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6,042
서킷을 타지는 못했지만 한국인으로는 최초(라고 믿고 싶다)로 노르트슐라이페 카파라치 장소를 알아냈고 스파이샷도 찍었다. 참고로 링 스파이샷 별거 아니다. 위치만 알면 차려진 밥상에서 숟가락만 들면 된다. 달리진 못했어도 이것만도 대단한 일이라고 자위 중이다..
우리처럼 헛물 켠 사람들이 있긴 했다.
몇몇 사람들이 차 달리는 거 구경하고 있더라.
이중에는 애기 안고 온 애엄마도 있었다.
마쓰다 MX-5 탄다는 독일 뚱땡이(얘도 몰랐음)는
한국에서 왔다니까 말은 안 하고 표정으로 “안습”이라고 하더라.
어쨌건 오긴 온거니 구경이나 실컷 하기로.
표값은 1랩에 22유로(3만 4,410원)고 4랩은 75유로(11만 7,412원)니까
4랩짜리 끊으면 1랩 도는데 3만원이 조금 안 된다.
1랩 도는데 20km가 넘는데 이정도면 싸다고 본다.
여기를 지나면 그린 헬이 시작된다(고 한다).
역광이라서 사진이 좀 무섭게 나오긴 했다.
직선로는 까마득히 보이는 내리막에서 시작돼
어지간히 힘이 없다면 언덕에서 빌빌댈 게 틀림없다.
사진의 아우디 TT는 얼핏 봐도 200km/h이 넘는 속도인데
슬라럼 하면서 오더라. 아 이 바닥은 과연 이런 곳이구나.
단종된지 오래 전 모델이 왜 여길 달리는 걸까.
혹시 껍데기만 수프라 아닐까.
나중에 한국 와서 들으니 테스트 드라이버 훈련시키는 거란다.
근데 왜 하필 수프라로 시키나.
딱히 마땅한 스포츠 모델이 없어서 그런가.
30분 하다 보니 슬슬 성질이 난다. 이게 뭐 하는 짓인가 싶기도 하고.
심도 깊은 대화를 나눴다.
여기 말고 더 차를 잘 볼 수 있거나 카파라치들이 스파이샷 찍는 장소가 있을거라고.
그래서 찾아 나섰는데 이번에도 한 방에 찾았다.
길 찾는데 무슨 신기가 들렸나. 나의 동물적인 감각이란.
여기를 가본 사람이 있을 순 있어도
스파이샷 찍는 장소가 소개되는 되는 건 처음이 아닌가 싶다.
찾기도 쉽다.
일단 노르트슐라이페 정문에서 뉘르부르크링 쪽으로 조금만 내려오다 보면
첫 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좌회전 하자마자 바로 우측으로
올라가는 길이 있다. 좀 더 들어가면 차 한 대만 지나갈 수 있는 길이 나온다.
여기로 들어가면
저 막대기는 장식이고 그냥 걸어 들어가면 된다.
서 있는 걸 보고 마구 필링이 왔다.
여기 차가 있을 분위기가 아니거든.
아니다 다를까. 얼마 지나지 않아 대포 렌즈 들고 카메라맨 2명이 나타났다.
백발이 성성한 할아버지 카메라맨은 우리를 보더만 토요타 찍으러 왔냐고 했다.
그건 아니고 찍을 만한 곳이 있냐고 물어보니
300~400m 가면 좋은 곳이 있단다.
혹시 우리 밥벌이라서 비밀이라고 안 가르켜줄까 했는데
신입한테도 의외로 순순히 말해준다.
알고 보면 다 아는 장소일 수도.
서킷과 엄청나게 가까워졌다.
GM도 요즘 노르트슐라이페에서 열심히 한다.
나중에는 프로로타입 카마로도 봤다.
여긴 프로토타입이 주로 있는 줄 알았는데
막상 와보니 양산차도 상당히 많다.
아마 공식 사진용인데 카파라치도 이용하는 거 아닐까.
아닌 것도 있겠지만 낙서가 상당히 많다.
근데 낙서할 만하다. 저녁에 와서 담만 넘으면 아주 간단하다.
CCTV가 있는 것도 아니고. 한글은 없더라.
여기서 얼마나 죽치고 있었으면 고기까지 구어 먹었을까.
근데 먹었으면 치워야지.
이건 뭐 밥상 다 차려 있구만. 숟가락만 들면 된다.
