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jpg)
광유가 아무리 교환주기 잘지켜도 엔진 슬러지가 생기는 이유는 광유 특유의 왁스성분이 엔진에 남게되면 그것이 윤환되면서 찌꺼기로 쌓이면서 카본이 축적되게 됩니다. 이것은 엔진오일 교환할때 엔진오일속에 포함된 각부위에 슬러지는 그대로 쌓이게 됩니다.
그런데 합성유는 슬러지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을뿐더러 엔진내부에 쌓이는 물질들을 제거하는 청정기능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SR20 엔진사진을 보시면 바로 나옵니다.
합성유로 관리한 엔진의 경우 1만키로든 100만키로든 엔진상태는 최상입니다. ^^
비싼 합성유는 아니더라도 bp visco 7000이나 모빌1 캐스트롤 등등의 합성유로 교환주기를 잘 지키더라도
엔진은 새거와 다름이 없죠.. ^^
합성유는 어떤운행을 하든지 슬러지가 거의 생기지 않고 엔진오일 자체에 청정기능이 있어서 엔진을 깨끗하게 관리할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광유의 왁스성분을 완벽하게 제거한것이 vhvi 합성유 입니다. 왁스성분을 제거한 vhvi 합성유는 비록 석유계이긴 하지만 슬러지 발생이 전혀없고 점도지수가 높아서 pao 합성유와 성능이 비슷하거나 좋은경우가 있습니다.
페라리에 들어가는 오일도 석유계 xhvi 엔진오일이죠 점도지수가 PAO 화학합성유를 능가합니다. 요즘 엔진오일의 기술은 엔진의 발전과 함께 성능이 나날이 좋아지고 있습니다.
요즘같은 시대에 왁스성분이 제거안된 광유나 반합성유를 순정으로 쓴다는게 좋은일은 아닌거 같습니다. 합성유는 엔진과 각부분의 마모나 작동을 최상으로하고 슬러지가 낀 엔진보다는 씰이나 고무의 내구성에도 일조를 하고 엔진의 각부위의 성능을 최상으로 해주는 의미는 샤프심같은 오일통로도 다 이유가 있고 엔진 각부위의 홈에도 다 이유가 있는데 이렇게 호우닝과 밸런싱이된 엔진에 슬러지가 잔득끼면 벤츠 할아버지라고 하더라도 제대로된 엔진성능을 발휘하기 힘들고 거기다가 100만키로 무보링 광고를 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장기간 차량을 소유할 목적이면 무조건 합성유입니다. 광유 써서 나중에 오버홀 하는거 보다 처음부터 좋은 합성유리 써서 최대한 무리주지않고 관리하는게 더 좋다고 생각이 드네요
2007.03.15 02:18:13 (*.148.137.195)

[JR]합성유가 좋긴한가봅니다...비싸서 그렇지 ㅋ 현재 2만키로인데 1천,3천만 순정넣고 5천마다 모튤 300v를 썻는데 잘하는짓같습니다 다만 파산신이...
2007.03.15 06:52:38 (*.215.1.79)

마모라는 측면에서는 어떨까요? 엔진도 역시 마모성 소모품의 일부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사용을 할수록 실린더 내벽및 여러부위는 깍여 나가게 마련이고 점점 그 틈(?)이 헐거워지게 마련인데 오일의 역활중 하나가 이러한 틈새를 밀봉해주는 역활이고 오일의 슬러지? 들이 그 부위를 항시 보호막처럼 채워주는 역활도 한다는 의견도 있었거든요. 이러한 슬러지 부분이 없을때는 오일이 충분히 채워지지않은 초기시동같은 상황에선 엔진에 더 치명적인 손상을 줄수있는게 아닌지요?
2007.03.15 10:03:55 (*.98.75.90)
제가 페트로케나다 50% 만 11만킬로 쓰고 엔진 열었었습니다.
거짓말하나도 안보테고 새엔진 같았습니다. 다만 유사휘발류 넣고 달리나 엔진 날려서 뚜껑연것인데 , 사진 찾아 보고 있으면 올려드리죠.
이놈은 반합성유라 슬러지가 하나도 생기지 않은건지요?
광유 , 합성유는 슬러지완 상관없는것 같은데요. ^^
거짓말하나도 안보테고 새엔진 같았습니다. 다만 유사휘발류 넣고 달리나 엔진 날려서 뚜껑연것인데 , 사진 찾아 보고 있으면 올려드리죠.
이놈은 반합성유라 슬러지가 하나도 생기지 않은건지요?
광유 , 합성유는 슬러지완 상관없는것 같은데요. ^^
2007.03.15 19:25:21 (*.193.141.141)

