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북미를 포함해서 여러나라에서 안전상의 이유로 Day light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주간에도 전조등을 켜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구요.
우리나라의 잘못된 운전면허 교육제도로 인해 사람들이 비가와도 눈이 와도 안개가 끼고 터널에 들어가도 라이트를 켜지 않는 것을 고치기 위해 의식있는 동호인들이라도 먼저 솔선수범하는 차원에서 주간에도 전조등을 켜고 다니는 캠페인을 했으면 합니다.
저역시 운전을 할 때 24시간 헤드라이트를 켜고 운전합니다.
라이트를 끄고 다닐 때와 켜고 다닐 때 확실히 주변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때문에 안전성면에서 효과를 많이 보고 있습니다.
예전에 길건너에서 다가오는 차가 주간에도 라이트를 켜고 있길래 '의식있는 운전자'라고 생각했었는데, 사이드 미러를 통해 보니 우연히도 뒤에 테드 스티커를 붙이고 있더군요.
여기서 착안한 아이디어로 우리가 주간에도 라이트를 켜고 다닌다면 '우리는 의식있는 테드인'이라는 표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만약의 사고를 대비해 안전벨트를 매고 안전장치가 많이 달린 차를 선호하듯이 안전을 위한 행위로서 라이트를 켜는 것은 너무도 중요하고 의미있는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의도대로 움직여주시는 분들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공도에서의 테드회원들끼리의 조우도 많아질 것으로 봅니다.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부탁드립니다.
-testkwon-
우리나라도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주간에도 전조등을 켜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구요.
우리나라의 잘못된 운전면허 교육제도로 인해 사람들이 비가와도 눈이 와도 안개가 끼고 터널에 들어가도 라이트를 켜지 않는 것을 고치기 위해 의식있는 동호인들이라도 먼저 솔선수범하는 차원에서 주간에도 전조등을 켜고 다니는 캠페인을 했으면 합니다.
저역시 운전을 할 때 24시간 헤드라이트를 켜고 운전합니다.
라이트를 끄고 다닐 때와 켜고 다닐 때 확실히 주변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때문에 안전성면에서 효과를 많이 보고 있습니다.
예전에 길건너에서 다가오는 차가 주간에도 라이트를 켜고 있길래 '의식있는 운전자'라고 생각했었는데, 사이드 미러를 통해 보니 우연히도 뒤에 테드 스티커를 붙이고 있더군요.
여기서 착안한 아이디어로 우리가 주간에도 라이트를 켜고 다닌다면 '우리는 의식있는 테드인'이라는 표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만약의 사고를 대비해 안전벨트를 매고 안전장치가 많이 달린 차를 선호하듯이 안전을 위한 행위로서 라이트를 켜는 것은 너무도 중요하고 의미있는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의도대로 움직여주시는 분들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공도에서의 테드회원들끼리의 조우도 많아질 것으로 봅니다.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부탁드립니다.
-testkwon-
2006.09.07 16:53:55 (*.12.180.129)

대찬성입니다. 저도 항상 켜고 다닌지 2년이 넘어갑니다만, 햇빛 쨍쨍한 낮이라 하더라도 켤때와 켜지 않을때 확실히 다른 차들이 제 차를 인지함에 있어 차이가 큽니다. 특히 지하차도나 터널에 갑자기 들어갔을 때에 눈이 어두움에 적응하는 짧은 순간 내 차를 보여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오토라이트는 반응하는데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 동안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2006.09.07 17:07:19 (*.246.210.152)

저도 오도방구 타던 시절부터 언제나 라잇온이죠 ^^. 그나저나 어두컴컴해지도록 헤드라이트는 물론이고 아무등도 안켜고 슬금슬금 다니는 차들은 무슨 생각이신지 모르겠더군요...억수로 비오는 고속도로에서 아무등도 안킨 차들은 스타크래프트의 '고스트' 같은 느낌에다...(달리는 핵...게다가 클로킹해서 안보임 --)
2006.09.07 17:17:34 (*.77.127.8)

