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영국 언론, 기아자동차 '씨드' 호평
런던=연합뉴스
입력 : 2006.12.09 07:37 / 수정 : 2006.12.10 19:19
기아자동차의 신형 자동차 '씨드(Cee'd)'가 유럽인들의 취향을 잘 살린 유럽 스타일 자동차로 손색이 없다고 더 타임스 신문이 8일 호평했다.
씨드 유럽기자단 시승회에 참석한 더 타임스 기자는 시승기를 통해 기아가 유럽적인 자동차를 만드는 데 성공했으며, 포드와 폭스바겐의 유사 차종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기아는 까다로운 유럽 자동차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씨드의 개발에 11억유로가 넘는 돈을 투자했다.
일례로 미국 운전자들은 직접적인 통풍을 원하는 반면 유럽인들은 온도 조절시 미묘하고 순환하는 방식을 더 선호한다.
유럽인들은 또 한국인이나 미국인에 비해 활동적인 운전 스타일을 갖고 있고, 이를 위해 자동차 운전석과 운전대를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기를 원한다.
디젤 파워가 유럽에서는 중요하지만, 다른 시장에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외양을 보면 씨드는 일본의 혼다나 도요타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접합과 마무리가 아주 잘 돼 있다고 타임스는 말했다.
도로 위에서 직접 운전을 해보면, 운전대에서 아주 알맞게 중량감이 느껴진다는 점에서 진짜 놀라우며, 정말 유럽 자동차처럼 느껴진다고 더 타임스는 말했다.
시승감으로 보면 같은 급 자동차 중 최상이라고 타임스는 말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유럽 소비자들을 유혹하기에 충분치 않다고 생각한 기아는 7년 혹은 10만마일이라는 파격적인 보증기간을 제시하고 있다고 타임스는 말했다.
기아는 슬로바키아 질리나에 건설한 새 공장에서 이 차를 생산, 내년 2월부터 시판에 들어갈 예정이다. 유럽연합은 기아의 최대 수출시장이며, 연간 해외 판매량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2006.12.11 20:26:16 (*.217.7.230)

음...Cee'd 볼수록 괜찮은 해치백 입니다. 유럽전략형 차종인만큼 차체강성이라던지 핸들링의 느낌도 매니어들의 환영을 받을것 같습니다. 국내에 출시되지 않는다는게 좀 아쉽긴 합니다.
2006.12.11 20:48:43 (*.96.191.170)

소형급에 해당하는 차종을 엄청난 투자를 가능하게 하는 환경이 부럽습니다. 씨드란 차종을 인정해주고 사가는 유럽사람들의 마인드가 없으면 불가능한 결정이겠죠?
2006.12.11 23:12:58 (*.6.98.234)

아...
멋지다...
라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들었구요...
(좋은 자료 잘봤습니다.. ^^)
정말이지 국내로 수입(?)해들여오고 싶네요...
방법이 생기겠죠?
국산메이커를 수입해서 와서 수입차처럼 타고 다니는...
디젤 2.0이 궁금하네요...
TDI와 경쟁할 수 있겠죠?(희망사항? ^^;; 화이팅입니다...)
멋지다...
라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들었구요...
(좋은 자료 잘봤습니다.. ^^)
정말이지 국내로 수입(?)해들여오고 싶네요...
방법이 생기겠죠?
국산메이커를 수입해서 와서 수입차처럼 타고 다니는...
디젤 2.0이 궁금하네요...
TDI와 경쟁할 수 있겠죠?(희망사항? ^^;; 화이팅입니다...)
2006.12.11 23:53:54 (*.243.246.23)

기아는 까다로운 유럽 자동차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씨드의 개발에 11억유로가 넘는 돈을 투자 하면서 왜 비슷하게 까다로운 우리 한국사람 들에게는 안파냐구요..-_-;;
2006.12.12 00:03:33 (*.220.89.19)

7년 16만 키로면 진짜 차 살만하네요.
보증기간만 지나면 여기저기 손볼곳 생기는 우리나라 현실에선(외제건 국산이건 가릴것 없이) 정말 부럽군요.
보증기간만 지나면 여기저기 손볼곳 생기는 우리나라 현실에선(외제건 국산이건 가릴것 없이) 정말 부럽군요.
2006.12.12 00:56:57 (*.60.148.124)

기아는 Cee'd에 200마력급 2.0고성능 엔진을 얹고 GTI와 겨룰 예정이라는 소식이 요즘 인터넷에 돌고 있는데, 진짜인지 누가 지어낸것인지 알 길이 없네요. 만약 그렇게만 된다면, 대단히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겠지요. 탑기어에서 Cee'd, GTI, Focus RS등이 출연하는 '핫 해치 대전'과 같은 프로그램을 보게 될 날을 기대해 봅니다.
2006.12.12 01:52:59 (*.94.170.114)

