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1~8위까지만의 토요일 예선 결과입니다.
1. Raikkonen (McLaren)
2. Michael Schumacher (Ferrari)
3. Heidfeld (BMW Sauber)
4. Massa (Ferrari)
5. Alonso (Renault)
6. Button (Honda)
7. Kubica (BMW Sauber)
8. De la Rosa (McLaren)
알론소는 5위를 했지만 (예선 중 타이어에 펑크가 나 타이어 자체가 부숴졌는데, 이 때문에 우측 후반 에어로다이나믹스 파트 일부도 손상되어 타이어 교체 후에도 어쩔 수 없었을 것입니다) 페라리의 마싸가 알론소가 자신의 예선을 방해하는 행동을 했다고 고발을 해서 본선에서는 10위로 시작하겠습니다. 일요일 레이스에서 페라리가 2점차로 1위인 르노와의 순위를 바꿀 것으로 생각되고 슈마허는 12점 차로 앞서는 알론소와의 격차를 줄일 듯 합니다. 라이코넨은 폴포지션을 차지했지만 맥라렌 메르세데스 머쉰은 성능은 둘째 치고 언제 무슨 이유로 고장날 지 모르므로 우승할 가능성은 많아야 50퍼센트될 듯 합니다. 지난 터키 그랑프리에서도 서스펜션 손상으로 벽을 들이받고 말았습니다.
내일 레이스 전후에 슈마허의 은퇴 여부가 발표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슈마허는 이번 시즌으로 은퇴할 것으로 생각되고 라이코넨과 마싸가 한 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라이코넨은 페라리와 사전계약을 맺었고, 이에 대해 르노의 보스인 Flavio Briatore가 상당히 아쉬워하고 있습니다. 이 양반은 알론소와 라이코넨 모두 갖고 싶어했지만 둘 다 놓쳐버렸습니다.
저는 라이코넨이 2007년 챔피언이 될 것으로 거의 확신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알론소가 맥라렌 머쉰을 몰 것이므로... 또, 무엇보다도 내년엔 브릿지스톤만 팀들에 타이어를 공급하기 때문에, 이전처럼 미쉐린에 비해 종종 낮은 성능을 보이는 브릿지스톤 때문에 페라리가 겪었던 문제가 더이상 없을 것입니다. F1에서는 드라이버, 머쉰과 타이어가 각각 "총성능"의 1/3씩 차지합니다.
한편, 페라리 본사에서 가까운 이몰라 산 마리노 그랑프리를 2007년 F1 스케쥴에 되살리려고 페라리 회장인 루카 디 몬테제몰로가 버니 에클레스턴을 설득하고 있나봅니다.
이탈리아 그랑프리는 한국시간으로 일요일 저녁 8시 30분에, 미국 동부시간으로 아침 7시 30분에 중계됩니다.
p.s. 이 게시판에 사진과 설명을 올리는데 좀 어려움이 있는데, 설명을 붙이려면 "설명첨부 상자"를 이용해야 하는 건지, 사진을 올린 후에 수정을 통해 설명을 붙이는 게 나을 지 모르겠습니다. 테스트를 해봐도 되긴 하지만, 좋은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십시오.
2006.09.10 16:22:40 (*.4.217.117)
F1 Racing이라는 영국의 한 잡지에서는
BMW가 3년안에 탑 팀중 하나로 부상할거라는 예상과함께
그 3년째 되는 해에 자신들을 챔피언으로 만들어줄수 있는 슈마허를
1년간 연봉 1억달러에 영입해서 마지막 해를 자신들과 같이가는 일이
있을수도 있다는 얘기가 나오더군요.
BMW에서도 부인하지 않는 상태였고 슈마허의 매니저인
빌리 베버가 BMW의 고위관계자와 만나는 사진도 포착되고
뭔가 있긴 있는 모양이었습니다.
어제 퀄리파잉에서 알론소가 별로 잘못한게 없어 보였는데
스튜어드들의 결정은 좀 의외였습니다.
