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짤방은 파란색으로 투명하게 다 들여다 보여서 외계인눈깔 같았던 말티즈 눈깔)
주간 전조등... 꼭 함께 하고 싶은 캠패인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가끔, 하고 싶어도 할수 없는 상황을 만나는 자신의 현실이 슬플때가 있습니다.
저는 안개등 스위치를 항상 on에 둡니다. 그냥 습관중 하나인데, 검검히 생각해보니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인것 같습니다.
o. 그렇게두면 미등만 켜면 안개등도 같이 켜지기 때문.
o. 시골 국도나 농로를 달리는 경우가 많은데 전조등만으론 뭔가 부족하고, 안개등을 켜면 가까운 노면과 전방 측면이 약간 잘보여서 길에서 튀어나오는 고라니나 오소리, 너구리 등을 잘 볼 수 있음. (잘 죽여서 따끈하게 고객한테 가따주면, 아주 좋아라들 하시는게, 거 아주 쏠쏠혀)
o. 동료나 상사, 고객분의 차를 따라가는 상황에서 미등까지만 켜면 안개등 덕분에 어둡진 않고 앞차의 시각을 피곤하게 하지 않을 수 있는 수준이라 좋음.
o. 안개등을 켤까말까 고민하기 귀찮으므로 걍 항상 켜있다고 생각하기로;;;
주간 전조등의 경우, 혼자 가고 있을때, 그리고 조금이라도 날씨가 흐릴때에 미등까지만 켜고 다니는 (즉 안개등까지만 켜기) 편으로 캠패인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고 싶어도 할수가 없을 때가 있다는거어~;
저에게의 현실은 이렇습니다. 혼자가 아니라 동료나 상사, 고객분들과 함께 갈때에는 주간 전조등을 하지 않습니다. 으례 그래 해왔는데, 곰곰히 생각해보니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인것 같습니다.
o. 연비가 떨어지기 때문 -> 업무중 유대는 경비처리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이런식으로 회사돈을 낭비해?" 라고 오해받을 수 있음.
o. 전조등(안개등) 수명이 짧아지거나 흐려질 수 있기 때문 -> 차량 운행 시간과 거리 규모가 크다보니, 타이어나 와이퍼나 전조등 가는 값도 무시 못한다는...
o. 나이 드신 분들 중에서는 전조등을 켜고 다니는 차에 선입관이 있는 경우가 있음. 예를 들어, 장군이나 장관급, 국회의원들이 낮에도 켜고 다녔다고 하여, 전조등을 켜면 엄하게 생각하거나 나쁜 느낌을 갖는 경우가 있음.
o. 어떻게든 유별난 놈 되면 좋을 것이 없는 상황도 있기에...
그런데, 중요한건, 낮에 차를 혼자 타고 다니는 경우가 별로 거의 없다는 것.
그래서 저는 주간 전조등을 거의 하지 못합니다. 구름낀날에 안개등 켜는 정도로 만족합니다. (같이 있는 사람한텐 미등만 켠것인 척;;;; )
2006.09.13 23:17:05 (*.108.15.32)
앞차는 전조등보다 안개등이 눈을 더 자극하게 됩니다. 앞차를 위하신다면 전조등만 켜주시는게 낫습니다. 안개등 전조등보다 빛의 확산이 잘 되기 때문에 안개가 낀날 효과가 좋습니다.
2006.09.14 00:50:12 (*.232.120.22)

주간전조등키기는 좋은 캠페인이라 생각되오나..
높은 차들(suv)이 밤엔 말할것도 없고 낮에도 전조등을 hid로 바꿔 키고달리는 차 앞에서 운전하고 있으면 상당히 눈이 아프던데.. 그런분들은 더 위험하게 느껴져요..ㅡ.,ㅡ
높은 차들(suv)이 밤엔 말할것도 없고 낮에도 전조등을 hid로 바꿔 키고달리는 차 앞에서 운전하고 있으면 상당히 눈이 아프던데.. 그런분들은 더 위험하게 느껴져요..ㅡ.,ㅡ
2006.09.14 01:10:40 (*.148.24.230)

리플 감사합니다.
저의 경우는, 안개등을 항상 키고 다니다보니 안개등이 많이 약해졌습니다만 ^^;;
앞으로도 주간전조등 캠패인을 안개등으로 계속 참여하려고 합니다.
저의 경우는, 안개등을 항상 키고 다니다보니 안개등이 많이 약해졌습니다만 ^^;;
앞으로도 주간전조등 캠패인을 안개등으로 계속 참여하려고 합니다.
2006.09.14 01:23:45 (*.145.76.171)

전조등을 켜는건..국내 법규상 주간에는 비상시 이용토록 되어있던걸로 기억하는데.. 86면허라 그땐 그랬습니다. 저는 평상시 구름만 살짝껴도 미등+안개등을 켜는데..그 정도가 자연스럽지않나란 생각이 듭니다. 권영주님 의견을 듣고 싶네요..
2006.09.14 02:04:06 (*.184.41.164)

