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주변에 HD 2.0 MT 를 국내 첫차로 출고받아 타고 나니는 후배가 있습니다..
워낙 희귀하다 보니 주변 튜닝샾, 미케닉분들이 신기한듯 보시더군요..^.^
얼마전에 튠진이라는 인터넷 자동차 메거진에도 올라왔던 바로 그 차가..
현대 혁신개발팀이라고 불리우는 INCUS 의 HD 튜닝 서스를 장착하였습니다..
위 사진의 차입니다... 이번달 탑기어 잡지에도 소개된 한국의 AMG 를 꿈꾼다는 현대 "INCUS" 에서 개발한 스포츠 서스를 장착하고.
ECU 멥핑까지 한 공도에서 흔히 볼수없는 HD X20 차종입니다. 승차감도 많이 손해보지 않으면서 너무 껑충 하던 HD 의 차고를 낮춰주며 코너에서의 움직임이 훨씬 민첨해졌더군요... 서킷 들어가면 상당히 빠른 랩타임을 기록할거 같습니다..^.^
ECU 멥핑을 하기위해 다이나모를 돌리는 과정 중 신기한 현상이 나타나 글을 올립니다..
일단 5000km 당시 아집 EXTRA HTS 5W40 을 넣은 상태로 다이나모를 돌려 나타난결과는 이렇습니다.3번째 그래프입니다. 투스카니 보다 좋은 결과군요..흐흑
고출력 112.1 최대토크 16.4 를 확인할수있습니다.
그후 약 3500km 주행후..어제 동일 기계로 측정을 해보았습니다..
근데 이상한 결과가 나오네요.. 최고출력이 105마력 까지 떨어지게 나타납니다..[ 아래 그래프중 빨간 실선입니다.] 머가 문제일까 싶어서..테스터기를 물려보니 VVT 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다고 하네요.. 그래서 바로 그 자리에서 오일을 모튤 2100 10W40 으로 교환..
그후에 측정해보니 113마력 까지 다시 정상적으로 출력이 나오는걸 확인했습니다..
네번째 그래프입니다.. 맨 아래 빨간 곡선이 오일 교환 전의 출력 곡선입니다.
가운데 그래프는 노멀상태의 출력 곡선.. 가장 상위 그래프가 ECU 튠 후의 출력 곡선이구요..
그 동안 VVT 가 오일을 가린다는 '썰'을 여기저기서 들어왔습니다.. 오일압으로 움직이는 구조라고 하더군요..
일단 위의 그래프로 오일 상태에 따른 출력 변화를 눈으로 확인할수 있어서 너무 놀랐구요..
다이나모를 측정한 곳에서는 VVT 는 10W40 이 적당하다고 하더군요...경험에서 나오는 말 같았습니다..
그러면서 VVT 의 이상을 측정할수 있는 다이나모 기계방식은 롤 방식이 아닌 휠에 기계를 장착해서 부하를 걸어줄때 측정이 가능하다는 말까지 더해가며요..
하지만 그자리에서는 그런가보다 했는데 계속 생각해보니 2가지 의문이 생기더군요..
** 의문점 #1
1차 시기 [5000km 주행 오일: 아집 EXTRA HTS 5W40] 에서 보였던 112마력의 최고출력과 16.4의 최대토크가..
2차 시기오일 교환후 [모튤 2100 10W40] 에 보여줬던 113마력의 최고출력과 거의 차이가 없는데 VVT에 적당한 오일점도가 있다는걸 확신할수 있는가...
제 생각에는 같은 조건에서 신품의 오일을 각각 넣어보며 비교해보지 않는 이상 VVT 에 가장 잘 맞는 오일의 점도를 말하기는 힘들지 않나 싶네요.. 도대체 이해가 안갑니다..요즘은 아니지만 몇년 전만해도 대부분 차량에 올라갔던 베타 엔진이 오일을 민감하게 가린다는건 ㅡ,.ㅡ 오너는 체감상 출력차이는 느끼기 힘들겠지만요..물론 여러 차를 다뤄보면서 얻은 경험에서 말한것이니 어느정도는 설득력 있는 말이라고 생각되긴합니다만..
엔진 오일의 점도와 컨디션에 따라 출력이 변하는걸 보며 오일에 따른 출력변화가 분명 존재한다는 놀라운 사실이었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5W40 에서 10W40으로 다른 점도의 오일을 넣어서 나온 결과라고 말하기에는 힘들지 않나 싶네요
** 의문점 #2
1L 에 15000원 하는 아집 합성유 오일이 어떻게 3500km 주행후 출력하강이 그래프로 나타날 만큼 성질이 변할수 있는지..
오일을 교환하게 된 이유가 오일의 점도가 변질되었다는 추측에서 교환을 하였는데.. 교환하자 바로 출력이 되돌아오는걸 확인했습니다.
이로써 출력 하강의 원인이 오일 상태에서 비롯됬다는게 확인되었구요..
다이나모를 통해 수치를 눈으로 확인하니..이런저런 새로운 사실도 알게되고 궁금증도 많아져 글 올려봤습니다
2007.01.19 00:13:02 (*.107.20.159)
진옥님 INCUS HD 스포츠 서스에 관한 정보는 12월 카비젼에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탑기어 1월호에 INCUS 부서에 대한 기사가 나와있꼬요^^
그리고 탑기어 1월호에 INCUS 부서에 대한 기사가 나와있꼬요^^
2007.01.19 00:16:27 (*.65.69.62)

