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차를 많이 타보면 타볼수록 두가지 현상이 저의 심리를 자극시킵니다.
경험이 쌓이면 쌓일수록 내적 주관이 더욱 더 단단해지고, 진정으로 소유하고 싶은 차에 대한 의지가 강해지는 반면, 이것도 사고 싶고 저것도 사고 싶고하는 전자의 현상과 전혀 상반되는 심리도 함께 작동합니다.
두 상반된 심리중에서 첫번째 의지가 아직까지는 훨씬 강하기 때문에 한번 구입한 차를 자주 바꾸지 않고, 아무리 빠르고 좋은 차를 사도 맘이 흔들리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지만 두번째 심리가 순간적인 충동으로 맘을 흔들때가 많은 것도 인정하고 싶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차는 제 성격과도 관계가 깊습니다.
느릿느릿 행동하는 것을 가장 싫어하고, 결정을 미루는 것 역시 제가 싫어하는 행동입니다.
시간을 아끼기 위해 별의별 아이디어를 다 동원하는 저는 샤워를 위해 보일러를 켜고 5분을 기다리는 순간에도 그 5분이 알차야하고, 컴퓨터를 켜고 부팅이 되는 순간에도 절대 컴퓨터를 멍하니 쳐다보는 일이 없습니다.
이렇게 급하고 보기보다 엄청나게 다혈질이기 때문에 차가 저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운전은 패턴이 중요하고,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위기대처능력으로 무장한 운전자는 그렇지 않은 운전자보다 빨리 달리는 것에 비해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달릴 수 있습니다.
차량의 상태가 완벽하다는 조건하에서 고속주행은 여전히 많은 책임이 따라야하지만 필요에 의해서 고속으로 주행을 해야하는 때가 전 상당히 많습니다.
길이 뚫려 있고, 차가 없는 길을 연비테스트하는 과정을 제외하고 천천히 달리는 것은 기름을 아낄 수 있어도 시간이 아까워서 밟게 되는데, 이때 적당한 출력이라는 수치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싶습니다.
일단 220마력 정도 되는 차들은 180-200km/h 아주 쉬운 속도이지만 200km/h로 가다가 길이 더 좋아지고 차도 없네하면서 밟아서 230km/h까지 올리려면 패달을 깊숙히 꾹 밟아야 합니다.
겨우 속도를 240km/h부근까지 올려놓았다가 제동을 걸어야하면 '어떻게 올려놓은 속도인데' 하면서 아깝기도 하고, 다시 또 올리려면 심적으로 한숨부터 나옵니다.
반면 300마력대 차들은 200km/h에서도 발에 살짝 힘을 주는 것으로 230km/h를 쉽게 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비슷한 속도를 220마력짜리로 달리는 것에 비해 훨씬 더 안정감이 있습니다.
제동을 걸어야하는 상황에서도 워낙 쉽게 속도를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자체가 적다는 뜻이지요.
이렇게 달릴 수 있는 도로나 상황이 우리나라에서 그리 자주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길이 확실히 열렸을 때 1,2분 정도 시원하게 달릴 수 있게 해주는 차가 전 좋습니다.
스포츠카보다는 고성능 세단을 선호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동일한 거리를 달려도 덜 피곤하고 주행안정성에서 스포츠카는 잘만든 스포츠 세단을 능가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긴장감이 덜한 대신 서킷에서는 덜 재미있지만 그래도 고출력에 안정감 있게 안전하게 달리는 것에 좀 더 의미를 부여합니다.
빠른차가 항상 좋은 차는 아니지만 꼭 왠만큼 빠른차를 타야 정신적으로 덜 늙는 저같은 부류에게는 빠른차가 필요합니다.
요즘은 워낙 수입 중고차들도 많고해서 상당히 저렴한 가격에 출력이 큰 차를 가지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아졌습니다.
바쁘고 시달리는 삶속에서 기쁨을 주는 아이템을 찾을 수 있다면 투자할 가치가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합니다.
차가 기쁨을 주는 원천이라면 차에 투자하셔도 됩니다.
얼마나 많이 그것을 활용하고 기쁨으로 승화시키느냐가 투자 대비 output이니까요.
어딘가 쉬러갈 곳, 함께 즐기면서 희열을 느낄 수 있는 무언가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큰 차이가 있지 않나 감히 생각해 봅니다.