주간 라이트온 개념이 미등인가요? 아니면 전조등까지인가요? 요즘 바이크들은 법으로 상시 라이트온이 되게 제조되도록 되어있습니다.
예전에 아는분 미주버젼 셀리카를 국내에서 타는데 택시들이 계속 빵빵거리더군요. 무슨일일까 하고 창문 내려보니 하나같이 하시는 말씀들이 차 불켜졌어요.. 하면서 친절히 알려주시더군요,ㅜ.ㅠ) . 자동차나 이륜차 모두 라이트 온 했을때 상대운전자가 느껴지는 경각심은 확실히 다르다고 생각됩니다. 저도 오늘부로 동참하겠습니다.
예전에 아는분 미주버젼 셀리카를 국내에서 타는데 택시들이 계속 빵빵거리더군요. 무슨일일까 하고 창문 내려보니 하나같이 하시는 말씀들이 차 불켜졌어요.. 하면서 친절히 알려주시더군요,ㅜ.ㅠ) . 자동차나 이륜차 모두 라이트 온 했을때 상대운전자가 느껴지는 경각심은 확실히 다르다고 생각됩니다. 저도 오늘부로 동참하겠습니다.
2006.09.07 17:22:37 (*.242.222.1)

저는 주간인 경우, 아침시간, 안개가 낀 경우,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만 키고 다녔었는데 오늘부로 동참하겠습니다...^^
2006.09.07 17:53:47 (*.219.0.69)

미국 지역의 Daylights는 상향등의 광량을 낮추어 시동을 걸면 항상 들어오게 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 기준으로 보면 조금 높고 불편할 수도 있지요. 하향등을 켜되, 이번 기회에 헤드라이트 조사 범위를 한번 점검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2006.09.07 17:54:40 (*.6.15.119)

저도 다시 차를 가지고 다니는 다음주부터는 꼭 켜고 다니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앞차가 승질내지는 않겠죠? ^^;;
(저게 왜 아침부터 라이트를 키고 그랴~~~!! ㅋㅋㅋ)
문화가 앞서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앞차가 승질내지는 않겠죠? ^^;;
(저게 왜 아침부터 라이트를 키고 그랴~~~!! ㅋㅋㅋ)
문화가 앞서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006.09.07 18:51:05 (*.144.176.8)
내릴때 제대로 끄고 내리지 않으면 대략 난감~~~@.@ 제차는 자동 차단이 안되서리..
암튼 열심히 켜고 다니겠습니다.
암튼 열심히 켜고 다니겠습니다.
2006.09.07 19:33:07 (*.148.229.81)

전조등을 구불구불한 외곽도로.. 흐린날.. 초저녁부터.. 부지런히 켜는것에 대해 대찬성 입니다 근데 한가지 의문점이.. 서울같은 대도시에서도 데이라잇이 효과가 있나요? 어떤 전문가는 대도시에서는 필요치 않다라는 의견도 있더라구요.. 미국에서도 주의 특성에 맞게 다른걸로 압니다..
2006.09.07 20:05:20 (*.68.16.174)

저는 라이트를 일찍 켜는 편입니다. 맑은 날일 경우 오후 4시 정도가 되면 하향등을 켜기 시작하지요. 날씨가 흐릴 경우나 고속 주행시엔 당연히 더 일찍 켜구요. 그러나 한가지 생각해볼 것은.. 경우에 따라서는 낮에 라이트를 켜면 제동등이 켜져있는지 꺼져있는지 식별이 잘 안되는 차종도 있더군요. 그럴 경우엔 벌브 점검을 먼저 해야합니다^^
2006.09.07 20:43:35 (*.170.150.224)

여기서 질문 하나 드릴께요. 만약 악천우시나, 밤중 상대방차량이 점등을 안한상태에서 접촉사고가 났다면 상대방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나요? 아주 그냥 싸늘합니다. 고스트마냥 슥~ 지나가면... 고속도로는 점등률이 꾀 높은거 같더군요. 데이라이트가 효용성이 없다고 주장하는 분들도 있고, 연료소모가 많다는 지적도 있습니다만... 확실히 켜고 다니면 함부로 끼어들지 않더군요.
2006.09.07 21:12:14 (*.229.169.253)

저도 차를 탈 때나 모터싸이클을 탈 때나 라이트를 항상 켜고 다닙니다만 요즘에는 라이트 켜져 있다고 친절히 알려 주는 사람들이 별로 없더군요. 귀차니즘 때문인지, 아니면 주간점등에 전보다 익숙해져서 그런 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그런데, 목적지에 도착해서 시동 끄고 내릴 때 가끔씩 라이트 끄는 걸 깜빡합니다. 두 대 모두 배터리세이버 기능이 있기에 망정이지 아니었으면 곤란한 상황을 몇 번 겪었을 지도...^^ 모터싸이클의 경우에는 키를 오프하면 모든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방전 사고의 위험이 전혀 없습니다만.
그런데, 목적지에 도착해서 시동 끄고 내릴 때 가끔씩 라이트 끄는 걸 깜빡합니다. 두 대 모두 배터리세이버 기능이 있기에 망정이지 아니었으면 곤란한 상황을 몇 번 겪었을 지도...^^ 모터싸이클의 경우에는 키를 오프하면 모든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방전 사고의 위험이 전혀 없습니다만.
2006.09.07 21:51:02 (*.241.4.47)
10개월째 운전하면서 무조건 전조등 ON 상태입니다.. 주위에서 간혹 실수로 또는 멋으로 켰냐고 물어보면 난감하기 그지없지만 꿋꿋하게 켜고 다녀요..^^;;
2006.09.07 22:39:08 (*.130.121.226)