검색해보니 카라이프 게시판에 글이 있더군요. 잡지를 안본지 하도 오래되어서. ㅜ.ㅜ) 몇년 사보니 그내용이 그내용이라 국내잡지를 안사봤답니다. 이번달 탑기어 하나 사봐야겠네요^^
2007.01.19 00:27:14 (*.153.125.161)

점도보다는 점도지수(Viscosity Index)가 높을수록 좋은 오일이죠^^ 주행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같은오일을 넣고도 5천타고 점도가 변하고 만키로 타도 멀쩡할수 있죠.
점도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하지만 자동차엔진에서 변수는 온도가 더 크다고 봅니다. 온도가 올라갈수록 점도가 묽게 되는 것이지요. 계란후라이할때 식용유를 생각해보면..^^
온도변화에 점도가 변하지않는 이상적인 오일은 없기때문에 비싼고가의 오일도 잦은 온도변화에 노출된다면 3500km 보다 덜 주행하였을 경우에도 점도가 변할수 있는 것이죠. 게다가 VVT가 유압식 작동이라면 non-VVT보다 오일의 작동환경이 악조건이죠.
아-그리고 이건 그냥 흘려들으시라고 하는 말입니다만 유럽브랜드 오일의 국내가격이 뻥튀기 되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확실친 않아요 ^^
점도는 공개하여도 판매상이나 브랜드모두 점도지수는 공개하지 않는것 같더군요. 제가 아는건 100%외산 합성유의 경우 VI=150정도가 TOP이지만 AMS오일의 경우 170이라고 홍보하더군요.
오너가 자신의 운전성향과 엔진오일의 스트레스를 잘 판단하여 점도가 변화하는 시점에 오일을 신속히 교환해 주는것이 베스트 컨디션을 유지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점도체크를 직접하는 것은 부정확하고 어렵지만 저같은 경우 엄지와 검지에 오일을 묻히고 힘있게 누르면서 비벼주면서(?)체크합니다. 보충용 새오일과 번갈아 두번씩 하면서 차이가 느껴지면 교환합니다.
(상당히 부정확한방법이죠!-_-ㆀ) 이때 손으로 느껴질정도로 점도에 차이가 있다면 이미 늦은 건지도 ...ㆀ^-^ㆀ
점도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하지만 자동차엔진에서 변수는 온도가 더 크다고 봅니다. 온도가 올라갈수록 점도가 묽게 되는 것이지요. 계란후라이할때 식용유를 생각해보면..^^
온도변화에 점도가 변하지않는 이상적인 오일은 없기때문에 비싼고가의 오일도 잦은 온도변화에 노출된다면 3500km 보다 덜 주행하였을 경우에도 점도가 변할수 있는 것이죠. 게다가 VVT가 유압식 작동이라면 non-VVT보다 오일의 작동환경이 악조건이죠.
아-그리고 이건 그냥 흘려들으시라고 하는 말입니다만 유럽브랜드 오일의 국내가격이 뻥튀기 되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확실친 않아요 ^^
점도는 공개하여도 판매상이나 브랜드모두 점도지수는 공개하지 않는것 같더군요. 제가 아는건 100%외산 합성유의 경우 VI=150정도가 TOP이지만 AMS오일의 경우 170이라고 홍보하더군요.
오너가 자신의 운전성향과 엔진오일의 스트레스를 잘 판단하여 점도가 변화하는 시점에 오일을 신속히 교환해 주는것이 베스트 컨디션을 유지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점도체크를 직접하는 것은 부정확하고 어렵지만 저같은 경우 엄지와 검지에 오일을 묻히고 힘있게 누르면서 비벼주면서(?)체크합니다. 보충용 새오일과 번갈아 두번씩 하면서 차이가 느껴지면 교환합니다.
(상당히 부정확한방법이죠!-_-ㆀ) 이때 손으로 느껴질정도로 점도에 차이가 있다면 이미 늦은 건지도 ...ㆀ^-^ㆀ
2007.01.19 00:28:32 (*.133.99.193)

