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잘 아는 신호에서 대기시간이 1분 이상 될 경우 시동을 끄고 있습니다.
오토인데 먼저 중립으로 기어를 옮기고 시동을 끕니다.
다시 시동하는데 연료소모가 주행중의 5초분량이라는 이야기도 있는데 12초 설이 더 맞는 것 같습니다.
시동시의 공연비를 생각하면요.
시동모터가 10년 넘게 쓴 거라 보조마그네틱을 달아주었습니다. 한겨울에도 한 번에 잘 걸립니다.
보쉬의 Start/Stop 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와 클러치 페달을 밟고 기어를 중립으로 놓았을 때,
1. 엔진이 아이들 상태이고 기어가 체결되지 않았는가?
2. 휠 스피스 센서와 안티 블락킹 시스템이 '0'을 가리키는가?
3. 다음 출발을 위한 충분한 에너지를 배터리가 가지고 있는가?
위의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면 엔진을 정지시킨다고 합니다.
클러치를 다시 밟으면 스타트모터가 동작하면서 엔진을 구동시키는 방식이네요.
여기서 질문입니다.
1. 위의 시스템은 수동기어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는데 자동기어(특히 90년도 초반의 미션이라면...)의 경우 자주 기어변속을 하면 안좋을까 염려됩니다. 하루에 몇 번 이내라면 괜찮을 듯도 싶습니다만........
2. 위 시스템에서 쓰이는 시동모터가 내구성이 특별히 좋은 제품인지, 방식자체가 다른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프리우스 현세대의 시동은 전기모터 내부에서 있어서 동력주행하는 것과 별 차이없을 정도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걸로 압니다만, 이전세대까지는 시동모터가 따로 있었는데 수명에 별 문제가 없었을까요?
신호대기 중 시동끄기에 대해서 주변사람들에게 이야기하면 대부분 위의 두 가지와 연료소모에 대해 강한 반발이나 의문을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길 가다 잠시 정차중인 차량 세 대 중 두 대는 시동이 걸린 상태이니 정말 교육이나 캠페인이 필요할 때라는 생각이 듭니다.
2010.10.18 12:49:55 (*.136.209.2)

여러가지 민감한 문제도 있고해서 간단하게나마 회신드리겠습니다.
1. 자동기어의 idle stop & go :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이를 실현하려면 최소한 자동변속기에 유압유지장치,컨트롤러가 필요합니다. 이유는 시동을 끄면 유압이 다 빠져버리고 그 상태에서 급하게 시동을 키면서 변속을 하면 내부에 무리가 오게되죠. 따라서 그동안의 아이들스탑 차량은 거의가 수동 내지는 cvt였던 것입니다.. 최근 bmw 등이 7시리즈 하이브리드를 출시하면서 이 부분을 보완했습니다.
결론을 말씀드리면 일반 오토차량으로 뒷차에 피혜를 안끼치면서 ISG(Idle Stop & Go)를 실현하려면 차에 무리가 간다.. 입니다.
2. ISG 차량의 스타트 모터 : 당연히 일반형으로 이렇게 사용하면 버텨나질 못합니다. 스타터를 만드는 메이커마다 여러 방식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강화형, 벨트형, 탠덤형.... 등등 여러 타입이 나와 있고 어느게 정답인지는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기술적으론 거의 나왔지만 차량 레이아웃/코스트와 직결되므로..) 현재 나와 있는 차량들은 거의 강화스타터라고 보시면 됩니다..
암튼 ISG의 효과는 생각보다 상당합니다. 단, 그에 부합되지 않는 하드웨어 차량으로 하려고 하면 트러블이 많을 겁니다...
ISG관련해서는 MAZDA의 방식(피스톤/크랭크 위치를 정해놓고... 등등 얘기하면 무지 복잡해지네요.. ) 처럼 시스템을 기반으로 대응하는 방식이 있고 단순히 강화 스타터에 의존하는 방식도 있지만 효과는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으므로 향후 보편화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다양한 주행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LOGIC이 만들어져 있으니 기대를 하셔도 될 것 같고... 일반차로는 하지 마세요. ^^;;
2010.10.18 13:10:22 (*.55.130.129)
가끔 멍하게 있다가 급하게 시동걸고 출발할 때 무리를 느끼긴 했습니다만,
보통은 시동걸고 10초 정도 있다가 D로 옮기고 10초 정도 후에 출발하도록 시간조절을 하는 편입니다.
신호 긴 곳은 2분 넘는 곳도 있어서 유용하리라 생각하는데,
이렇게 시간을 두고 해도 미션에 무리가 많이 갈까요?
시동모터의 경우에도 무리가 갈 것으로 예상해서 보조 마그네틱을 달았습니다. 이것이 말씀하신 강화스타터와 구조는 다를지 몰라도 스타트 모터의 부하를 많이 줄여줄 것이라 생각하는데 어떨런지요?
2010.10.18 20:25:36 (*.69.104.140)
소나타 택시모델에(YF) ISG시스템이 옵션이더군요. 오토매틱 선택시에만 가능한걸로 나와있습니다(가격표에서 우연히 봤네요)
저도 1번 비슷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소나타에는 나름대로 최신기술이 적용되는 걸까요?
2010.10.18 21:53:22 (*.152.167.61)
크랭킹 한방에 시동이 걸릴수 있도록 항시 고정된 위치에 피스톤을 위치하도록 하고, 시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슈퍼캡이 따로 존재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전에 서*대와 지멘*와 idle stop & go 시스템을 개발하던 지인한테 들은 얘기 입니다. 아울러 막히는 곳에선 하이브리드와 연비차이 없다고 하던데요.
2010.10.19 21:25:42 (*.90.247.235)

yf 택시가 아니라 k5택시 아닌가요? 암튼 택시엔 그에 걸맞는 isg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 최신 기술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