원래 저도 라이트를 오후 4~5시쯤 되면 키고 다녔었는데, 이젠 상시 켜야겠군요.
ㅎㅎ ^^;; 오늘부터 저도 동참합니다. ^^
ㅎㅎ ^^;; 오늘부터 저도 동참합니다. ^^
2006.09.08 00:34:07 (*.212.116.87)
저도 라이트를 다른차보다 일찍켜는 편이긴한데요...해가 떨어지기 직전이 가장 사고가 많이 나는 시간대여서.. 이때가 라이트를 켠 효과를 가장 많이 발휘가 되는 시간이라고 나름대로 생각하고 그렇게 하거든요... 차가 오래되다 보니 앗차 실수 하는날엔.. 여지없이 서비스를 불러야하는 상황이 오겠지만.... 흐~~ 고민 한번해봐야겠습니다..^^
2006.09.08 00:40:31 (*.14.71.166)

제가 거주하는 미국의 남부 시골에서는 조금만 어두워지면 가장 밝은 단계의 라이트를 켭니다. 가로등이 없어서 안전상의 이유로 그러는 걸 이해는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로등이 있거나 도로를 확실히 식별할 수 있는 상황, 신호 대기로 정차시에서도 이 라이트를 끄지 않습니다. 그런 차가 제 뒤에 있을 때에는 눈이 부셔서 분노하게 되더군요. 4거리에서 마주보는 차가 하이빔을 끄지도 않고 신호대기하고 있구요. 그래서 차를 그 차의 뒤로 갖다 댄 뒤 하이빔을 켜고 몇 분간 붙어 따라가서 화풀이를 한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절대 대다수의 미국인들이 이렇게 운전하는 하는 바람에 모두에게 응징을 할 수도 없더군요. 남에 대한 배려가 있는 국민이라고 절대 생각하지 않습니다.
2006.09.08 07:35:28 (*.38.156.247)

저도 거의 켜려고 하는 편입니다. 고속도로에선 무조건 켜구요. 다만 한가지 사소한 불편이 있는데, 예전에 LCD계기판을 사용하였을때에는 전조등을 켜면 계기판 조명이 조금 어두워집니다. 잘 보이지 않게 되는것이지요. 야간에 너무 눈부시지 않도록 하는것입니다. 지금은 아날로그 계기판으로 바꿔놓은 상태라 계기판 보는것은 상관이 없지만 대신에 전자시계의 빛이 어두워집니다. 그래서 시계를 보기 위해서 잠시 라이트를 끄는것이 조금 불편합니다.
2006.09.08 09:08:56 (*.76.7.218)

저도 계기판의 불빛으로 표시되는 방식이라 낮에 라이트를 켜면 계기판이 흐려져 불편합니다. 아날로그 계기판이면 차라리 그런건 없을텐데 아쉬워요 해결방법이 없을까요?
2006.09.08 09:31:14 (*.106.65.125)

저 역시 수년째 라이트를 켠체 운전하지만 앞차와의 분쟁이 있었던 적은 없습니다.
이동희님 말씀대로 조사각이 정확하다면 대낮에 뒤에서 라이트를 켠체 정차하고 있는 경우는 야간보다 시야에 덜 부담을 줍니다.
대낮에도 길이 안막히는 시내는 60km/h이상으로 달릴 수 있고, 가장 가장자리 차선에서 갑자기 상위차선으로 끼어드는 차량때문에 놀라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상황에서 라이트를 켠체 운전하면 방어에 아주 효과적입니다.
때문에 대낮 시내에서 분명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동희님 말씀대로 조사각이 정확하다면 대낮에 뒤에서 라이트를 켠체 정차하고 있는 경우는 야간보다 시야에 덜 부담을 줍니다.
대낮에도 길이 안막히는 시내는 60km/h이상으로 달릴 수 있고, 가장 가장자리 차선에서 갑자기 상위차선으로 끼어드는 차량때문에 놀라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상황에서 라이트를 켠체 운전하면 방어에 아주 효과적입니다.
때문에 대낮 시내에서 분명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2006.09.08 09:46:28 (*.55.192.254)

