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음.. 조금 오래된 이야기 이지만, 오늘 모든 기름값이 사상최고!!라는 뉴스를 보고 생각나서 한번 적어봅니다.
때는 3월, 제차에 하이캠 작업을 하다가 인스톨 실수로 인해, 엔진이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뭐 저의 엘리사 델타엔진에는 전혀 이상이 없었고, 제 잘못도 아니었기에 (다이나모 돌리던중 사망) 해당 샵에서는 흔쾌히 새 엔진으로 교체를 해주었습니다.
하이캠 인스톨이 끝난후, 새 엔진 길들이기를 위해 국토 대장정에 나섰습니다. 엔진 길들이기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고속도로를 일정속도로 계속 주행하는 것이라는 지인들의 충고를 받아들여 고속도로만을 코스로 잡았습니다.
총 거리는 1,500km로 잡았으며, 주행방법은.. 처음 500km동안은 3천rpm, 120kph를 넘기지 않는 조건으로 정속주행을 하였습니다. 무지하게 지루하고 재미없어서 힘들더군요. 물론 코-드라이버와 번갈아가면서 운전했습니다. 고속도로를 정속주행하는데 시비거는 양카들이나, 만만해 보이는 차종들(ex:아우디TT 1.8터보)이 훽~ 지나갈때는 오른발에 힘이 확 들어가려하다가도 길들이기를 위해 참아야만 했습니다.
잠깐의 휴식을 위해 휴계소에 들른것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일정속도를 유지하였더니, 결과는 놀랍게도 620km!! 만땅을 채우고 주유계가 'E'에 정확히 왔을때까지 주행한 결과였습니다. 물론 이 주행 조건은 현실적으로는 절대로 흔히 일어날 수 없는 조건입니다. 하지만 정속주행시 연비가 얼마나 좋아질 수 있는지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실험이었습니다.
그렇게 정속주행으로 길들이기를 하여 1,000km를 돌파한 이후부터는 조금씩 rpm 사용 영역을 높여 4천rpm...막판에는 5천rpm으로 고속주행 길들이기를 해주었습니다. 1,500km 길들이기를 단 하루만에 완성하고, 순정오일을 빼고 레드라인 오일로 교체하여 길들이기를 완료하였답니다. 이렇게 하니 엔진이 아주 부드러워지고 길들이기가 아주 잘되었다는 느낌이 듭니다.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시내주행위주의 길들이기 5천km보다, 단계별로 점점 높은 rpm을 사용하는 고속도로 정속주행 길들이기가 훨씬 더 좋은것 같습니다.
때는 3월, 제차에 하이캠 작업을 하다가 인스톨 실수로 인해, 엔진이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뭐 저의 엘리사 델타엔진에는 전혀 이상이 없었고, 제 잘못도 아니었기에 (다이나모 돌리던중 사망) 해당 샵에서는 흔쾌히 새 엔진으로 교체를 해주었습니다.
하이캠 인스톨이 끝난후, 새 엔진 길들이기를 위해 국토 대장정에 나섰습니다. 엔진 길들이기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고속도로를 일정속도로 계속 주행하는 것이라는 지인들의 충고를 받아들여 고속도로만을 코스로 잡았습니다.
총 거리는 1,500km로 잡았으며, 주행방법은.. 처음 500km동안은 3천rpm, 120kph를 넘기지 않는 조건으로 정속주행을 하였습니다. 무지하게 지루하고 재미없어서 힘들더군요. 물론 코-드라이버와 번갈아가면서 운전했습니다. 고속도로를 정속주행하는데 시비거는 양카들이나, 만만해 보이는 차종들(ex:아우디TT 1.8터보)이 훽~ 지나갈때는 오른발에 힘이 확 들어가려하다가도 길들이기를 위해 참아야만 했습니다.
잠깐의 휴식을 위해 휴계소에 들른것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일정속도를 유지하였더니, 결과는 놀랍게도 620km!! 만땅을 채우고 주유계가 'E'에 정확히 왔을때까지 주행한 결과였습니다. 물론 이 주행 조건은 현실적으로는 절대로 흔히 일어날 수 없는 조건입니다. 하지만 정속주행시 연비가 얼마나 좋아질 수 있는지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실험이었습니다.
그렇게 정속주행으로 길들이기를 하여 1,000km를 돌파한 이후부터는 조금씩 rpm 사용 영역을 높여 4천rpm...막판에는 5천rpm으로 고속주행 길들이기를 해주었습니다. 1,500km 길들이기를 단 하루만에 완성하고, 순정오일을 빼고 레드라인 오일로 교체하여 길들이기를 완료하였답니다. 이렇게 하니 엔진이 아주 부드러워지고 길들이기가 아주 잘되었다는 느낌이 듭니다.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시내주행위주의 길들이기 5천km보다, 단계별로 점점 높은 rpm을 사용하는 고속도로 정속주행 길들이기가 훨씬 더 좋은것 같습니다.
2006.08.21 13:34:33 (*.98.1.47)

