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깁니다.. ㅋㅋㅋ

인캠을 찍긴 했는데 메모리용량이 가득차서 저장이 안됬어요 T.T;;;

 

날짜: 2010.07.01 (목) 날씨 구름

  -햇빛이 직접 내리쬐진 않으나 상당히 후덥지근했음

참석차량: 김역덕님 & 친구분(영덕님은 직접 운행은 안함)

              nismoZ님(350z)

              열의님(폴테쿱)

              김선준님(젠쿱38)

              절대권력(젠쿱38)

 

총 4타임주행스케줄 나왔으나 마지막타임은 제끼고 3타임만 탔음

 

차량세팅 변화사항 : 브레이크호스교체, 브레이크패드 EBC 블루스텁 새걸로 교체, 로터 M사 340mm 투피스 타공로터(중고)

 

<주행전 연습목표>

1)부드러운주행을 하기 - 트랙경험이 많은 고수들은,  부드러운 주행을 하라 조언해줌

2)최대한 스키드음 안나는 주행을 해볼것 (꼭 빠르게 달리려는게 아니라 트레이닝의 목적도 있음)

   -진입속도, 핸들타각, 악셀량에 초 집중해서 신경쓸것

3)자이언트 언더 해결하기 - 2번과 연계 (도대체 언더의 해결책은?)

4)브레이킹 방법 변환 - 악셀 off->브레이킹 on까지 걸리는 공주거리를 약간 늘려서

           브레이킹 포인트를 정확하게 설정하는데 집중하고, 브레이크 페달 답력조절에 더 신경을 써본다

          (고수분들의 조언에 의해 브레이킹방법 변경테스트)

 

taebaek split.jpg

 

<경과>

1,2차 타임 : 최대한 스키드음을 안내고 타보려 신경씀-

                 코너진입에서 cp점까지 조금더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림

                 순간순간 핸들타각을 풀거나 악셀량을 조절하면서 살살 아기다루듯 주행을 해봄

                 자이언트코너의 스키드음 문제- 최대한 타각을 줄이고 악셀량을 풀면서 살얼음 걷듯 주행해봄

 

       ->하지만 결과는...

 

1st2ndtime.jpg

 

스키드음 없는 주행은 어느정도 도움이 되는것도 있겠지만....

일단 전체적으로 자이언트코너에서 엄청난 손실을 가져다줌(split5)

전체적으로 3번코너 공략(split3)에서는 예전 mmf2차전때보다 0.1~0.23초 정도 단축하는 결과를 보임

 

자이언트가 잘 안되니 코너탈출속도도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직빨종속에서도 상당한 로스를 가져옴

 

물론 타이어도 마모한계선을 다가가고있고,

예전보다 타이어그립이 떨어진것을 느끼는것은 사실임

DSCN8694.JPG

 

단지 지금까지 언더가 심한 주행으로 앞타이어 부담이 크게 되면서

보통 일반적으로는 4~6타임째 베랩을 찍는것과 비교하면

지금까지 나의 주행에선 초반 1~2랩에 빤짝 베랩찍고 그이후엔 랩타임이 계속 저하되는 상황발생 --;

 

2nd 타임 주행이 끝난후,

좌절 상태..

이대로 타이어탓만 하게되는 것인가

그냥 좋은타이어, 그립좋은 타이어 끼우고 랩타임이 빨라지면 만족하면 되는것인가...

지금 상태에서 뽑아낼수 있는 최대의 결과는 무었인가?

지금의 차량 세팅은 완벽한 것이며, 단지 그것을 컨트롤하는 운전자의 문제인 것인가....

 

이때 선준님이 앞타이어 캠버를 보더니 캠버가 너무 적다며 한번 이빠이 넣어보는게 어떻냐 제안함

현재 내차의 캠버는 -1.45도

그것도 현재상태에서 넣을 수 있는 최대값이라했음

 

그러나 선준님은 내차 필로우볼을 보더니...

"되겠네~ 뭐가  안되요?"