스태빌라이저가 확실히 굵군요... VVT엔진은 매뉴얼에 기재된 점도의 오일을 써야됩니다. 투스카니 VVT의 경우도 정해진 점도가 아니면 안되게 되어있구요..VVT의 특성싱 오일로 VVT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기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 있겠죠.
2007.01.19 01:16:34 (*.208.80.117)
매뉴얼 대로 라면 여름에는 20W50 쓰라는 건데 엔진 돌아 갈까요 그리구 매뉴얼에는 연료 효율을 위해서는 5W20 5W30 쓰라는데 나참 거의 모든 점도가 표시 되어 있네요
2007.01.19 01:29:14 (*.107.20.159)
매뉴얼에 나타난
5W20 과 15W40 은 손으로 만져봐도 느낌 차이를 느낄수 있을거같습니다.
물론 매뉴얼 권장사항을 넣어줘야된다는 배지운님 의견에는 동의합니다..
점도지수에 따라 VVT 의 작동에 이상이 생긴다는 말보다는 엔진오일의 점도 상태에 따라 출력차이를 보였다는게 더 와닿는데..회원님들은 어떠신지요??
5W20 과 15W40 은 손으로 만져봐도 느낌 차이를 느낄수 있을거같습니다.
물론 매뉴얼 권장사항을 넣어줘야된다는 배지운님 의견에는 동의합니다..
점도지수에 따라 VVT 의 작동에 이상이 생긴다는 말보다는 엔진오일의 점도 상태에 따라 출력차이를 보였다는게 더 와닿는데..회원님들은 어떠신지요??
2007.01.19 02:03:52 (*.230.135.33)

제가 보기에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VVT가 오일 점도때문에..
반응이 늦어지는 듯하는데요. 그래서 오일 상태도 빨리 악화 된것
같고요.
반응이 늦어지는 듯하는데요. 그래서 오일 상태도 빨리 악화 된것
같고요.
2007.01.19 02:37:38 (*.96.191.161)

가장 적합하다는 10W40으로 아집과 동일한 키로수 3500km를 주행한뒤 출력의 변화를 다이나모를 통해서 체크를 해보면 정확하겠군요 VVT유닛이 점도의 영향을 많이받고 10W40의 오일을 선택하면 된다는 미케닉의 말도 그것으로 증명이 되는것이구요
2007.01.19 11:16:17 (*.223.79.141)

어떤 오일, 혹은 점도가 적합한지에 대해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으려면 10W40뿐만 아니라 문제가 된 AZIP HTS, 기타 다른 엔진 오일에 대해서도 한번씩이 아닌 여러번씩 동일한 출력 측정 환경에서 테스트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사용자의 조작 뿐만아니라 흡기온, 습도, 대기압등 여러 요인들의 영향을 크게 받는 다이노 장치를 항상 동일한 측정 환경으로 유지 한다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매오일에 대해 신품일때와 수천키로 주행후에 대해 모두 측정해야 하는데 시간도 많이 필요하구요. 현 상태에서 한 두가지 오일로 테스트를 더 해봤자 결과는 위에서 언급된 튜닝샵의 말처럼 '10W40은 괜찮더라' 정도의 카더라 통신밖에 나올 수 없습니다. BMW의 더블 바노스처럼 현대의 VVT(기타 모든 유압식 밸브 작동 기구)도 유압을 사용하므로 오일의 영향을 받고(어떤 점도, 오일이 적합한지는 메이커가 제시한 순정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모름) 관리가 필요하다 정도가 정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HD는 2.0보다 1.6 풀옵션 모델이 더 비싸더군요 .^^
INCUS에 대한 정보는 어디서 볼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