아무나 와서 찍어서 어디든 올려주세요 분위기다.
저 문으로 내려가면 그야말로 서킷이 코앞이다.
“여기서 구경하다 골로 가도 우린 책임없다” 뭐 이런 뜻.
그럼 문이나 잘 잠가 놓던가.
생각해 보니 오버스피드로 코너 진입하다 날아가면 딱 이 자리다.
근데 펜스에 가깝게 가서 사진 찍어도 테스트 드라이버들은 신경도 안 쓰더라.
하긴 얼마나 많이 봤겠어.
장장 20km이고 더 좋은 장소도 없을듯 해서 여기서 죽치기로 했다.
이날 SLK는 정말 많았다. 대략 5~6대가 쉬지도 않고 돌았다.
곧 나올 때가 됐으니 막바지 테스트겠지.
처음에는 ‘와 SLK다’ 했는데 나중엔 식상했다.
여기는 프로토타입만 있는 게 아니라 양산차도 꽤 많이 다닌다.
그래도 자세히 보면 헬멧 쓰고 운전하거나 옆에서 노트북 만지작거리고 있다.
다수의 수프라를 비롯해 LF-A, 그리고 IS도 숱하게 지나갔다.
어느 정도는 마진을 두고 달리는 것처럼 보였다.
그런데 포르쉐는 역시 다르다.
이 911은 코너링 진입이나 빠져나가는 속도가 달랐고
달리는 자세도 남달랐다.
이날 가장 열심히 달린 차가 아닌가 싶다.
쉬지 않고 달리는 거 같아서 시간을 체크해 보니
5시 59분에 내 앞을 지나가서 6시 8분에 다시 지나갔다.
프로토타입인 것을 감안하면 양산형은 성능이 더 좋지 않을까.
이 코너는 사진으로 보는 것보다도 훨씬 험악하다.
일단 살짝 내리막에, 코너로 진입하면 좌우 바퀴에 걸리는 노면이 다르다.
지나가는 차들을 보면 서스펜션이 위아래로 요동을 친다.
노면의 그립 자체도 그렇게 좋아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여기를 지나가도 노면 있는 어려운 코너들이 이어진다.
이런데 비까지 오면 정말 헬이겠구나 싶다.
아, 여기를 어떻게 8분 안에 끊나@@
노르트슐라이페는 넓기도 넓지만 워낙 나무가 울창해 서킷 전체 모습은 알 수가 없다.
지금부터는 나의 똑딱이로 건진 주행 영상.
E 클래스 다음으로 지나간 경광등 번쩍거리는
몬데오를 끝으로 더 이상 주행하는 차가 없었다.
시간은 대략 6시 30분.
그래서 우리도 자리를 털고 일어섰다.
더 있어봐야 속만 아프고.
암만 생각해도 노르트슐라이페 스파이샷 장소를 가봤다는
기사나 게시물은 못 본 거 같아서 한국 최초라는 생각.
거기다 사진이랑 동영상도 찍었으니 나름 한 건 했다고 생각했다.
나 - “그래도 한 건 했다. 퍼블릭 데이였으면 여기 발견 못했을거잖아”
BJ - '그렇져. 여기 뭐 달려봐야 괜히 기름이나 쓰고 주행 거리 늘고 안 좋아요“
나 - “맞아. 우리 잘한거야”
이렇게 마음대로 해피엔딩으로 마무리하고 다시 숙소로.
미모의 호텔 (야간반)카운터 할머니는 우리를 반갑게 맞아줬다.
우리 - “우리 다시 왔다. 하룻밤 추가요”
할머니 - “노르트슐라이페에서 운전 잘 했나?”
우리 - “아 오늘이 퍼블릭 데이가 아니라서 못했다”
할머니 - “그럼 오늘 하루 종일 뭐했냐?”
우리 - “...”
아, 억지로 만든 좋은 기분 다 깨졌다.
그래, 여기 한 번 달려보러 온 게 목적이었지.
사실 이번 여행은 정말 제대로 된 계획도 없이 왔는데
놀랍게도 대충 생각한 스케줄이 딱딱 맞았다.
가장 결정적인 퍼블릭 데이를 몰랐던 거 빼고.
그래도 나 뉘르부르크링 다녀온 사람이야.
명색이 자동차 기자라면 노르트슐라이페는 한 번 가봐야 하지 않나?
