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분노의 질주 3를 봤습니다.
1편 -> 무조건 직진. 남자라면 직진. 생각해 보니 여자도 직진.
2편 -> 그래도 가끔 커브도 돈다.
3편 -> 이제는 직진으로 갈것도 무조건 옆으로 게걸음 친다.
<끝>
....이라고 하면 돌 맞을 것 같고....
머리를 비우고 눈과 귀로 즐겁게 즐길 수 있는 영화 입니다.
자동차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황당한 시츄에이션도 많지만,
그래도 피를 끓어오르게 하는 장면도 많습니다.
영화를 보면서 중요한 조연배우들이 왠지 일본인 안같고 친근한 얼굴이다
생각이 들면 당신은 센스쟁이.
주조연으로 나오는 배우들이 한국계 입니다.
한으로 나오는 Sung Kang, DK의 제일 똘만이로 나오는 Leonardo Nam은 순수 한국계.
DK로 나오는 Brian Tee는 한국과 일본의 혼혈.
한마디로,
미국인이 일본에 가서 영어하는 한국계 배우들과 미제 머슬카로 드리프트하는 영화.
푸핫 !
반가운 얼굴들도 나와서 소소한 즐거움을 줍니다.
주인공이 드리프트 연습하던 바닷가에서 낚시하며
'저것도 드리프트냐'라고 못봐주겠다는 익살스런 표정을 지으신 분은
바로 진짜 DK(Drift King) 츠치야 케이이치.
아는 사람만 보고 웃을 수 있는 하이 개그.
그리고 별 스토리 없는 영화에 마지막에 진정한 반전(?)을 주는 인물도 등장.
그 인물을 말하면 스포일러-내용 까발리기가 되니까 입다물겠습니다.
이런 영화를 볼때마다 느끼는 선진국 자동차 문화에 대한 부러움.
바로 차들보다도 많은 것 같은 차 옆의 쭉쭉빵빵 언니들!!!
한국도 빨리 이런 바람직한 선진 문화를 배워야 하겠습니다.
통일동산 시절이나 여기 저기 드래그, 남산, 북악산, 유명산 남성비 90% 이상의
칙칙한 문화는 하루 빨리 타파되어야 할 것 입니다. 푸하하하하하.
(지송합니다)
사실 진정한 감동은 영화를 상영한 극장에 있었습니다.
파주 출판문화 단지안에 있는 시너스 이채 at9.
화질저하를 막기 위해 영사실 유리창이 칼 자이스에 특별 주문한 평면렌즈고,
영화관 음향 시설용 배선을 순동선으로 깔아서 배선비만 10억이 들어갔다는,
알만한 분들은 다 아시는 전설의 극장.
자유로를 들락거리면서 항상 언젠가는 가봐야지 했는데 처음으로 가봤습니다.
그곳 사장님께서도 자동차 애호가로 아주 유명하신 분이시죠.
분노의 질주2는 테드 이벤트로 역시 그분께서 운영하시는 남산자동차극장에서
봤는데, 분노의 질주 시리즈랑 묘한 인연이 있는 듯 합니다.
자유로 달리시다가 영화가 땡기면 가보세요. 극장 시설은 최고입니다.
영화관의 시설과 장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같이 영화를 보신
박순백 박사님(역시 포르쉐 애호가로 유명하신 분)께서 잘 정리해 주셔서
링크를 걸어봅니다. 한번 보시면 입이 쩍 벌어지실 겁니다.
http://drspark.dreamwiz.com/cgi-bin/zero/view.php?id=talk&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657
분노의 질주 3 감상기보다 극장 감상기로 쓸걸 그랬나?
1편 -> 무조건 직진. 남자라면 직진. 생각해 보니 여자도 직진.
2편 -> 그래도 가끔 커브도 돈다.
3편 -> 이제는 직진으로 갈것도 무조건 옆으로 게걸음 친다.
<끝>
....이라고 하면 돌 맞을 것 같고....
머리를 비우고 눈과 귀로 즐겁게 즐길 수 있는 영화 입니다.
자동차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황당한 시츄에이션도 많지만,
그래도 피를 끓어오르게 하는 장면도 많습니다.
영화를 보면서 중요한 조연배우들이 왠지 일본인 안같고 친근한 얼굴이다
생각이 들면 당신은 센스쟁이.
주조연으로 나오는 배우들이 한국계 입니다.
한으로 나오는 Sung Kang, DK의 제일 똘만이로 나오는 Leonardo Nam은 순수 한국계.
DK로 나오는 Brian Tee는 한국과 일본의 혼혈.
한마디로,
미국인이 일본에 가서 영어하는 한국계 배우들과 미제 머슬카로 드리프트하는 영화.
푸핫 !
반가운 얼굴들도 나와서 소소한 즐거움을 줍니다.
주인공이 드리프트 연습하던 바닷가에서 낚시하며
'저것도 드리프트냐'라고 못봐주겠다는 익살스런 표정을 지으신 분은
바로 진짜 DK(Drift King) 츠치야 케이이치.
아는 사람만 보고 웃을 수 있는 하이 개그.
그리고 별 스토리 없는 영화에 마지막에 진정한 반전(?)을 주는 인물도 등장.
그 인물을 말하면 스포일러-내용 까발리기가 되니까 입다물겠습니다.
이런 영화를 볼때마다 느끼는 선진국 자동차 문화에 대한 부러움.
바로 차들보다도 많은 것 같은 차 옆의 쭉쭉빵빵 언니들!!!
한국도 빨리 이런 바람직한 선진 문화를 배워야 하겠습니다.
통일동산 시절이나 여기 저기 드래그, 남산, 북악산, 유명산 남성비 90% 이상의
칙칙한 문화는 하루 빨리 타파되어야 할 것 입니다. 푸하하하하하.
(지송합니다)
사실 진정한 감동은 영화를 상영한 극장에 있었습니다.
파주 출판문화 단지안에 있는 시너스 이채 at9.
화질저하를 막기 위해 영사실 유리창이 칼 자이스에 특별 주문한 평면렌즈고,
영화관 음향 시설용 배선을 순동선으로 깔아서 배선비만 10억이 들어갔다는,
알만한 분들은 다 아시는 전설의 극장.
자유로를 들락거리면서 항상 언젠가는 가봐야지 했는데 처음으로 가봤습니다.
그곳 사장님께서도 자동차 애호가로 아주 유명하신 분이시죠.
분노의 질주2는 테드 이벤트로 역시 그분께서 운영하시는 남산자동차극장에서
봤는데, 분노의 질주 시리즈랑 묘한 인연이 있는 듯 합니다.
자유로 달리시다가 영화가 땡기면 가보세요. 극장 시설은 최고입니다.
영화관의 시설과 장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같이 영화를 보신
박순백 박사님(역시 포르쉐 애호가로 유명하신 분)께서 잘 정리해 주셔서
링크를 걸어봅니다. 한번 보시면 입이 쩍 벌어지실 겁니다.
http://drspark.dreamwiz.com/cgi-bin/zero/view.php?id=talk&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657
분노의 질주 3 감상기보다 극장 감상기로 쓸걸 그랬나?
2006.07.29 14:20:32 (*.104.148.197)