대낮에 라이트를 켠다... 한동안 해보려해도 오래 지켜지지가 않더라구요. 지나치는 수십대 차량중 유독 저만 번쩍거리고 다니니깐 주변 차량들이 또라이처럼 보는거 같기도 하고, ...(서울은 더러 보이던데, 시골은 실수로 켜고다니는줄 아는지...) 저도 계기판과 시계가 어두워지는 셋팅이라, 대낮 햇빛반사광에 식별이 어렵더군요. 그래서, 요즘엔 좀 쏠 때와 고속도로에서만 켭니다. 물론, 조금만 흐리면 거의 첫 빠따로 켜지만...
경찰에서도 의무화하지 않겠다. 조사후 의미있는 사고예방책이면 시행토록 하겠다고 발표한 걸 며칠전 신문에서 봤습니다. 제논라이트 비싸던데, 밤낮으로 켜고 다녀도 오래 쓸까요?
경찰에서도 의무화하지 않겠다. 조사후 의미있는 사고예방책이면 시행토록 하겠다고 발표한 걸 며칠전 신문에서 봤습니다. 제논라이트 비싸던데, 밤낮으로 켜고 다녀도 오래 쓸까요?
2006.09.08 10:48:21 (*.111.201.59)
전조등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더군여...반대의견으로는 모든차들이 전조등을 계속 켜고 다녔을때 단순히 연료소비량이 늘어나는것만이 아니라 환경오염도 그만큼 늘어난다는 것입니다.또한 눈부심으로 인한 사고도 적지않다고 하고요...대책으로는 광량과 전력소비량을 줄인 주간 전조등전용시스템을 따로 만드는거라는 글을 본적이 있고요,상당히 공감했던 부분입니다.
2006.09.08 13:06:10 (*.208.180.70)

저는 평상시에더 전조등 안개등 다 키고 다닙니다..
확실히 사교예방차원에서는 그 효과가 상당한거 같습니다.
좋은 말씀이십니다..^^
저도 항상 주변 지인들께는 꼭 키고 다니라고
강조합니다.^^
확실히 사교예방차원에서는 그 효과가 상당한거 같습니다.
좋은 말씀이십니다..^^
저도 항상 주변 지인들께는 꼭 키고 다니라고
강조합니다.^^
2006.09.08 14:08:44 (*.35.74.87)

미국형이라 제차에 DL 기능으로 늘 켜고 달렸는데 어느날 나이드신 어느분의 차를 따라갔는데 왜 라이트를 켜고 달려오냐며 (건방지게?) 비켜달라는 것 같다고 하시길래...그럴수도 있겠구나 하면서 며칠후에 DL 기능을 선을 짤라버렸던 기억이 있네요...물론 라이트 제일 먼저켜고 낮에는 배틀모드나 빨리 달릴때만 키고 있는데...
2006.09.08 15:34:59 (*.103.106.139)

저도 항상 고속도로나 간선도로에 진입하면 켜는 편이지만. 시내주행에서는 잘 켜지 않습니다. 몇번 켜고 주행하다가 아는 지인분들을 만나면 모두 한결같이 "HID달았다고 자랑하냐?" 이런 얘기만 들었기에..ㅠ_ㅠ 저도 최대한 동참하도록 하겠습니다^^*
2006.09.08 17:34:21 (*.144.176.8)
오늘 회사차량운행하면서 시도해 봤습니다. 약간 날씨가 흐려서인지 전조등까지는 아니어도 미등은 켜고 다니는 차들이 몇몇 보이더군요...습관이 아직 덜 된 탓인지 내릴때 잊어버리고는 그냥 내리게 되더군요...안전밸트도 처음에는 귀찮았지만 지금은 자연스레 매게 됩니다. 전조등도 그렇게 되겠지요...외교번호판을 단 차량들은 전조등 잘켜고 다니더군요...
2006.09.08 17:39:37 (*.6.15.236)

사제 HID도 조사각만 정상이라면 괜찮을 듯 싶네요...
베터리 세이버 기능이 없는 저같은 경우는 깜빡했다가는... OTL
안전벨트는 첨부터 매는 습관이 들어서 오히려 안매면 허전하니 괜찮지만...
실수하지 않게 조심해야겠네요... ^^;;
베터리 세이버 기능이 없는 저같은 경우는 깜빡했다가는... OTL
안전벨트는 첨부터 매는 습관이 들어서 오히려 안매면 허전하니 괜찮지만...
실수하지 않게 조심해야겠네요... ^^;;
2006.09.08 22:58:41 (*.165.95.55)