우리처럼 헛물 켠 사람들이 있긴 했다.
몇몇 사람들이 차 달리는 거 구경하고 있더라.
이중에는 애기 안고 온 애엄마도 있었다.
마쓰다 MX-5 탄다는 독일 뚱땡이(얘도 몰랐음)는
한국에서 왔다니까 말은 안 하고 표정으로 “안습”이라고 하더라.
어쨌건 오긴 온거니 구경이나 실컷 하기로.
표값은 1랩에 22유로(3만 4,410원)고 4랩은 75유로(11만 7,412원)니까
4랩짜리 끊으면 1랩 도는데 3만원이 조금 안 된다.
1랩 도는데 20km가 넘는데 이정도면 싸다고 본다.
여기를 지나면 그린 헬이 시작된다(고 한다).
역광이라서 사진이 좀 무섭게 나오긴 했다.
직선로는 까마득히 보이는 내리막에서 시작돼
어지간히 힘이 없다면 언덕에서 빌빌댈 게 틀림없다.
사진의 아우디 TT는 얼핏 봐도 200km/h이 넘는 속도인데
슬라럼 하면서 오더라. 아 이 바닥은 과연 이런 곳이구나.
단종된지 오래 전 모델이 왜 여길 달리는 걸까.
혹시 껍데기만 수프라 아닐까.
나중에 한국 와서 들으니 테스트 드라이버 훈련시키는 거란다.
근데 왜 하필 수프라로 시키나.
딱히 마땅한 스포츠 모델이 없어서 그런가.
30분 하다 보니 슬슬 성질이 난다. 이게 뭐 하는 짓인가 싶기도 하고.
심도 깊은 대화를 나눴다.
여기 말고 더 차를 잘 볼 수 있거나 카파라치들이 스파이샷 찍는 장소가 있을거라고.
그래서 찾아 나섰는데 이번에도 한 방에 찾았다.
길 찾는데 무슨 신기가 들렸나. 나의 동물적인 감각이란.
여기를 가본 사람이 있을 순 있어도
스파이샷 찍는 장소가 소개되는 되는 건 처음이 아닌가 싶다.
찾기도 쉽다.
일단 노르트슐라이페 정문에서 뉘르부르크링 쪽으로 조금만 내려오다 보면
첫 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좌회전 하자마자 바로 우측으로
올라가는 길이 있다. 좀 더 들어가면 차 한 대만 지나갈 수 있는 길이 나온다.
여기로 들어가면
저 막대기는 장식이고 그냥 걸어 들어가면 된다.
서 있는 걸 보고 마구 필링이 왔다.
여기 차가 있을 분위기가 아니거든.
아니다 다를까. 얼마 지나지 않아 대포 렌즈 들고 카메라맨 2명이 나타났다.
백발이 성성한 할아버지 카메라맨은 우리를 보더만 토요타 찍으러 왔냐고 했다.
그건 아니고 찍을 만한 곳이 있냐고 물어보니
300~400m 가면 좋은 곳이 있단다.
혹시 우리 밥벌이라서 비밀이라고 안 가르켜줄까 했는데
신입한테도 의외로 순순히 말해준다.
알고 보면 다 아는 장소일 수도.
서킷과 엄청나게 가까워졌다.
GM도 요즘 노르트슐라이페에서 열심히 한다.
나중에는 프로로타입 카마로도 봤다.
여긴 프로토타입이 주로 있는 줄 알았는데
막상 와보니 양산차도 상당히 많다.
아마 공식 사진용인데 카파라치도 이용하는 거 아닐까.
아닌 것도 있겠지만 낙서가 상당히 많다.
근데 낙서할 만하다. 저녁에 와서 담만 넘으면 아주 간단하다.
CCTV가 있는 것도 아니고. 한글은 없더라.
여기서 얼마나 죽치고 있었으면 고기까지 구어 먹었을까.
근데 먹었으면 치워야지.
이건 뭐 밥상 다 차려 있구만. 숟가락만 들면 된다.
아무나 와서 찍어서 어디든 올려주세요 분위기다.
저 문으로 내려가면 그야말로 서킷이 코앞이다.
“여기서 구경하다 골로 가도 우린 책임없다” 뭐 이런 뜻.
그럼 문이나 잘 잠가 놓던가.
생각해 보니 오버스피드로 코너 진입하다 날아가면 딱 이 자리다.