-testkwon-
경험이 쌓이면 쌓일수록 내적 주관이 더욱 더 단단해지고, 진정으로 소유하고 싶은 차에 대한 의지가 강해지는 반면, 이것도 사고 싶고 저것도 사고 싶고하는 전자의 현상과 전혀 상반되는 심리도 함께 작동합니다.
두 상반된 심리중에서 첫번째 의지가 아직까지는 훨씬 강하기 때문에 한번 구입한 차를 자주 바꾸지 않고, 아무리 빠르고 좋은 차를 사도 맘이 흔들리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지만 두번째 심리가 순간적인 충동으로 맘을 흔들때가 많은 것도 인정하고 싶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차는 제 성격과도 관계가 깊습니다.
느릿느릿 행동하는 것을 가장 싫어하고, 결정을 미루는 것 역시 제가 싫어하는 행동입니다.
시간을 아끼기 위해 별의별 아이디어를 다 동원하는 저는 샤워를 위해 보일러를 켜고 5분을 기다리는 순간에도 그 5분이 알차야하고, 컴퓨터를 켜고 부팅이 되는 순간에도 절대 컴퓨터를 멍하니 쳐다보는 일이 없습니다.
이렇게 급하고 보기보다 엄청나게 다혈질이기 때문에 차가 저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운전은 패턴이 중요하고,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위기대처능력으로 무장한 운전자는 그렇지 않은 운전자보다 빨리 달리는 것에 비해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달릴 수 있습니다.
차량의 상태가 완벽하다는 조건하에서 고속주행은 여전히 많은 책임이 따라야하지만 필요에 의해서 고속으로 주행을 해야하는 때가 전 상당히 많습니다.
길이 뚫려 있고, 차가 없는 길을 연비테스트하는 과정을 제외하고 천천히 달리는 것은 기름을 아낄 수 있어도 시간이 아까워서 밟게 되는데, 이때 적당한 출력이라는 수치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싶습니다.
일단 220마력 정도 되는 차들은 180-200km/h 아주 쉬운 속도이지만 200km/h로 가다가 길이 더 좋아지고 차도 없네하면서 밟아서 230km/h까지 올리려면 패달을 깊숙히 꾹 밟아야 합니다.
겨우 속도를 240km/h부근까지 올려놓았다가 제동을 걸어야하면 '어떻게 올려놓은 속도인데' 하면서 아깝기도 하고, 다시 또 올리려면 심적으로 한숨부터 나옵니다.
반면 300마력대 차들은 200km/h에서도 발에 살짝 힘을 주는 것으로 230km/h를 쉽게 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비슷한 속도를 220마력짜리로 달리는 것에 비해 훨씬 더 안정감이 있습니다.
제동을 걸어야하는 상황에서도 워낙 쉽게 속도를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자체가 적다는 뜻이지요.
이렇게 달릴 수 있는 도로나 상황이 우리나라에서 그리 자주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길이 확실히 열렸을 때 1,2분 정도 시원하게 달릴 수 있게 해주는 차가 전 좋습니다.
스포츠카보다는 고성능 세단을 선호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동일한 거리를 달려도 덜 피곤하고 주행안정성에서 스포츠카는 잘만든 스포츠 세단을 능가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긴장감이 덜한 대신 서킷에서는 덜 재미있지만 그래도 고출력에 안정감 있게 안전하게 달리는 것에 좀 더 의미를 부여합니다.
빠른차가 항상 좋은 차는 아니지만 꼭 왠만큼 빠른차를 타야 정신적으로 덜 늙는 저같은 부류에게는 빠른차가 필요합니다.
요즘은 워낙 수입 중고차들도 많고해서 상당히 저렴한 가격에 출력이 큰 차를 가지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아졌습니다.
바쁘고 시달리는 삶속에서 기쁨을 주는 아이템을 찾을 수 있다면 투자할 가치가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합니다.
차가 기쁨을 주는 원천이라면 차에 투자하셔도 됩니다.
얼마나 많이 그것을 활용하고 기쁨으로 승화시키느냐가 투자 대비 output이니까요.
어딘가 쉬러갈 곳, 함께 즐기면서 희열을 느낄 수 있는 무언가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큰 차이가 있지 않나 감히 생각해 봅니다.
-testkwon-
2006.07.28 17:28:03 (*.165.137.174)