페트로캐나다는 국내에 슈프림이나 씬세틱 두종류가 있는데 그중에 가장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는 슈프림 같은경우에 합성유에 속합니다. 순도99.9%의 거의 완벽에 가까운 정제능력으로 페트로캐나다 제품은 석유의 원료로 생각하시면 안되고 엔진에 필요한 엑기스만 뽑아낸 원료와 첨가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vhvi가 합성유냐 광유냐 논란이 많은데 기유의 성능이 pao 못지않고 경우에 따라서 pao를 훨씬 능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슈프림은 vhvi유로 만들어졌고 씬세틱의 경우에는 고급 합성기유와 섞여져서 좀더 고성능엔진에도 대응할수 있도록 제작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민경찬님의 모빌이 최상의 상태로 유지될수 있었던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경과입니다. 이건뭐 vhvi합성유의 지속적 사용으로 인한것입니다. 페트로캐나다는 기술력이 매우 뛰어난 회사로 알고있습니다. vhvi기유는 우리나라에서 생산하는데 그런기유와는 차원이 틀립니다. 그리고 vhvi계열에서는 기술력이 세계1~2위정도 될겁니다.^^
씬세틱은 pao와vhvi 합성유이고 슈프림은 vhvi 합성유이죠 vhvi보다 진보했다는 xhvi기유를 쓰는 쉘경우는 에스테르+pao+xhvi 3가지 기유로 되어있구요^^;
구지 일반차가 아니더라도 경주용차에 슈프림을 넣어도 별로 이상할것이 없습니다.
반합성유의 의미가 에스테르 합성유에 PAO가 섞여도 반합성유 인가요? 그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반합성유는 성능이 떨어지는 왁스성분이 제거안된경우만 반합성유라 생각하고 있고 그 이외에는 다 합성유라 생각합니다.
vhvi가 합성유냐 광유냐 논란이 많은데 기유의 성능이 pao 못지않고 경우에 따라서 pao를 훨씬 능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슈프림은 vhvi유로 만들어졌고 씬세틱의 경우에는 고급 합성기유와 섞여져서 좀더 고성능엔진에도 대응할수 있도록 제작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민경찬님의 모빌이 최상의 상태로 유지될수 있었던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경과입니다. 이건뭐 vhvi합성유의 지속적 사용으로 인한것입니다. 페트로캐나다는 기술력이 매우 뛰어난 회사로 알고있습니다. vhvi기유는 우리나라에서 생산하는데 그런기유와는 차원이 틀립니다. 그리고 vhvi계열에서는 기술력이 세계1~2위정도 될겁니다.^^
씬세틱은 pao와vhvi 합성유이고 슈프림은 vhvi 합성유이죠 vhvi보다 진보했다는 xhvi기유를 쓰는 쉘경우는 에스테르+pao+xhvi 3가지 기유로 되어있구요^^;
구지 일반차가 아니더라도 경주용차에 슈프림을 넣어도 별로 이상할것이 없습니다.
반합성유의 의미가 에스테르 합성유에 PAO가 섞여도 반합성유 인가요? 그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반합성유는 성능이 떨어지는 왁스성분이 제거안된경우만 반합성유라 생각하고 있고 그 이외에는 다 합성유라 생각합니다.
2007.03.15 19:46:52 (*.193.141.141)

김주영님 엔진오일 원유의 첨가제에 슬러지를 제거하는 청정기능은 왜 구성할까요? 그리고 주행거리가 얼마안된 외국의 수입차와 슈퍼카들은 합성유를 사용하는 차들은 슬러지 발생량이 적어서 오히려 엔진마모에 불리할까요?
제가 생각했을때 수만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엔진 각부위에 끼인 슬러지는 엔진오일의 윤활에 더 안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그 예기는 윤활력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오히려 엔진이 회전력이나 전반적으로 고르게 엔진이 마모되는데 불리하게 작용할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슬러지의 장점이라 글쎄요.. 슬러지가 정확히 엔진에 어떤면에서 장점이 많은지 설명을 안해주시면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엔진마모의 80%가 초기시동에서 일어난다 라는말은 제가 들어봤습니다. 이 경우에도 광유보다는 합성유가 더 빠른윤활과 예열이 부드럽게 되는데 도움이 됩니다. 개인적 경험으론느 시동을 걸었을때 광유는 헐거운 느낌이 많이 드는데 합성유는 저온유동성 성능이 광유보다 더 뛰어납니다. 시동후 빠른 저온유동성으로 시동후 30초면 엔진이 각부위에 적절하게 윤활이되고 열이받기까지 서행을했을때 그 부드러움과 빠른예열은 광유가 따라가지 못합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초기마모때 슬러지가 엔진마모의 완화를 해준다고 보이지는 않습니다. 슬러지로 엔진마모를 완화시켜 준다면 합성유에 청정기능을 왜 포함했을까요; 합성유나 광유나 엔진보호에 필요한 원유 + 첨가제로 이루어져 있을것입니다. 초기시동성과 저온유동성을 결정짓는건 엔진오일의 합성 기술력이 좋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했을때 수만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엔진 각부위에 끼인 슬러지는 엔진오일의 윤활에 더 안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그 예기는 윤활력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오히려 엔진이 회전력이나 전반적으로 고르게 엔진이 마모되는데 불리하게 작용할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슬러지의 장점이라 글쎄요.. 슬러지가 정확히 엔진에 어떤면에서 장점이 많은지 설명을 안해주시면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엔진마모의 80%가 초기시동에서 일어난다 라는말은 제가 들어봤습니다. 이 경우에도 광유보다는 합성유가 더 빠른윤활과 예열이 부드럽게 되는데 도움이 됩니다. 개인적 경험으론느 시동을 걸었을때 광유는 헐거운 느낌이 많이 드는데 합성유는 저온유동성 성능이 광유보다 더 뛰어납니다. 시동후 빠른 저온유동성으로 시동후 30초면 엔진이 각부위에 적절하게 윤활이되고 열이받기까지 서행을했을때 그 부드러움과 빠른예열은 광유가 따라가지 못합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초기마모때 슬러지가 엔진마모의 완화를 해준다고 보이지는 않습니다. 슬러지로 엔진마모를 완화시켜 준다면 합성유에 청정기능을 왜 포함했을까요; 합성유나 광유나 엔진보호에 필요한 원유 + 첨가제로 이루어져 있을것입니다. 초기시동성과 저온유동성을 결정짓는건 엔진오일의 합성 기술력이 좋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007.03.15 19:48:57 (*.193.141.141)

그리고 엔진오일에 들어가는 돈 아껴서 새차 산다는 분들은 말리지 않겠습니다. -_-; 저렴하고 좋은합성유로 잘 관리하면 광유보다 더 정비적으로나 교환주기에서 앞서기 때문에 구지 돈 더들어 간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