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15년된 아반떼 투어링을 타고 어제 진주-성남(분당) 다녀왔습니다.
가는동안에 별 탈 없이 갔는데, 분당에서 일보고, 도로 한켠에 차 세워서 시동 건상태에서 에어컨 키고, 5분정도 통화 후
주행하는데, 차가 말을 탑니다.ㅜㅜ) (현재 오픈필터에 DIY한 격벽)
냉각수 갈아야지 갈아야지 하나가 차일 피일 미뤘더니 잘 알지도 못하는 동네 한복판에서 말을타니 앞이 깜깜 하더군요.
일단 시내 주행 후 고속도로에서 냉각되면 좀 괜찬아 지겠지 하고, 스로틀 개도 30%이상 부터 말타기 하는지라
신갈 휴게소까지 억지로 주행후 휴게소에 주차하고 10분간 쉬었다가 다시 출발...
다행히도 말을 안타더군요. 주행을 하니 냉각수 온도도 조금씩 떨어지는게 보이고, 오늘은 꼭 갈아줘야겠습니다..ㅜㅜ)
고속도로 연비가 에어컨을 항상켜고 다니고 왔는데 13.8Km 나오네요.. 만족스럽습니다~
#신갈에서 나와서 본 렉스턴(뒷 보조범퍼가 한쪽이 아래로 처진)이 천안 부근쯤에서 전복되어있더군요.
hd와 접촉후에 그렇게 되었던거 같던데, 다행이 양쪽 모두 차량만 파손되고 사람들은 크게 다쳐보이지는 않더군요.
역시나 사고 후에 사람들은 차 주위에 그냥 서 있더군요... 사고나면 대피를 해야하는데 말이죠.
그리고 SUV들은 정말 전복이 잘되는듯해요. 이제껏 제가 직접본것이 모두SUV 그것도 쌍용차들만 뒤집어져있었던 기억이...

디젤 엔진이라 많은게 아니고.. 터빈때문에.. 열이 많습니다.
엔진 만 보면 휘발유가 높죠. ^^;
디젤 엔진이 겨울에 예열이 오래 걸리는것은 냉각수 용량과 블록의 두께..등등의 요인이 있습니다.
한겨울에 디젤 같은경우 고속도로 주행 하다보면 엔진열이 1칸이상 내려갈때도 있습니다.

구형아반테는 여름에 아무래도 후드 리프트업 해주면 상당히 열을 덜받습니다...
라지에이터 상단이 막혀있어서 냉각풍 유입이 적어서 인지 엔진룸이 상당히 뜨거운편이죠...
안전에 문제가 많지만 특히 베타엔진 타입은 더욱 심한것 같아요...
제차는 1.5엔진 오토밋션인지라 일찍 후드 리프트업을 해서 무난히 보내고 있네요
전 디젤로 바꾸고 나니 엔진열이 확실히 휘발유보단 적더라구요. 엔진룸 열기가 확실히 줄어든 느낌. 대신 겨울에는 예열에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죠. 쌍용 SUV 들이 무게 중심이 높은지 전복 사고가 유난히 많은듯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