흐흐.. 맨위에 "생활 Idle time" 얘기 읽으며 살짝 공감;;;; 저도 꽤나 idle time 기피하는 성향입지요.
(약간 다른 예일수도 있는데, 걷다가 신발끈 풀리면 안묶고 그냥 계속 걷고서는 횡단보도나 버스 기다리는 순간이 와야 신발끈을 묶는다든지 ^^;;;; )
(약간 다른 예일수도 있는데, 걷다가 신발끈 풀리면 안묶고 그냥 계속 걷고서는 횡단보도나 버스 기다리는 순간이 와야 신발끈을 묶는다든지 ^^;;;; )
2006.07.28 18:05:18 (*.145.76.171)

푸하하하하~~ 아..넘 웃겨요.
'겨우 속도를 240km/h부근까지 올려놓았다가 제동을 걸어야하면 '어떻게 올려놓은 속도인데' 하면서 아깝기도 하고, 다시 또 올리려면 심적으로 한숨부터 나옵니다.'
이 대목에서..배 움켜쥐었습니다.
마스터님 권위에 죄송한 말씀인데.. 넘 귀여워 죽겠음. ㅎㅎㅎ
'겨우 속도를 240km/h부근까지 올려놓았다가 제동을 걸어야하면 '어떻게 올려놓은 속도인데' 하면서 아깝기도 하고, 다시 또 올리려면 심적으로 한숨부터 나옵니다.'
이 대목에서..배 움켜쥐었습니다.
마스터님 권위에 죄송한 말씀인데.. 넘 귀여워 죽겠음. ㅎㅎㅎ
2006.07.28 18:19:52 (*.145.76.171)

움뜨.. 한참웃다가, 진정하고 리플 잇습니다. ^^
권영주님 스타일은 어쩔수없이 정통 독일매니아 타잎같습니다. 독일에서 태어났다고 하셨나요..? 독일 생활을 오래한 친구가 말하길.. '독일엔 아우토반이 없으면 갑갑해서 못산다.' 그러더군요. 워낙 타이트하게 모든 생활들이 맞춰져있어, 길에서라도 한번씩 밟아주지 않으면 답답할거라고요..
어느정도 성능이 받쳐주는 차를 선호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구린차로 오랫동안 버티는거 보면..옆에서 답답하고 청승맞아 보이기도 하죠. 제 경우도, 20년간 국내 최고속차가 나오는대로 일년에 한번씩 신차를 샀었는데.. 두대이상씩 소유하다보니, 한때는 할부금만 250이 넘더군요.. 3년전쯤 사업에 과다 욕심과 투자로 휘청하면서, 처음으로 3년이상 같은차를 타고있답니다. 사업빚 모두 해결되면 맘에 드는차 구하기로 마음속으로 다짐하고..콕콕찌르고..그런답니다. ^^
권영주님 스타일은 어쩔수없이 정통 독일매니아 타잎같습니다. 독일에서 태어났다고 하셨나요..? 독일 생활을 오래한 친구가 말하길.. '독일엔 아우토반이 없으면 갑갑해서 못산다.' 그러더군요. 워낙 타이트하게 모든 생활들이 맞춰져있어, 길에서라도 한번씩 밟아주지 않으면 답답할거라고요..
어느정도 성능이 받쳐주는 차를 선호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구린차로 오랫동안 버티는거 보면..옆에서 답답하고 청승맞아 보이기도 하죠. 제 경우도, 20년간 국내 최고속차가 나오는대로 일년에 한번씩 신차를 샀었는데.. 두대이상씩 소유하다보니, 한때는 할부금만 250이 넘더군요.. 3년전쯤 사업에 과다 욕심과 투자로 휘청하면서, 처음으로 3년이상 같은차를 타고있답니다. 사업빚 모두 해결되면 맘에 드는차 구하기로 마음속으로 다짐하고..콕콕찌르고..그런답니다. ^^
2006.07.28 18:25:24 (*.105.49.151)

저도 순간적인 가속감과 뚫린 길을 뛰쳐나갈때의 희열을 좋아합니다. 아쉽게도 바이크에 발을 들여놓아서 자동차로 달리면 개방감이 훨씬 덜 하더군요. 바이크는 구형일지라도 배기량이 900cc 정도만 넘으면 다루기 어려울 정도의 가속력을 선사합니다. (레플리카의 경우) 가끔 달리면서 딴생각이 날때가 있어서....주의하는 편입니다. ^^;
2006.07.28 19:09:55 (*.250.112.131)