길들이기 말씀하시니 생각나네요. 저도 비슷한 방법으로 인내의 한계를 경험해 가며 3000Km 길들이기를 마친 어느날... 그냥 투어링으로 나선 인천공할길에서 참지 못하고 5분여의 최고속 주행 끝에 캠로드 절단으로 블럭을 해먹고는 ..얼마나 아깝던지...길들이기에 솓아 부은 인내의 시간과 노력이....
2006.08.21 13:36:35 (*.98.1.47)

그 때가 유료 되기 직전의 12월인데...다리 위에서 손을 호호 불어 가며 엔진 헤드 열어 보던 기억이 새롭네요. 그 때 사용하던 이름만 합성유인 ****** 는 두번 다시 사용 않지요.
2006.08.21 15:12:48 (*.16.95.133)
음.. 저같은 경우는 04년 8월경 어코드 구매후 특별한 길들이기 없이
차에 적응된 뒤 (대략 구매뒤 2일후) 부터 그냥 조지고 댕겼습니다.
그게 문제가 된건지는 모르겠으나 얼마 안있어 차 이곳저곳에서 잡소리도 들려왔고
연비도 지금은 그나마 약간 나아졌으나 처음 샀을때는 만땅넣고도 270킬로정도 탔었습니다. 현재 대략 시내 70프로 고속도로 30프로 주행으로 리터당 8킬로정도 나오는거 같네요..
다른 동급 차량들은 풀탱크 채우면 한 350마일 (560킬로?) 정도는 시내주행만해도 나온다는데 저는 시내주행만 하면 260마일도 못타더군요..
이상한쪽으로 얘기가 기울었는데 제 논점은
길들이기를 해주고 안해주고가 차 상태에 나름대로 영향을 끼치는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차에 적응된 뒤 (대략 구매뒤 2일후) 부터 그냥 조지고 댕겼습니다.
그게 문제가 된건지는 모르겠으나 얼마 안있어 차 이곳저곳에서 잡소리도 들려왔고
연비도 지금은 그나마 약간 나아졌으나 처음 샀을때는 만땅넣고도 270킬로정도 탔었습니다. 현재 대략 시내 70프로 고속도로 30프로 주행으로 리터당 8킬로정도 나오는거 같네요..
다른 동급 차량들은 풀탱크 채우면 한 350마일 (560킬로?) 정도는 시내주행만해도 나온다는데 저는 시내주행만 하면 260마일도 못타더군요..
이상한쪽으로 얘기가 기울었는데 제 논점은
길들이기를 해주고 안해주고가 차 상태에 나름대로 영향을 끼치는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2006.08.21 15:59:58 (*.104.148.197)

이건 저의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지만...똑같은 환경을 가지고 있는상태에서 동일조건의 양산차량이 단순히 길들이기에 따른 연비차이는 10%정도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같은 차종에서 연비가 지극히 낮은 차는 정비 불량 또는 운전자의 드라이빙 습관 문제 영향이 가장 큰듯합니다.
2006.08.21 17:01:35 (*.6.15.236)