근데 펜스에 가깝게 가서 사진 찍어도 테스트 드라이버들은 신경도 안 쓰더라.
하긴 얼마나 많이 봤겠어.
장장 20km이고 더 좋은 장소도 없을듯 해서 여기서 죽치기로 했다.
이날 SLK는 정말 많았다. 대략 5~6대가 쉬지도 않고 돌았다.
곧 나올 때가 됐으니 막바지 테스트겠지.
처음에는 ‘와 SLK다’ 했는데 나중엔 식상했다.
여기는 프로토타입만 있는 게 아니라 양산차도 꽤 많이 다닌다.
그래도 자세히 보면 헬멧 쓰고 운전하거나 옆에서 노트북 만지작거리고 있다.
다수의 수프라를 비롯해 LF-A, 그리고 IS도 숱하게 지나갔다.
어느 정도는 마진을 두고 달리는 것처럼 보였다.
그런데 포르쉐는 역시 다르다.
이 911은 코너링 진입이나 빠져나가는 속도가 달랐고
달리는 자세도 남달랐다.
이날 가장 열심히 달린 차가 아닌가 싶다.
쉬지 않고 달리는 거 같아서 시간을 체크해 보니
5시 59분에 내 앞을 지나가서 6시 8분에 다시 지나갔다.
프로토타입인 것을 감안하면 양산형은 성능이 더 좋지 않을까.
이 코너는 사진으로 보는 것보다도 훨씬 험악하다.
일단 살짝 내리막에, 코너로 진입하면 좌우 바퀴에 걸리는 노면이 다르다.
지나가는 차들을 보면 서스펜션이 위아래로 요동을 친다.
노면의 그립 자체도 그렇게 좋아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여기를 지나가도 노면 있는 어려운 코너들이 이어진다.
이런데 비까지 오면 정말 헬이겠구나 싶다.
아, 여기를 어떻게 8분 안에 끊나@@
노르트슐라이페는 넓기도 넓지만 워낙 나무가 울창해 서킷 전체 모습은 알 수가 없다.
지금부터는 나의 똑딱이로 건진 주행 영상.
BMW 해치백
토요타 수프라
닛산 GT-R
렉서스 IS
벤츠 신형 CLS
BMW 차기 M5
벤츠 차기 SLK
벤츠 ML, BMW X3, BMW 1시리즈, BMW 3시리즈, 벤츠 E 클래스
벤츠 E 클래스
BMW 1시리즈
벤츠 E 클래스
E 클래스 다음으로 지나간 경광등 번쩍거리는
몬데오를 끝으로 더 이상 주행하는 차가 없었다.
시간은 대략 6시 30분.
그래서 우리도 자리를 털고 일어섰다.
더 있어봐야 속만 아프고.
암만 생각해도 노르트슐라이페 스파이샷 장소를 가봤다는
기사나 게시물은 못 본 거 같아서 한국 최초라는 생각.
거기다 사진이랑 동영상도 찍었으니 나름 한 건 했다고 생각했다.
나 - “그래도 한 건 했다. 퍼블릭 데이였으면 여기 발견 못했을거잖아”
BJ - '그렇져. 여기 뭐 달려봐야 괜히 기름이나 쓰고 주행 거리 늘고 안 좋아요“
나 - “맞아. 우리 잘한거야”
이렇게 마음대로 해피엔딩으로 마무리하고 다시 숙소로.
미모의 호텔 (야간반)카운터 할머니는 우리를 반갑게 맞아줬다.
우리 - “우리 다시 왔다. 하룻밤 추가요”
할머니 - “노르트슐라이페에서 운전 잘 했나?”
우리 - “아 오늘이 퍼블릭 데이가 아니라서 못했다”
할머니 - “그럼 오늘 하루 종일 뭐했냐?”
우리 - “...”
아, 억지로 만든 좋은 기분 다 깨졌다.
그래, 여기 한 번 달려보러 온 게 목적이었지.
사실 이번 여행은 정말 제대로 된 계획도 없이 왔는데
놀랍게도 대충 생각한 스케줄이 딱딱 맞았다.
가장 결정적인 퍼블릭 데이를 몰랐던 거 빼고.
그래도 나 뉘르부르크링 다녀온 사람이야.
명색이 자동차 기자라면 노르트슐라이페는 한 번 가봐야 하지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