저도 십여년 넘게 운전을 하다보니 주관이라는것이 만들어지는것 같은데...
저의 경우는 '빠른속도'가 아니라 '빠른 가속감'과 '핸들링'인것 같습니다.
분명히 빠른차지만 '설레임'이 없는차는 재미 없더군요.
정말 빠르지만 설레임이 없는차... M5와 SL55였습니다. 이 두놈은... 그냥
잘 나가는군... 이정도..?
제대로 운전해본 차들이 늘어갈수록 눈으로만 동경하다 타보고 나서 실망하는경우가
많더군요. 진짜 설레임을 주는 차는 많이 없는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는 '빠른속도'가 아니라 '빠른 가속감'과 '핸들링'인것 같습니다.
분명히 빠른차지만 '설레임'이 없는차는 재미 없더군요.
정말 빠르지만 설레임이 없는차... M5와 SL55였습니다. 이 두놈은... 그냥
잘 나가는군... 이정도..?
제대로 운전해본 차들이 늘어갈수록 눈으로만 동경하다 타보고 나서 실망하는경우가
많더군요. 진짜 설레임을 주는 차는 많이 없는것 같습니다.
2006.07.28 22:44:53 (*.19.37.230)

하하.. 저역시 최고속은 별루 높지 않아도 제가 원할때에 잽싸게 메타기를 삼십분 방향으로 꺽어주는 제 애마가 너무 좋습니다..ㅋ
특히 고속도로에서 독일차와 붙을 때는 빨리 추월한 다음에..
그 다음에..
후다닥 휴게소를 이용하는 편입니다만..흠흠.
특히 고속도로에서 독일차와 붙을 때는 빨리 추월한 다음에..
그 다음에..
후다닥 휴게소를 이용하는 편입니다만..흠흠.
2006.07.29 09:39:42 (*.133.18.129)

"주행안정성에서 스포츠카는 잘만든 스포츠 세단을 능가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부분의 이유가 궁금합니다 설명좀 해주세요~~
이부분의 이유가 궁금합니다 설명좀 해주세요~~
2006.07.29 11:18:44 (*.159.143.188)

아마도 마스터님은 단적인 이유로 그런 표현을 쓰신게 아니고 복합적인 이유에서 말씀해주신거같습니다. 아무래도 극한의 상황에 다다르는 경우가 많은 스포츠카의 구성과 주행보다는 안락함을 주면서도 상대적으로 실용적인 한도내에서 고성능을 내뿜는 고성능 세단의 기본특성을 말씀해주신것 같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스포츠카가 주행안정성이 떨어지는것은 아니겠지요.
그런 차원의 말씀으로 보시면 될듯한데... 맞죠? ^^
물론, 그렇다고 스포츠카가 주행안정성이 떨어지는것은 아니겠지요.
그런 차원의 말씀으로 보시면 될듯한데... 맞죠? ^^
2006.07.29 11:57:00 (*.110.0.223)

권영주 님은 포르쉐나 마세라티와 잘 어울릴 것 같습니다.
이익렬 님께는 Jaguar new XK면 어떨지..
8월에 나오면 한 번 타보세요.
이익렬 님께는 Jaguar new XK면 어떨지..
8월에 나오면 한 번 타보세요.
2006.07.29 19:36:11 (*.193.141.174)

스포츠카는 기본적으로 서킷을 기반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지상고도 낮고 승차감도 불편하고 하드하고 일상주행에서는 불편하고 충돌안정성도 세단보단 떨어질겁니다. 대신 성능과 스피드 극한의 코너링 성능을 얻는것이죠
저도 그런의미에서 일반적인 도로상황 이라면 주행 안정성면에서 여러가지로 봤을때 스포츠카 보다는 스포츠세단이 더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그런의미에서 일반적인 도로상황 이라면 주행 안정성면에서 여러가지로 봤을때 스포츠카 보다는 스포츠세단이 더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2006.07.30 16:47:02 (*.115.56.83)
음... 저도 차는 일단 엔진이 세야한다고 주장하는 편이라... (근데 지금 1.5 오토아방은 뭐람?) 저번주 출장때문에 뉴SM5 LPG 오토(하필이면 이런차만 걸리는지...)를 렌트해서 다녀왔는데... 마스터님의 말씀대로... 묵직하고 승차감 웬만하고 고속으로 올라가도 별 위화감없고... 덜피곤하고... 이런게 요즘은 좋게 느껴지는지... 헉... 안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