으로 보고 확인하라는 의도의 차량 제작이 통할 때 였으니까 이해가 된다지만 이건 완전히 눈을 가리고 운전하는 기분이더군요.
차를 주차시킬 때 역시 마찬가지로 사이드미러가 없는 차나 다름없었습니다.
이때 깨달은 것은 우리가 은연중에 사이드미러에 상당히 의존을 많이하고, 깨지지 않는 이상 사이드 미러의 이상으로 불편함을 느낄 상황은 거의 없다보니 그 중요성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일단 사이드 미러를 통해 내가 차선안에서 우측으로 혹은 좌측으로 얼마나 쏠려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고, 주차할 때는 사물과 차와의 거리를 그리고 항상 원을 그리는 바퀴의 궤적을 고려해 주차시 사물에 붙이고 떨어지는 정도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차선을 바꿀 때 뿐만 아니라 사이드 미러는 또다른 눈이기 때문에 차체가 보일락 말락할 정도의 정확한 각도를 유지해야 운전자가 최대한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습니다.
운전할 때는 차선이 보이는 각도가 유지되어야함도 물론입니다.
이렇게 한쪽눈을 감고 운전하는 기분으로 운전하던 투아렉도 자꾸 타니까 요령이 생겨 일주일을 타면서 위험했던 순간은 없었지만 운전이 상당히 위축되고 소극적인 운전을 하게되는 것은 피할 수 없었습니다.
일단 머리속으로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그렇게 느끼는 것이지요.
사이드 미러의 중요성은 빗길에서 더욱 더 강조되어야 합니다.
빗물이 묻은 사이드미러는 시야를 상당히 방해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Rain OK같은 제품을 발라두어 발수코팅을 해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앞좌석 옆창문도 마찬가지로 발수 코팅을 해두면 빗물이 작게 맺히기 때문에 사이드 미러를 보는 시야가 상당히 좋아집니다.
비가 많이 오는 시즌인만큼 사고의 위험도 높습니다.
아주 작은 것부터 신경을 써서 준비하면 속수무책인 상황을 맞이할 확률이 낮아지고, 당연히 사고율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작은 것부터 실천하고 가장 좋은 방법으로 무장하시는 지혜를 발휘하시기 바랍니다.
-testkwon-
2006.07.26 19:19:15 (*.77.163.29)
생각해보니 주차할때도 사이드미러의 도움을 많이 받는 것 같네요. 특히 후진으로 주차할 때 오른쪽 시야에 도움을 주는 것 같습니다...^^
2006.07.26 19:56:53 (*.149.144.138)

가끔씩 주차시에 접어논 상태로 도로에 나와서 아무렇지 않은듯 차선도
변경하며 다니시는 분들을 볼때마다 엄청난 내공을 느끼게 해주십니다.
솔직히 그런분들 너무나 무섭습니다. 평상시에도 안보고 다니시다니ㅡ.ㅡ
아님 항상 shoulder check을 하시는 아메리칸 스탈 였는지도......^^
전 가끔 걸어가다가 뒤를 봐야 하는 상황에서 눈만 옆으로 힐끗하고
'왜 안보일까?' 하고 뒤늦게 고개를 돌리는 경우가 있어서 참 난감합니다ㅋ
변경하며 다니시는 분들을 볼때마다 엄청난 내공을 느끼게 해주십니다.
솔직히 그런분들 너무나 무섭습니다. 평상시에도 안보고 다니시다니ㅡ.ㅡ
아님 항상 shoulder check을 하시는 아메리칸 스탈 였는지도......^^
전 가끔 걸어가다가 뒤를 봐야 하는 상황에서 눈만 옆으로 힐끗하고
'왜 안보일까?' 하고 뒤늦게 고개를 돌리는 경우가 있어서 참 난감합니다ㅋ
2006.07.26 20:43:45 (*.121.243.137)

우연의 일치일까요? 나도 그저께 장거리 휴가를 떠나기 전에 웬지 사이드미러 사각지대가 요즘 이상하게 찜찜하여(89년 면허이래 첨으로) 마트에서 사이드미러에 붙이는 접착식 볼록 거울을 1300원 주고 구입해서 어제 장착했네요. 그런거 붙이는 사람들 사실 좀 우습게 생각했는데 요즘 내가 그 필요성이 많이 느껴지는게 아이러니 합니다. 아직 적응이 안되어 사이드미러 보면서 구석에 붙여진 볼록거울을 한참 쳐다보는 부작용(?)이 좀 있습니다.
2006.07.26 21:24:07 (*.133.49.48)
얼마전 사이드미러에 성애와 동시에 비때문에 물이묻어 아무것도 보이지 않더군요..새벽이었는데 참 난감했습니다. 새삼 사이드미러의 중요성을 깨닫고 레인오케이 바르고 다니다가 주말에 열선미러 DIY 했습니다. 오늘 써보니 너무너무 좋더군요ㅋㅋ
2006.07.27 00:01:44 (*.74.165.168)

사이드미러가 전부 다 약간의 볼록거울이었군요...... 제차는 안그래서 몰랐습니다 ㅜㅜ; 왠지 사이드미러 사각지대에 있는 차들은 소리로 알아채는게 편하다 했는데 그래서였군요 ㅋㅋ
2006.07.27 01:35:08 (*.55.46.44)