전조등도 켜다가 미등만 키고다닌지 몇개월 됬습니다. 자꾸 앞차들이 손짓을 해서^^ 불켠게 더 예뻐보여서 그러고 다녔었는데 이렇게 깊은 뜻이 있는줄 몰랐네요~ 친구들에게 전도해야겠네요^^
2006.09.08 23:16:31 (*.10.120.207)

저 역시도 주간에 전조등 켜고 다닌지 어언 2년이 되어 가네요..
개인적으로 주간에 전조등 켜는것에 적극 찬성하고, 아울러 동참하고 있지요~ ^^
본인의 안전.. 나아가 타인의 안전도 보장 되니까요~ ^^
Have a nice weekend~ ^^
개인적으로 주간에 전조등 켜는것에 적극 찬성하고, 아울러 동참하고 있지요~ ^^
본인의 안전.. 나아가 타인의 안전도 보장 되니까요~ ^^
Have a nice weekend~ ^^
2006.09.09 00:29:52 (*.32.114.167)

저도 2년째 키고다닙니다만 친절하신 분들이 참 많더군요. 신호대기하느라 정지한 후 옆에서 빵빵대서 창문 열어보면 '저기요, 불켜졌어요...' 이말 하시는 운전자분들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저번주에도 들었네요ㅠㅠ
2006.09.09 02:51:26 (*.250.26.125)
일단은 데이타임 러닝 라이트를 채택하고 있는 "선진국"이 어떤 나라들인지 그리고 그로 인해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신빙성 있는 데이터가 나온 적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는 제 자신의 보호를 위해 최대한 라이트를 켜는 편이긴 하지만 한국과 같은 상황에서는 남에게 의도하지 않았던 피해(?)를 주는 경우도 생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한속도를 가지고도 여러가지 데이터들이 나온 것이 있고 결국 제한속도가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사고율이 적다라는 데이터들이 상당히 나온 것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데이타임 러닝라이트 채용으로 인한 데이터는 접해본 적이 없군요.
2006.09.09 09:18:19 (*.147.181.188)

(주간전조등의무화 전 대비 후 사고율 감소)
스웨덴: 10-15%, 핀란드: 30%, 노르웨이: 14%, 캐나다: 10-20%,
우리나라: 전국버스공제조합이 2002년 9~12월 4개월동안 소속 차량에 대해 주간 전조등 점등운행을 실시한 결과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4.4%, 사망자수는 23.2%, 부상자수는 5.8% 감소한 것으로 집계
국립환경연구원이 휘발유 승용차를 대상으로 전조등 사용 전·후의 오염물질과 연비에 대해 실험한 결과, 밝은 낮 시간에 한대의 자동차가 1시간 동안 전조등을 켜고 다니면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등 오염물질은 0.02g/km 더 배출되고 연료비는 ℓ당 1350원을 기준했을 때, 135원이 더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율 감소로 인한 편익은 1조원 규모로 분석되는 반면, 연료 추가 소모로 인한 손실 규모는 휘발유차 700만대가 전조등을 켜고 다니는 경우 연료비 10억원대, 오염물질 10톤+대 정도라고 합니다.
'통계의 헛점'에 대해서는 다른 분께서 ...^^;
스웨덴: 10-15%, 핀란드: 30%, 노르웨이: 14%, 캐나다: 10-20%,
우리나라: 전국버스공제조합이 2002년 9~12월 4개월동안 소속 차량에 대해 주간 전조등 점등운행을 실시한 결과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4.4%, 사망자수는 23.2%, 부상자수는 5.8% 감소한 것으로 집계
국립환경연구원이 휘발유 승용차를 대상으로 전조등 사용 전·후의 오염물질과 연비에 대해 실험한 결과, 밝은 낮 시간에 한대의 자동차가 1시간 동안 전조등을 켜고 다니면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등 오염물질은 0.02g/km 더 배출되고 연료비는 ℓ당 1350원을 기준했을 때, 135원이 더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율 감소로 인한 편익은 1조원 규모로 분석되는 반면, 연료 추가 소모로 인한 손실 규모는 휘발유차 700만대가 전조등을 켜고 다니는 경우 연료비 10억원대, 오염물질 10톤+대 정도라고 합니다.
'통계의 헛점'에 대해서는 다른 분께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