 

다음 3rd 주행타임을 기다리면서 즉석에서 앞캠버 넣기 돌입

역시 미캐닉의 피가 흐르는 선준님은, 작키로 차 올리고, 앞쇼바마운트에서 볼트빼고 쇼바를 약간 내린후

뚝딱뚝딱 캠버조절 완료

 

DSCN8691.JPG

 

끝까지 밀어넣은 필로우볼 상태

저기 보이는 육각 볼트 네개의 위치를 이동해 조이고 풀르고를 가능하도록 변경함

대략 몇도가 들어갔는지? 실지수치는 나중에 집에오면서 얼라이집 들려서 확인해본 결과 -2.6도

 

 DSCN8690.JPG

 

간지좀 나나요? ㅋㅋㅋㅋㅋ

사진은 집에오는길 치악휴게소에서 찰칵~

 

갑자기 기대감이 생기며

다음번주행을 위해 준비하면서 아드레날린 급분비!

자~ 이런느낌에 서킷에 오는거야...

뭔가 좋은 결과가 있을꺼같아...

 

마음을 가다듬고 다시 어택!!!

어? 어? 어?

차의 거동이 완전히 틀려졌다

코너에서 줄기차게 울어대던 기분나쁜 끽~~~~~~~~~~~~~~~~~~~~~~~ 언더 스키드음이

끽~ 끽~ 끼리릮~ 단발성으로 바뀌고, 약간의 핸들 소우잉으로 자취를 감춘다

소리자체도 약간 갸냘프고 약한소리로 바뀐듯

 

게다가...

차의 선회력이 몰라보게 달라짐

지금 이 타이어가 마모가 다된 RS2가 맞나????

 

자이언트코너에서 평상시와 같은 cp점에서 풀악셀시에

바깥연석에서 한참 안쪽으로 떨어짐.

차가 코너를 말고 돌아온다는 이야기...

 

앞캠버 네거티브로 많이주는 이유를 어떤 화려한 수식어로 표현하던간에...

간단하게 말해서

전륜 마이너스 캠버의 증가는

(코너에서)전륜 접지력을 늘려준다.

이 한마디로 끝

다른 미사여구 필요없음

 

단지, v12evo와 같은 비교적 low grip타이어의 경우는 오히려 독이될수있을듯 하고

차량의 거동특성에 따라 세팅은 당연히 달라져야함

 

그동안 캠버가 -1.45도까지밖에 못들어가는줄알고

차고조절, 토우값조절, 전후 윤거조절(허브스페이서), 감쇄력조절등 이것저것 다해봤지만

캠버조절이 진리고, 나머진 양념같은 느낌임

 

이전보다 훨씬더 당겨진 cp

taebaek split.jpg

 

코너 중반을 통과하기 전부터 풀악셀을 치면 안쪽연석을 부드럽게 터치하고 바깥연석쪽으로 떨어짐

이부분은 아직 연습이 더 필요함

파란라인은 MMF2차전 웜업주행라인 (1분6초41)

빨간 것이 이번 연습주행라인(1분6초44)

 

타이어마모에 따른 그립력저하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베랩을 뽑아냈으며

또한 ideal lap도 1분6초플랬을 찍음(0.2초 단축)

 

게다가 자이언트 탈출때 비로서 약오버의 성향을 처음 느껴봄

 

laptime_sheet.jpg

 

랩을 보면 알겠지만 7초이하의 랩을 초반에만이 아니라 꾸준히 찍고있음을 알수 있음

MMF2차전의 기록을 기준으로 각 split타임이 얼마나 늦고 빠르고를 보여주는 것인데

확실히 자이언트코너에서 기록단축이 있음

 

언더도 줄고(타이어마모도 적고) 기록도 빨라진 것임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전륜 마이너스 캠버는 전륜의 접지력을 올려줌 ㅋㅋ

 

단... 5번코너는 유일하게 언더로 밀고 나가는 주행법이 빨랐음

이부분은 기존의 주행스타일을 유지할것임

 

공주거리를 늘린(브레이킹시) 주행법은 0.01~0.02초정도의 랩타임손실이 있는데

이것을 손실시켜 더 정확한 브레이킹 포인트를 잡는데 집중하는데 신경써야할것같음

 

브레이크호스&새패드 조합은

같은 브레이크답력에서 훨씬 강한 브레이킹을 보여줌->오히려 타야종그립의 문제로 인한 브레이킹저하가 드러남(ABS작렬)

답력조절에만 더 신경을 쓴다면, 일단 믿을만한 제동성능을 보여준다 판단됨 

 

이상 오늘의 후기를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