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얼마 전 일본의 우회전 신호체계에 대하여 말씀드렸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하게 적용할 모양입니다.

물론 차량 흐름에 맞게 알아서 빠져나가는 건 허용하지 않겠지만요..

아래 기사 원문입니다.

-------------------------------------------------------------------------------------------------------------------------------------------------------------

 

%C1%C2~1.JPG

좌회전 차로에 차가 몰려 직진 차량까지 소통에 방해를 받는 교차로 정체 현상이 한층 완화될 전망이다.

 

경찰이 교차로 정지선 안쪽까지 좌회전 차량 전용 대기공간(그림)을 만들어 오는 8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경찰청은 이 같은 내용의 좌회전 유도차로를 신설하는 내용의 도로교통법 시행령 개정안을 28일 입법예고했다.

 

현재 모든 차량은 교차로 정지선 밖에서 대기하다가 신호가 떨 어지면 이동하게 돼 있다.

 

이 과정에서 좌회전 차량 수요가 많은 교차로의 경우 교차로 진입 전 10~20m에 달하는 좌회전 포켓차로가 좌회전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직진 차량과 뒤엉키는 병목 현상이 발생해왔다.

 

특히 올해 교통신호 체계가 기존 '좌회전 후 직진'에서 '직진 후 좌회전'으로 바뀌면서 서울 교대역 교차로 등 일부 구간은 정체가 더욱 심해졌다. 직진 신호가 떨어져도 1차로에서 꿈쩍하지 않는 좌회전 차량들 때문에 1차로에 있던 직진 차량이 2차로로 무리하게 끼어드는 등 접촉사고 위험까지 가중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경찰청은 1차로 정지선 안쪽까지 수m의 좌회전 전용 별도 대기공간을 만들어 좌회전 차량 소통량을 높일 계획이다.

빨간 신호에서는 모든 차량이 정지선 바깥쪽에 대기하다가 직진 신호가 떨어지면 좌회전 차량은 교차로 안쪽에 마련된 대기공간에 진입하는 방식이다.

 

직진 신호에서 좌회전 차량이 교차로 내부로 수m 이동하는 만큼 좌회전 포켓차로가 자동적으로 늘어나는 효과가 발생하는 것. 뿐만 아니라 대기공간에 미리 진입한 선두 차량들의 좌회전 거리가 단축되면서 좌회전 신호 동안 통과할 수 있는 차량 수도 많아진다.

 

단, 좌회전 대기공간이 꼬리물기 식으로 다른 방면의 교차로 통과 차량을 방해할 수 있는 만큼 적색신호를 전후해 반드시 정지선에 대기하고 있다가 직진 신호가 떨어져야 비로소 대기차로로 진입할 수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시행에 앞서 좌회전 유도차로에 대한 설치기준 등 관련 매뉴얼을 일선에 배포하고 홍보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재철 기자

 

출처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