요즘엔 주간전조등켜기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택시나, 버스등이 그렇지요. 특히 택시를 보시면 운동 스티커를 붙인 차량도 보입니다 ^^
2006.09.14 03:43:02 (*.48.45.92)

참고 하시라고 한말씀 드리면, 제 입장에서는, suv 의 hid 나, 조사각 안맞춘 하향등 운전자들, 그리고 안개등 키고 주행하시는 분들이 저에겐 가장 피해가 되곤 합니다. 이유는 suv 는 높으니까 뒤에 붙으면 어쩔 수 없다는건 잘 아시겠고, 조사각 역시 이해가 쉬우실테고, 안개등의 경우는 조사각이 존재하지 않고 방향성 없이 아래나 위로 모두 퍼져가기 때문입니다. 앞에서 보나 뒤에있는 차량을 백미러로 보나 언제나 눈부십니다. 특히 쌩쌩한 전구의 안개등. ㅠㅠ 전조등(하향등)처럼 전구 앞에 삿갓이 있어서 위로 가는 빛은 막아주지 못하니까요.
저도 전조등을 키는 것에 대해서 교통 사고율을 줄인다는데에는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만, 이익렬님이 자연스럽게 생각하시는 정도도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는 가끔 빨리 가고자 할때 낮에도 하향등을 키는 편입니다. 남에게 나의 존재를 알리고 싶기 때문이죠.
저도 전조등을 키는 것에 대해서 교통 사고율을 줄인다는데에는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만, 이익렬님이 자연스럽게 생각하시는 정도도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는 가끔 빨리 가고자 할때 낮에도 하향등을 키는 편입니다. 남에게 나의 존재를 알리고 싶기 때문이죠.
2006.09.14 10:24:53 (*.239.40.100)

제 생각에도 안개등이 오히려 앞차나 대항차를 피곤하게 한다고 생각합니다. 방향성이 없어서 조사각과 상관없이 사방의 눈을 자극하더라구요. 그리고 제 생각에는 연비에 끼치는 영향과 전조등 수명에 관한 것은, 트렁크에 안쓰는 세차도구나 짐 가득 싣고 다니고, 타이어 공기압은 1년에 한번 신경쓸까 말까하는 대부분의 운전자들이나 연비나 바람소리에 도움될 것 없는 선바이저나 도어가드 범퍼가드 등이 필수용품처럼 마트에서 팔려나가는 우리나라 현실과 너무나도 안맞는 얘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식으로 따질거면 달리다 창문 열기도 어렵죠. 먼지들어오고 연비떨어지잖아요. 제 생각에는 잃는 것보다 얻는게 훨씬 많은 것이 전조등 켜기라고 생각합니다. 마치 땀 뻘뻘 흘리느니 에어콘을 켜고 주행하듯이..
2006.09.14 10:39:22 (*.165.137.209)

항상 궁금한 것이 하나 있는데 (전에 질답란에 질문한적도 있었으나, 시원하지가;;; )
o. 자동차의 제네레이터에서 잉여전력이 있을정도까지 공급이 충분하다면
o. 라이트 껐다고 그만큼 제네레이터가 덜 돌아가지 않는다면.
라이트 켜는 것은 연비에 별 영향을 안주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 메카닉을 잘 몰라서 이거 과연 어떤게 정답인지 항상 궁금합니다. 에랏, QnA에 따로 질문할테닷. (그쪽에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o. 자동차의 제네레이터에서 잉여전력이 있을정도까지 공급이 충분하다면
o. 라이트 껐다고 그만큼 제네레이터가 덜 돌아가지 않는다면.
라이트 켜는 것은 연비에 별 영향을 안주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 메카닉을 잘 몰라서 이거 과연 어떤게 정답인지 항상 궁금합니다. 에랏, QnA에 따로 질문할테닷. (그쪽에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2006.09.14 11:16:44 (*.219.0.69)

어차피 제너레이터는 엔진이 켜져있다면 계속 돌아갑니다. 단지 규정 전압 이하로 내려갔을 때 내부에서 발전 과정을 거치면서 부하가 조금 더 올라가는 정도겠죠. 그게 연비에 영향을 미친다... 이건 아니라고 봅니다.
전에 어딘가 기사로 라이트를 켜고 다니는 것이 연비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이런건 실험실에서 돌리지 않는 한 검증되지는 않을 것 같네요.
전에 어딘가 기사로 라이트를 켜고 다니는 것이 연비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이런건 실험실에서 돌리지 않는 한 검증되지는 않을 것 같네요.
2006.09.14 14:21:24 (*.75.249.215)

라이트키면 하루에 3백원정도의 기름값이 더든다고 본거같네요 ^^
3백원 저와 다른사람을위해 쓰는샘치고 전 켜고다닌답니다
3백원 저와 다른사람을위해 쓰는샘치고 전 켜고다닌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