어쨋든 슈마허가 챔피언쉽 포인트 격차를 줄일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오게 되었네요.
아침에 일어나보면 이미 경기가 끝나있겠네요....
ps 사진과 설명을 올리시려면 차라리 'HTML포맷으로 작성하기' 를 선택하시고
사진을 링크해오셔서 밑에다 설명 쓰시는게 가장 편한 방법일듯 싶습니다.
사진이 하드드라이브에 있는거라면 계정하나 만드셔서
(photobucket 같은것은 공짜입니다) 거기서 링크따오시는것도 괜찮은거 같구요. ^^
BMW가 3년안에 탑 팀중 하나로 부상할거라는 예상과함께
그 3년째 되는 해에 자신들을 챔피언으로 만들어줄수 있는 슈마허를
1년간 연봉 1억달러에 영입해서 마지막 해를 자신들과 같이가는 일이
있을수도 있다는 얘기가 나오더군요.
BMW에서도 부인하지 않는 상태였고 슈마허의 매니저인
빌리 베버가 BMW의 고위관계자와 만나는 사진도 포착되고
뭔가 있긴 있는 모양이었습니다.
어제 퀄리파잉에서 알론소가 별로 잘못한게 없어 보였는데
스튜어드들의 결정은 좀 의외였습니다.
어쨋든 슈마허가 챔피언쉽 포인트 격차를 줄일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오게 되었네요.
아침에 일어나보면 이미 경기가 끝나있겠네요....
ps 사진과 설명을 올리시려면 차라리 'HTML포맷으로 작성하기' 를 선택하시고
사진을 링크해오셔서 밑에다 설명 쓰시는게 가장 편한 방법일듯 싶습니다.
사진이 하드드라이브에 있는거라면 계정하나 만드셔서
(photobucket 같은것은 공짜입니다) 거기서 링크따오시는것도 괜찮은거 같구요. ^^
2006.09.11 00:46:05 (*.50.112.47)

페라리의 F1부분뿐아니라..생산부분의 수퍼바이져역활에 대한 슈마허의 관심과 페라리측의 교감도 2~3년전에 무성했었는데, 은퇴후 미하엘슈마허의 거취가 궁금해지는군요. 자신의 F1인생에 있어서 가장 큰 영광의 순간들을 같이한 팀인데다가, 스스로도 강력한 호감을 피력한 팀인지라....그리고 프랑스업체에서 실력을 인정받은 루키들은 독일또는 이탈리아업체로 옮기는게 정석처럼 보이는군요. 마지막으로 두어시즌동안 페라리의 발목을 잡던 요인중 하나였던 타이어업체가 단일화 된다는 소식은(하향평준화인가요?--;) 페라리팬으로서 반가워 해야할 소식같군요. 내년에는 맘편히 월요일 아침을 맞이할 수 있겠습니다. (최근 2년간은 레이스캘린더상 경주가 있는 당일과 그 다음날인 월요일은 F1.com들어가는게 두려웠었으니까요..)
2006.09.11 01:56:14 (*.4.217.117)
결국 은퇴한다고 발표를 했네요.... 내심 아쉽지만...
계속 페라리에서 일할거라고 하니 내년부터 어떤 일을 하게될지 상당히 궁금해지는군요..
이번 시즌이 마지막이니 꼭 챔피언쉽 따고 좋게 은퇴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계속 페라리에서 일할거라고 하니 내년부터 어떤 일을 하게될지 상당히 궁금해지는군요..
