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 HD 2.0 MT 를 국내 첫차로 출고받아 타고 나니는 후배가 있습니다..
워낙 희귀하다 보니 주변 튜닝샾, 미케닉분들이 신기한듯 보시더군요..^.^

얼마전에 튠진이라는 인터넷 자동차 메거진에도 올라왔던 바로 그 차가..
현대 혁신개발팀이라고 불리우는 INCUS 의 HD 튜닝 서스를  장착하였습니다..

위 사진의 차입니다... 이번달 탑기어 잡지에도 소개된 한국의 AMG 를 꿈꾼다는 현대 "INCUS" 에서 개발한 스포츠 서스를 장착하고.

ECU 멥핑까지 한 공도에서 흔히 볼수없는 HD X20 차종입니다. 승차감도 많이 손해보지 않으면서 너무 껑충 하던 HD 의 차고를 낮춰주며 코너에서의 움직임이 훨씬 민첨해졌더군요... 서킷 들어가면 상당히 빠른 랩타임을 기록할거 같습니다..^.^
ECU 멥핑을 하기위해 다이나모를 돌리는 과정 중 신기한 현상이 나타나 글을 올립니다..

일단 5000km 당시 아집 EXTRA HTS 5W40 을 넣은 상태로 다이나모를 돌려 나타난결과는 이렇습니다.3번째 그래프입니다. 투스카니 보다 좋은 결과군요..흐흑

고출력 112.1 최대토크 16.4 를 확인할수있습니다.
그후 약 3500km 주행후..어제 동일 기계로 측정을 해보았습니다..

근데 이상한 결과가 나오네요.. 최고출력이 105마력 까지 떨어지게 나타납니다..[ 아래 그래프중 빨간 실선입니다.] 머가 문제일까 싶어서..테스터기를 물려보니 VVT 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다고 하네요.. 그래서 바로 그 자리에서 오일을 모튤 2100 10W40 으로 교환..

그후에 측정해보니 113마력 까지 다시 정상적으로 출력이 나오는걸 확인했습니다..

네번째 그래프입니다.. 맨 아래 빨간 곡선이 오일 교환 전의 출력 곡선입니다.

가운데 그래프는 노멀상태의 출력 곡선.. 가장 상위 그래프가 ECU 튠 후의 출력 곡선이구요..
그 동안 VVT 가 오일을 가린다는 '썰'을 여기저기서 들어왔습니다.. 오일압으로 움직이는 구조라고 하더군요..

일단 위의 그래프로 오일 상태에 따른 출력 변화를 눈으로 확인할수 있어서 너무 놀랐구요..

다이나모를 측정한 곳에서는 VVT 는 10W40 이 적당하다고 하더군요...경험에서 나오는 말 같았습니다..
그러면서 VVT 의 이상을 측정할수 있는 다이나모 기계방식은 롤 방식이 아닌 휠에 기계를 장착해서 부하를 걸어줄때 측정이 가능하다는 말까지 더해가며요..
하지만 그자리에서는 그런가보다 했는데 계속 생각해보니 2가지 의문이 생기더군요..



** 의문점 #1

1차 시기 [5000km 주행 오일: 아집 EXTRA HTS 5W40] 에서 보였던 112마력의 최고출력과 16.4의 최대토크가..

2차 시기오일 교환후 [모튤 2100 10W40] 에 보여줬던 113마력의 최고출력과 거의 차이가 없는데 VVT에 적당한 오일점도가 있다는걸 확신할수 있는가...

제 생각에는 같은 조건에서 신품의 오일을 각각 넣어보며 비교해보지 않는 이상 VVT 에 가장 잘 맞는 오일의 점도를 말하기는 힘들지 않나 싶네요.. 도대체 이해가 안갑니다..요즘은 아니지만 몇년 전만해도 대부분 차량에 올라갔던 베타 엔진이 오일을 민감하게 가린다는건 ㅡ,.ㅡ 오너는 체감상 출력차이는 느끼기 힘들겠지만요..물론 여러 차를 다뤄보면서 얻은 경험에서 말한것이니 어느정도는 설득력 있는 말이라고 생각되긴합니다만..

엔진 오일의 점도와 컨디션에 따라 출력이 변하는걸 보며 오일에 따른 출력변화가 분명 존재한다는 놀라운 사실이었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5W40 에서 10W40으로 다른 점도의 오일을 넣어서 나온 결과라고 말하기에는 힘들지 않나 싶네요


** 의문점 #2

1L 에 15000원 하는 아집 합성유 오일이 어떻게 3500km 주행후 출력하강이 그래프로 나타날 만큼 성질이 변할수 있는지..

오일을 교환하게 된 이유가 오일의 점도가 변질되었다는 추측에서 교환을 하였는데.. 교환하자 바로 출력이 되돌아오는걸 확인했습니다.
이로써 출력 하강의 원인이 오일 상태에서 비롯됬다는게 확인되었구요..

다이나모를 통해 수치를 눈으로 확인하니..이런저런 새로운 사실도 알게되고 궁금증도 많아져 글 올려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