10%면...
공인 연비 10키로 기준에 9키로내지는 11키로...
2키로면 작지 않은 차이네요...
디젤은 더 심해지네요...
뉴프라이드 vgt 수동이면...
연비 20키로던데...
4키로 차이면... ㅡ.ㅡ;;
공인 연비 10키로 기준에 9키로내지는 11키로...
2키로면 작지 않은 차이네요...
디젤은 더 심해지네요...
뉴프라이드 vgt 수동이면...
연비 20키로던데...
4키로 차이면... ㅡ.ㅡ;;
2006.08.21 23:10:20 (*.91.9.181)

오토는 확실히 고속도로 정속주행이 효과가 있습니다. XD 2.0 오토를 탈 때 110-120 정도로 대전왕복했더니 연비가 리터당 15키로 나오더군요. 2.0 수동으로는 불가능한 수치죠. 왜냐면 110키로면 수동은 3000rpm을 넘어서니까요. 대신 국도 장거리 주행은 반대로 투스카니 2.0 수동과 XG 2.0 수동으로 둘다 리터당 14키로를 넘은 적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국도는 수동이, 고속도로는 오토가 유리하다고 하겠네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국도는 수동이, 고속도로는 오토가 유리하다고 하겠네요.
2006.08.23 02:45:50 (*.222.38.148)
^^ 안녕하세요 대기님..
분양해 주신 트러스트 엔드 머플러는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용량 레죠네이터를 겻들여서 그런지 사운드가 한층 매력적입니다..
다시는 붕붕이를 달지 않으리라 다짐했건만..이게..쉽지가 않네요..^^
주위분들 모두 배기사운드를 격찬하십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리며..
저같은 경우는 엔진블로우로 인한 길들이기를..
무려..10,000km...한번 엔진블로우할때 마다 5,000km 씩
길들이기를 했습니다..
3,000rpm 이하로만 10,000km 를 운행하려니..어흑..
되도록 시내구간을 피해 고속도로나 순환도로등 일정 rpm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는 길만을 운행했습니다..
엔진오일은 모튤 300V 만 사용했구요..3,000km 를 넘어서는 시점부터는
rpm을 500단위씩 올려서 운행했습니다..
차종은 라노스였고..엔진은 1.6L 오버싸이즈 피스톤을 가미한 엔진이었습니다..
고진감래라고..착실한 길들이기 끝에 rpm 리밋을 해제하고 마음껏 고회전을
즐기며 기가 막히게도 매일 7~8천 rpm 을 넘운행했었습니다..연비는 나드는
운행에도 시내주행 연비 9~10km 고속 주행 연비 12km 정속주행 연비 최고 기록은
리터당 17km 였습니다..
지금도 예전 애마인 라노스가 가끔 생각나네요~~^^
분양해 주신 트러스트 엔드 머플러는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용량 레죠네이터를 겻들여서 그런지 사운드가 한층 매력적입니다..
다시는 붕붕이를 달지 않으리라 다짐했건만..이게..쉽지가 않네요..^^
주위분들 모두 배기사운드를 격찬하십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리며..
저같은 경우는 엔진블로우로 인한 길들이기를..
무려..10,000km...한번 엔진블로우할때 마다 5,000km 씩
길들이기를 했습니다..
3,000rpm 이하로만 10,000km 를 운행하려니..어흑..
되도록 시내구간을 피해 고속도로나 순환도로등 일정 rpm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는 길만을 운행했습니다..
엔진오일은 모튤 300V 만 사용했구요..3,000km 를 넘어서는 시점부터는
rpm을 500단위씩 올려서 운행했습니다..
차종은 라노스였고..엔진은 1.6L 오버싸이즈 피스톤을 가미한 엔진이었습니다..
고진감래라고..착실한 길들이기 끝에 rpm 리밋을 해제하고 마음껏 고회전을
즐기며 기가 막히게도 매일 7~8천 rpm 을 넘운행했었습니다..연비는 나드는
운행에도 시내주행 연비 9~10km 고속 주행 연비 12km 정속주행 연비 최고 기록은
리터당 17km 였습니다..
지금도 예전 애마인 라노스가 가끔 생각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