저도 어제서야 봤는데 정말 즐겁게 잘봤습니당~ ㅎㅎㅎ 현실과는 많이 동떨어져 있는듯하나 대중부터 매니아까지 다 엔터테인할수있는 요소를 잘 접목시킨듯 합니다. ^^
2006.07.29 14:40:35 (*.210.217.64)

틈틈히 남산 성비 90%의 하나를 채우고 있는(!) 저로서도 감상기 잘 봤습니다. 상암에서 봤는데, 일찍 알려주셨으면 부러 찾아가서라도 그곳에서 볼걸 그랬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다음번엔 꼭 시도를 해보고 싶네요.
2006.07.29 16:54:47 (*.60.151.65)

"미국인이 일본에 가서 영어하는 한국계 배우들과 미제 머슬카로 드리프트하는 영화" ㅋㅋㅋ 저는 도쿄드리프트보다 디즈니의 '더 카'를 훨씬 더 재미있게 봤습니다. 더 카 보실 계획이 있으신 분이 있다면, 사운드 때문에라도 꼭 극장에서 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2006.07.29 20:41:49 (*.109.59.184)

박순백 박사님의 클럽주소를 여기서 보니 반갑네요~ 수십년간 적금을 부어서 박스터를 구입하셨다고 합니다 진정한 메니아라고 감히 칭하고싶습니다 스키,인라인,포르쉐...
2006.07.29 21:11:23 (*.237.161.245)

