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주말에 결혼식이 있어 광주에 내려갈 일이 있었습니다. 왕복 700킬로 정도 되는 여정이었는데, 이래 저래 한 번 타보자 하고는 K7을 렌트했습니다. 로드 임프레션에 있는 마스터님이 렌트하신 것과 100% 동일한 차량이었습니다(조금 주행거리가 늘었으니 약간 더 닳았을지도?).
마스터께서 어지간한 부분은 다 커버를 하셨으므로 개인적으로 느낀 점 몇 가지만 써 봅니다. (그래서 시승기란으로 가기는 좀 그렇고 자유게시판에 씁니다)
700킬로를 운전하면서 아주 편하기도 했고 꽤 피곤하기도 했는데, 각각의 이유는 이랬습니다.
편했던 것) 서스펜션 세팅
피곤했던 것) 서스펜션 세팅
...
적당한 스트로크와 댐핑이 무척 안정감있게 바운스를 처리해줘서, 단단한 듯 하면서도 장거리여행시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해주었습니다. 동승자들이 무척 만족스러워 하더군요. ^^
그 반면, 그 차량만의 문제였을지는 잘 모르겠지만 센터 부근에서 스티어링의 반응이 무척 거슬렸는데요, 아주 살짝 튼 상태에서 스티어링 복원력이 작용하지 않는 듯이 복원되지 않는 직진성 문제였습니다. 그래서 차가 똑바로 가게 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스티어링 입력을 주어야 했고, 동승자들이 눈치못채고 편하게 가도록 하기 위해서 인위적인 조작을 끊임없이 해주어야 하는 것이 무척 신경거슬리게 만들었습니다. 물론 차선 안에서 적당히 여유를 갖고 이리저리 운전해도 상관은 없었겠지만 개인적으론 그게 용납이 안돼서...^^;; 유압식 스티어링이었으므로 스티어링 계통이나 프로그램의 문제라고 보기보다는 캐스터를 좀 더 키우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이건 사실 잘 모르므로 패스(캐스터를 크게 하지 않는 나름의 이유가 있겠죠).
또한 스티어링 조작을 가했을 때에 조작의 각속도에 맞추어 (리스펀스는 늦다고 하더라도) 점진적으로 선회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티어링 입력을 한박자쯤 쭉 축적하고 있다가 한번에 쏟아내듯 선회하는 신경질적인 반응이 칼질(-_-)을 어렵게 만들더군요. 물론 내 취향에 맞게 다듬어놓은 차에 익숙해진 몸이라 더 그렇게 느꼈을 수도 있을 듯 합니다.
전반적으로 TG 섀시에 비해 더 단단해져서 노면충격이 거의 흡수되는 듯 단단한 느낌이 좋았습니다만, 약간 거친 콘크리트 노면을 갈 때 차체가 공진하는 듯 아주 작게 웅웅거리는 소음이 올라와서 개인적으로는 거슬리더군요. 이건 대신 휠하우스 근처에 방진재로 댐핑해주면 해결할 수 있을 문제로 보입니다.
비싸지긴 했지만 차값을 만족시키는 차로 느껴졌고 그러면서 3.5 엔진과의 매칭이 무척 궁금해지더군요. 여튼 그랬습니다. ^^;

네, 말씀하신 대로 그럴 수 있을 듯 합니다. 나긋나긋(?)한 스티어링이 현대기아차의 장점이라면 장점일테고, 국가별로 캐스터를 설정하기 힘들테니 결국 주요시장인 미국과 한국에 맞추어지는 세팅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시속 100킬로 전후의 속도에서는 휴먼 피드백 제어하기가 그렇게까지 신경쓰이는 것은 아니거든요. 물론 캐스터를 키우고 피드백을 늘리면서도 나긋나긋함을 추구할 수는 있겠지만 그러려면 파워스티어링계통의 용량이 커져야 할테고 당장 가격과 내구성이 문제가 되겠죠. 그건 현대기아차의 장점 하나를 또 깎아먹는거라서...^^; 나름 유효한 포지셔닝일수는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350 몰면서 스티어링 반응은 생각지도 않았었는데...
오늘 해봐야겠네요.^^
다른 것보다 확 느껴지는건 고속에서 핸들이 무거워지긴 하는데 그래도 너무 가벼워요...

전 무엇보다 브레이크의 성능이 가장 불만이었습니다. 제가 타본 21세기의 자동차들 중 80~100kph 구간에서 풀브레이킹으로 휠 락을 시키는데에 가장 오랜시간을 필요로 했던 차였습니다.
김순익 선생님의 시승기 잘 봤습니다.

어제 만났던 후배의 K7을 운전해보진 않았지만 운전석에서 시동을 걸고 악셀링을 해본 느낌은...상당히 스포티하게 돌아가는 엔진이다...라는 느낌이 들더군요...RPM상승 속도나 하강속도 모두 빨랐습니다. 하강속도가 인상적이더군요...요즘 현대차에 들어가는 엔진과는 조금 다른 셋팅인것 같다는 느낌이 들더군요...
K7이 GT보다는 우리나라의 환경에 맞는 시내주행을 좀 더 염두에 두고 캐스터를 많이 안 준 것이 아닐까요?
캐스터를 더 주면 고속직진성은 좋겠지만 저속의 스티어링이 많은 시내에서는 피곤한 일일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