이번 시즌이 마지막이니 꼭 챔피언쉽 따고 좋게 은퇴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2006.09.11 04:37:40 (*.68.79.151)

슈마허는 모터레이스 사상 가장 우수한 몇몇 드라이버들 중 하나이지만 (한편 자끄 빌르너브는 저번에 은퇴 후 어느 인터뷰에서 금년 모나코 그랑프리 예선에 있었던 일(슈마허가 고의적으로 서킷에 차를 멈춰서 알론소의 예선을 (아마도 고의적으로) 방해한 것)을 들면서 슈마허를 "사람들에게 잊혀질" 레이서라고 평했습니다) F1을 위해서는 슈마허가 은퇴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됩니다. 슈마허가 직간접적으로 좌지우지하는 것도 많고, 이 덕에 팀들 또는 레이서들이 받는 스트레스과 갈등이 훤히 보이고, 이걸 보는 저같은 팬들도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 있습니다. 더불어 갖가지 음모론도 나돌죠 (르노의 매스댐퍼 불법화에 관한 음모론도 있습니다). 하지만, 슈마허의 오늘 레이스 후 인터뷰를 보니 저도 약간 뭔가 쓸쓸한(?) 생각이 들더군요.
오늘 페라리 보스인 몬테제몰로가, 슈마허의 은퇴결정이 몇 주 전에 내려졌다고 했습니다. 이것이 라이코넨의 선계약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만, 어쨌건 오늘 1, 2위로 레이스를 시작한 라이코넨과 슈마허가 달리며 무슨 생각을 했는지 궁금했습니다. 둘이 경쟁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은 것에 대한 궁금함도 들었습니다. 일부로 그랬다고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둘 정도의 실력이라면 머쉰에 문제가 없는 한 트랙에서 추월하려고 무리를 하는 것보다는 핏 스탑 전략으로 순위를 바꾸는게 더 현명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재미있는 건 르노의 매스 댐퍼를 FIA에 문제 제기한 것은 맥라렌이었습니다. 이 덕에 알론소가 곤란을 겪고 있는데, 알론소는 맥라렌으로 옮기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르노가 작년부터 써온 매스 댐퍼를 FIA가 이제서야 불법화한 것은 의문스런 면이 있습니다. 심지어 F1 대빵인 버니 에클레스턴도 FIA의 뒤늦은 불법화 결정을 이해하기 힘들다고 했구요. 개인적으로는 매스 댐퍼가 공기역학적 측면에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은 잘 모르겠습니다. 이 부분은 (비록 매스 댐퍼가 서스펜션의 일부가 아니라도) 서스펜션 설계를 공부한 분들이 알 수 있을 것 같은데, 저는 매스 댐퍼가 공기역학적 측면에서 영향을 미친다면 서스펜션이나 그 일부인 댐퍼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 페라리 보스인 몬테제몰로가, 슈마허의 은퇴결정이 몇 주 전에 내려졌다고 했습니다. 이것이 라이코넨의 선계약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만, 어쨌건 오늘 1, 2위로 레이스를 시작한 라이코넨과 슈마허가 달리며 무슨 생각을 했는지 궁금했습니다. 둘이 경쟁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은 것에 대한 궁금함도 들었습니다. 일부로 그랬다고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둘 정도의 실력이라면 머쉰에 문제가 없는 한 트랙에서 추월하려고 무리를 하는 것보다는 핏 스탑 전략으로 순위를 바꾸는게 더 현명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재미있는 건 르노의 매스 댐퍼를 FIA에 문제 제기한 것은 맥라렌이었습니다. 이 덕에 알론소가 곤란을 겪고 있는데, 알론소는 맥라렌으로 옮기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르노가 작년부터 써온 매스 댐퍼를 FIA가 이제서야 불법화한 것은 의문스런 면이 있습니다. 심지어 F1 대빵인 버니 에클레스턴도 FIA의 뒤늦은 불법화 결정을 이해하기 힘들다고 했구요. 개인적으로는 매스 댐퍼가 공기역학적 측면에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은 잘 모르겠습니다. 이 부분은 (비록 매스 댐퍼가 서스펜션의 일부가 아니라도) 서스펜션 설계를 공부한 분들이 알 수 있을 것 같은데, 저는 매스 댐퍼가 공기역학적 측면에서 영향을 미친다면 서스펜션이나 그 일부인 댐퍼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