오~~~ 자동차 극장은 넘 화질이 아이다 생각하고 있었는데..좋은 곳도 있었군요... 난중에 여친이 생긴다면 가봐야징 ^^
2006.07.29 21:26:28 (*.148.24.90)

이야.. 짧은 문장에 요약 엄청 잘되어 있군요. ^^;; 저도 접주말에 봤지요.
한도 Dk도 송강호 약간 닮아서 같이본 친구랑 "장발 송강호" "단발 송강호"라고 칭하며 의논하며 봤습니다.
오오 그리고 낚시맨이 DK인줄은 정말 몰랐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영화의 스토리 흐름은 1 2 3탄으로 갈수록 완전 노브레인 양키필 일편으로 흐르는 느낌은 있습니다만, 차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항상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영화 시리즈라고 생각합니다.
한도 Dk도 송강호 약간 닮아서 같이본 친구랑 "장발 송강호" "단발 송강호"라고 칭하며 의논하며 봤습니다.
오오 그리고 낚시맨이 DK인줄은 정말 몰랐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영화의 스토리 흐름은 1 2 3탄으로 갈수록 완전 노브레인 양키필 일편으로 흐르는 느낌은 있습니다만, 차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항상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영화 시리즈라고 생각합니다.
2006.07.29 23:22:41 (*.116.10.251)

박순백 박사님께서는 정말 대단하신 분이시지요.
지금은 인라인계의 대부라던가 칼럼을 쓰시는 것으로 유명하시지만,
사실은 IT 강국 대한민국의 시발점을 만드신 분이십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본격 BBS인 엠팔로 한국에 PC 통신이라는 것을
개척하셨죠. 당시에는 PC 통신이라는 것의 개념도 없던 때라
아파트 지하실에서 전화선 끌어다가 수상한 짓을 한다고
간첩이나 도청하는 것으로 오해를 받아 아파트 주민들이
가위로 전화선들을 모두 잘라버리는가 하면, 전화국에서
전화번호 해지하겠다고 해서 전화국장과 직접 담판을 하셔서
PC 통신에 대한 이해를 시키는 등 IT 업계의 전설과 같은
이야기가 많으시죠.
지금 들으면 어이없고 황당한 우수개소리지만 당시는
처절한 사투와 가까운 일이었죠. 80년대에 안기부가 부른다면
보통 심각한 이야기가 아니지요.
Apple II 용 400 bps 모뎀으로 시외전화 걸어서 엠팔에 접속하려고
애쓰던 기억이 나네요. 나중에 시외전화료 많이 나왔다고
어머니께 정말 비오는 날 먼지나게 맞았었죠.T_T
포르쉐를 좋아하셔서 몇십년간 모으고 모아서 구입하셨죠.
진짜 애호가의 열정을 보여주시는 분 입니다.
실제 만나뵈면 아무리 어린 사람에게도 선생님이리고 부르시고
존대말을 하시는 인간적으로 배울 점이 너무 많은 어른이십니다.
지금은 인라인계의 대부라던가 칼럼을 쓰시는 것으로 유명하시지만,
사실은 IT 강국 대한민국의 시발점을 만드신 분이십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본격 BBS인 엠팔로 한국에 PC 통신이라는 것을
개척하셨죠. 당시에는 PC 통신이라는 것의 개념도 없던 때라
아파트 지하실에서 전화선 끌어다가 수상한 짓을 한다고
간첩이나 도청하는 것으로 오해를 받아 아파트 주민들이
가위로 전화선들을 모두 잘라버리는가 하면, 전화국에서
전화번호 해지하겠다고 해서 전화국장과 직접 담판을 하셔서
PC 통신에 대한 이해를 시키는 등 IT 업계의 전설과 같은
이야기가 많으시죠.
지금 들으면 어이없고 황당한 우수개소리지만 당시는
처절한 사투와 가까운 일이었죠. 80년대에 안기부가 부른다면
보통 심각한 이야기가 아니지요.
Apple II 용 400 bps 모뎀으로 시외전화 걸어서 엠팔에 접속하려고
애쓰던 기억이 나네요. 나중에 시외전화료 많이 나왔다고
어머니께 정말 비오는 날 먼지나게 맞았었죠.T_T
포르쉐를 좋아하셔서 몇십년간 모으고 모아서 구입하셨죠.
진짜 애호가의 열정을 보여주시는 분 입니다.
실제 만나뵈면 아무리 어린 사람에게도 선생님이리고 부르시고
존대말을 하시는 인간적으로 배울 점이 너무 많은 어른이십니다.
2006.07.30 08:23:20 (*.127.195.217)
좋은 감상문 잘 보았습니다.... 시설에 대한 설명은 오늘 처음 들었습니다만, 파주 이채의 사운드는 정말 숨이 턱턱 막히는 수준입니다. 다만 한 번은 엔지니어분이 오버하신 건지 볼륨을 너무 높여 관객들이 다 같이 손가락으로 귓구멍을 틀어막고 영화를 보아야 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2006.07.30 11:18:42 (*.145.76.171)