얼마전 저희 아파트 주차장에 주차되어 있던 Cee'd를 자세히 들여다 볼 기회가 있었는데.... 사진을 찍고 싶었지만 왠지 도의적으로 안될 것 같다는 생각에 못 찍었습니다. ㅠ,ㅠ 하지만 머릿속에 기억된 모습은 정말 세라토 해치백에서 왠지 모를 느꼈던 비례적인 위화감은 멀리 날아가버리고, 프라이드 해치백에서 느꼈던 귀엽다란 느낌에서 뭔가 한단계 올라선.. 기아의 앰블럼이 보이지 않는다면.. 정말 기아차라고 상상할 수 없겠다는 생각이.. 잘 만들었습니다만 우리나라에서도 판매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은 지울수 없군요.. 으으~ 더군다나 핫해치라.. 으읔~ 골프의 판매량을 보면.. 가능성도 있어보이기는 합니다만... 그 정도로는 안되는 건가요? ㅠ,ㅠ
2006.12.12 07:31:48 (*.4.224.8)

오늘 둘째수업 선생님께서 두대째 프라이드를 몰고 있다던 소식에 이어
또다른 좋은 소식이군요.
값싸고 품질 괜찮은데다 개런티까지 길어서 한국차들 인기가 괜찮더군요.
터키, 이탈리아, 중국 친구들이 다 한국차 좋게 생각합니다.
의례적인건가..-_-;;
현대가 무역수지에서 도움을 주는건 좋게 생각하지만
근데 전 현대가 WRC에서 손뗀거랑 가격정책때문에 안좋게 생각한다고 했더니
이양반들 오히려 이해 못하더군요.
관점차이인거 같습니다.
대신에 일본인 환자 아저씨는 이해하더군요..
얼마전에 현대가 F1에 참가한다는 루머를 본 것 같은데 제발 현실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또다른 좋은 소식이군요.
값싸고 품질 괜찮은데다 개런티까지 길어서 한국차들 인기가 괜찮더군요.
터키, 이탈리아, 중국 친구들이 다 한국차 좋게 생각합니다.
의례적인건가..-_-;;
현대가 무역수지에서 도움을 주는건 좋게 생각하지만
근데 전 현대가 WRC에서 손뗀거랑 가격정책때문에 안좋게 생각한다고 했더니
이양반들 오히려 이해 못하더군요.
관점차이인거 같습니다.
대신에 일본인 환자 아저씨는 이해하더군요..
얼마전에 현대가 F1에 참가한다는 루머를 본 것 같은데 제발 현실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2006.12.12 07:52:25 (*.96.191.170)

씨드가 국내에 들어 온다면 문제점이 많습니다. 유로피언 스타일의 그것을 그대로 들여올경우 승차감이 나쁘다니 핸들이 무겁다니 에어컨바람이 약하다니 이상한 소리가 나올게 뻔합니다. 그런불만으로 인해서 씨드를 국내차 취향으로 만들어봤자 안팔릴거 뻔합니다. 우리나라 대기업이 유로피언 스타일을 좋아하는 소수오너들을 위해서 유럽 스타일로 만든 씨드를 우리나라에 판매할 계획은 0%라고 생각 됩니다.
2006.12.12 15:35:50 (*.35.74.68)

현대보다 기아쪽이 브랜드 캐릭터 만들기는 유리한 편이죠. 시드가 아마 유럽에서는 기아 브랜드 이미지 정립의 기폭제가 되지 싶습니다.
2006.12.12 15:58:00 (*.108.72.34)

뭐 한쪽에 편중된 기형적 차종 선호도를 가지고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인 우리나라에서 대중성이없는 차를 팔지 않는것은 기업의 입장으로서의 이해는 가지만 그래도 아쉽군요. 거의 독점기업의 위치에 서있다 생각되는 현대/기아 가 항상 그나물에 그밥인, 안정적으로 잘팔리는 지극히 밋밋한 차만 팔아 이익만 내려고 하는건 좀.. 슬로바키아 에서 생산된 차량을 국내에 판매하는것이 운송비용 등이 많이 들어갈까요? 지금의 국산차 가격이라면 들여와 주어도 좋으리라 생각합니다만...암튼 여러가지 이유를 떠나 아쉬움만 남는군요.
2006.12.12 21:16:42 (*.249.174.143)

국내에도 나옵니다 걱정 붙들어 메세요 다만 한국사양이겠지만...,,ㅡㅡ;
2.0 디젤은 안나올껄요 ...나오면 좋겠지만....
2.0 디젤은 안나올껄요 ...나오면 좋겠지만....
2006.12.12 22:46:19 (*.217.7.230)

임대현님 씨드는 5도어, 5도어 웨건, 3도어(스포츠사양포함)의 3가지 바디 스타일이 순차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대현님 국내에선 기아 씨드가 아니라, 같은 바디를 사용하는 현대의 아네즈가 나온다고 들었습니다! 대현님이 많아 헷갈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