공감가는 글입니다. 저도 20년 된 까레라를 운전하면서 조수석은 고사하고 운전석쪽 미러도 완전(!) 평면이라 그 사각지대가 요즘차와는 비교도 안될정도로 많아 적응하는데.. 결국 포기했습니다. 눈을 돌려 확인을 하지 않고서는 차선 변경을 할 자신이 없어지더군여. 불편하기는 하지만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차선을 바꾸는 습관은, 비록 볼록 거울로 시야가 많이 좋아 졌다고 하나, 사각지대가 존재함으로 안전을 위해 좋다 봅니다. ^^
2006.07.27 08:06:08 (*.149.144.138)

찬기님 열선미러도 다이 가능해요?? 순정부품이 나온다면
어셈블리 교환인가요? 여튼 얼렁 만나서 스카이 함 달려요~~~ㅋㅋ
어셈블리 교환인가요? 여튼 얼렁 만나서 스카이 함 달려요~~~ㅋㅋ
2006.07.27 09:54:30 (*.12.180.129)

일반적으로는(아마도 단가의 문제 때문에) 운전석은 평면(눈에서 가까우므로), 조수석은 곡면처리가 되어 있고, 운전석도 볼록거울이 장착되는 경우는 그 수가 많지 않은 듯 싶습니다. 운전석 쪽의 볼록거울에 의존해서 운전해오다가, 평면인 차를 운전할 일이 있었는데 익숙치 않아 실수할뻔한 적이 있어서 꽤나 공감가는 글입니다. 게다가 조수석쪽은 숄더첵 하기도 쉬운데 운전석쪽은 B필러가 떡하니 가리고 있어서 만만하지 않죠.
2006.07.27 11:50:40 (*.165.137.217)

2003년 여름 뉴이엡과 옵티마에서 사이드미러가 예전것들과 약간 틀려졌었던 기억이 납니다. 운전석측도 말단 30%가량 부분이 살짝 바깥쪽으로 말려휘어서 사각을 커버하는 것으로 바뀌었었죠. 따라서 귀끝쪽 3분의1에 대한 피사체 위치 감각이 아주 약간 틀렸었는데, 지금 제차가 미러가 그렇습니다. 저는 이 피쳐를 많이 좋아합니다.
서로간에 차량업무가 많기 때문에 다른 동료가 제차를 모는 경우도 많은데, 이런 사이드밀러를 무지하게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역시 백인백색이라는 생각을 가끔씩 합니다.
이러한 사이드 미러가 2003년 여름에만 그랬는지 그후로도 계속 그랬는지, 혹은 한정판( ^^?)인지 갑작 궁금해지는군요...
서로간에 차량업무가 많기 때문에 다른 동료가 제차를 모는 경우도 많은데, 이런 사이드밀러를 무지하게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역시 백인백색이라는 생각을 가끔씩 합니다.
이러한 사이드 미러가 2003년 여름에만 그랬는지 그후로도 계속 그랬는지, 혹은 한정판( ^^?)인지 갑작 궁금해지는군요...
2006.07.27 13:13:06 (*.56.123.55)

보통 조수석은 볼록거울, 운전석은 평거울이 많은데 요즘들어서는 운전석도 볼록거울이 추세인 듯 합니다. 운전석의 경우 거리가 가까워서 평거울로도 충분히 커버가 되는데 볼록거울은 거리감이 떨어지죠.
XG의 경우는 특이하게 운전석 사이드미러가 2.0은 평거울, 2.5 이상은 볼록거울이더군요. 그래서 2.5 탈때 일부러 2.0용 평거울을 사서 교체하고 다녔습니다. 운전석의 경우 전체를 볼록거울로 하기 보다 바깥 부분 30% 정도만 볼록거울로 해서 사이드미러를 차체가 많이 보이게 하는 일반운전자들의 사각지대를 커버해주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XG의 경우는 특이하게 운전석 사이드미러가 2.0은 평거울, 2.5 이상은 볼록거울이더군요. 그래서 2.5 탈때 일부러 2.0용 평거울을 사서 교체하고 다녔습니다. 운전석의 경우 전체를 볼록거울로 하기 보다 바깥 부분 30% 정도만 볼록거울로 해서 사이드미러를 차체가 많이 보이게 하는 일반운전자들의 사각지대를 커버해주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2006.07.27 13:47:54 (*.106.65.125)

일반 양산차에 장착되어 나오는 운전석쪽 사이드 미러가 평거울이라고 생각되는 미러도 실제로는 약간 볼록입니다.
진짜 평거울을 한번 보시면 정말 황당할 정도로 시야가 좁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배지운님 말씀대로 요즘은 운전석에 볼록이 추세입니다.
도심에선 사각지대를 최대한 줄여놓은 미러가 훨씬 안전하며, 요즘 대부분의 차량이 사각지대가 없는 운전석 미러 적용되어 가고 있습니다.
진짜 평거울을 한번 보시면 정말 황당할 정도로 시야가 좁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배지운님 말씀대로 요즘은 운전석에 볼록이 추세입니다.
도심에선 사각지대를 최대한 줄여놓은 미러가 훨씬 안전하며, 요즘 대부분의 차량이 사각지대가 없는 운전석 미러 적용되어 가고 있습니다.
겨울에도 눈온 후에 차타고 출발해서 보면, 사이드미러 틀에 눈이쌓여, 털어내려고 윈도 내리면, 눈쏟아져 들어오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