영화평에서, 극장 시스템 소개로 넘어가더니.. 인물 예찬으로.. ㅋㅋ
도꾜 드리프트.. 패셔너블하긴 한데, 고삐리가 아빠한테 머스탱 키 받아, 결국 조직과 승부하는 스토리전개가 줌 조악하더군요. 차만빼면 말죽거리 잔혹사가 훨씬 난 듯..^^
도꾜 드리프트.. 패셔너블하긴 한데, 고삐리가 아빠한테 머스탱 키 받아, 결국 조직과 승부하는 스토리전개가 줌 조악하더군요. 차만빼면 말죽거리 잔혹사가 훨씬 난 듯..^^
2006.07.30 11:32:39 (*.116.10.251)

ㅋㅋㅋ...스토리는 별로 생각 안하시고 보시는 것이....
말죽거리 잔혹사에서 학생들이 레이스로 승부하는 영화로 바뀌었다면
그것도 상당한 영화가 되었을 듯....ㅋㅋㅋㅋ
말죽거리 잔혹사에서 학생들이 레이스로 승부하는 영화로 바뀌었다면
그것도 상당한 영화가 되었을 듯....ㅋㅋㅋㅋ
2006.08.01 09:16:29 (*.12.101.19)

어휴 전 케텔이 질때쯤에 PC통신을 시작해서 ㅡㅡ 그정도의 비하인드 스토리는 몰랐습니다 사실 스키로 인해 알게되었는데 IT쪽에서도 상당한 개척을 이루신걸보니 후..한국에서의 선구자의 길은 멀고도 험한듯 합니다~
2006.08.03 03:27:00 (*.93.5.48)
박순백 박사님 제 롤 모델 가운데 한 분이시죠. 평소 존경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너스 이채의 사운드는 물량 투입만큼의 효과는 얻어내지 못했다고 평가하고 싶습니다. 이 때까지 이채를 20번 이상은 경험한 후니 랜덤한 상황의 평가는 아니겠지요?
물량 투입 이전에 명확한 레퍼런스를 설정하고 음향 디자인을 했어야 하는데, 그 레퍼런스가 제대로 잡히지 못헀다는 느낌이 듭니다.
오히려 보다 적은 투입의 다른 극장들이 나은 결과물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제 개인 의견일 수도 있지만, 극장 전문 포럼들 둘러보시면 마찬가지일 겁니다. 처음 생길 당시도 다들 큰 기대에 부풀어 있었는데, 흔히 일컫는 '포스트 시넥스'까지 이르지 못한 것이 아쉽고요.
오너분 말씀대로 다음 번의 이채는 기대해 보겠습니다.
말은 이렇게 해도 드라이빙 때나 혹은 예매안해도 된다는 이점 떄문에 이채 요즘도 자주 갑니다. ^^
하지만, 시너스 이채의 사운드는 물량 투입만큼의 효과는 얻어내지 못했다고 평가하고 싶습니다. 이 때까지 이채를 20번 이상은 경험한 후니 랜덤한 상황의 평가는 아니겠지요?
물량 투입 이전에 명확한 레퍼런스를 설정하고 음향 디자인을 했어야 하는데, 그 레퍼런스가 제대로 잡히지 못헀다는 느낌이 듭니다.
오히려 보다 적은 투입의 다른 극장들이 나은 결과물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제 개인 의견일 수도 있지만, 극장 전문 포럼들 둘러보시면 마찬가지일 겁니다. 처음 생길 당시도 다들 큰 기대에 부풀어 있었는데, 흔히 일컫는 '포스트 시넥스'까지 이르지 못한 것이 아쉽고요.
오너분 말씀대로 다음 번의 이채는 기대해 보겠습니다.
말은 이렇게 해도 드라이빙 때나 혹은 예매안해도 된다는 이점 떄문에 이채 요즘도 자주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