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애들 데리고 오토 캠핑 비슷한 것을 갔었습니다.
포천 근교의 지장산 계곡입니다.
서울에서 느즈막히 출발해 갔는데요, 가는 길 오는 길에 동호회 그룹 드라이빙 팀들을 꽤 많이 만날 수 있었습니다.
저야 뭐 혼자 움직이는데다 애들 태우고 가는 길이라 쉬엄쉬엄 세월아 네월아 였습니다만, 참 느낀 내용이 많아 한 줄 씁니다.
가양대교 건너 자유로에서 만난 첫번째 모 SUV 동호회... 3차선에서 규정속도 정확하게 지키면서 안전운전해 가시더군요. 무리도 않고, 중간에 차선 변경을 위해 끼어들어도 잘 넣어주고.. 차근차근 다시 행렬을 이루어 가고.. 차들은 좀 심하게 꾸민 경우도 있었습니다만(^^;) 그래도 매너는 제일 좋았습니다.
헌데, 이산포IC를 지나니 차가 꽤 밀리더군요.
처음에는 좁아지는 길 때문에 그런가보다 했더니, 모 2인승 로드스터 동호회의 그룹 드라이빙 때문이었습니다. 2차선에서 한줄로 달리시는 건 좋았습니다. 차도 다양하고.. 그런데 3/4차선이야 워낙 선데이 드라이버에 의해 속도가 느리기도 했습니다만, 1차선에서 사진 촬영을 위해 70km 정도로 서행을 하면서 2차선의 그룹 드라이빙 멤버들은 80km 정도로 역시 서행을.. ㅡㅡ;;;
차가 적은 것도 아니고, 10여대의 차량이 2차선에서 서행하는 것도 모자라 1차선에서 촬영용 차량이 서행까지 하니 일요일 점심 부근의 북적이는 자유로에 정체를 일으키더군요. 깝깝했습니다. 잠깐이기는 했지만 굳이 그걸1/2차선을 모두 차지하고 해야했는지... 주행신 촬영이라면 촬영자가 먼저 앞으로 빠지거나 맨 후미에서 요령껏 찍을 수도 있었을텐데... 무척이나 아쉬웠습니다.
그리고 오후 5시쯤이었을까, 또 다른 국산 미니밴 동호회를 오는 길 문산 나오는 국도에서 만났습니다. 여긴 무조건 1차선이더군요. 그 바람에 2차선의 느린 차들과 엉켜 국도는 당연히 지체... 나름 1/2차선을 번갈아가며 메뚜기질을 해 빠져나가려고 해도 CB로 서로 이야기를 하시는지 엄청난 블로킹이.. ㅡㅡ;;;;;;
저도 동일차종 동호회 활동을 꽤 오래동안 했었고, 주욱 이어서 달릴 때의 느낌을 모르는 것은 아닙니다만 참 갑갑했습니다. 그런 것이 멋은 아닐텐데.. 라는 생각이 계속 들기도 했구요.
이 또한 자동차 문화의 일환이라고 보면, 그나마 발전을 하고 있는 중이겠습니다만 그게 언제쯤이 될지, 이곳 테드에 오시는 분들이라도 각자의 동호회 활동하시면서 그룹 드라이빙에 대한 이야기를 꼭 해주셨으면 싶네요.
포천 근교의 지장산 계곡입니다.
서울에서 느즈막히 출발해 갔는데요, 가는 길 오는 길에 동호회 그룹 드라이빙 팀들을 꽤 많이 만날 수 있었습니다.
저야 뭐 혼자 움직이는데다 애들 태우고 가는 길이라 쉬엄쉬엄 세월아 네월아 였습니다만, 참 느낀 내용이 많아 한 줄 씁니다.
가양대교 건너 자유로에서 만난 첫번째 모 SUV 동호회... 3차선에서 규정속도 정확하게 지키면서 안전운전해 가시더군요. 무리도 않고, 중간에 차선 변경을 위해 끼어들어도 잘 넣어주고.. 차근차근 다시 행렬을 이루어 가고.. 차들은 좀 심하게 꾸민 경우도 있었습니다만(^^;) 그래도 매너는 제일 좋았습니다.
헌데, 이산포IC를 지나니 차가 꽤 밀리더군요.
처음에는 좁아지는 길 때문에 그런가보다 했더니, 모 2인승 로드스터 동호회의 그룹 드라이빙 때문이었습니다. 2차선에서 한줄로 달리시는 건 좋았습니다. 차도 다양하고.. 그런데 3/4차선이야 워낙 선데이 드라이버에 의해 속도가 느리기도 했습니다만, 1차선에서 사진 촬영을 위해 70km 정도로 서행을 하면서 2차선의 그룹 드라이빙 멤버들은 80km 정도로 역시 서행을.. ㅡㅡ;;;
차가 적은 것도 아니고, 10여대의 차량이 2차선에서 서행하는 것도 모자라 1차선에서 촬영용 차량이 서행까지 하니 일요일 점심 부근의 북적이는 자유로에 정체를 일으키더군요. 깝깝했습니다. 잠깐이기는 했지만 굳이 그걸1/2차선을 모두 차지하고 해야했는지... 주행신 촬영이라면 촬영자가 먼저 앞으로 빠지거나 맨 후미에서 요령껏 찍을 수도 있었을텐데... 무척이나 아쉬웠습니다.
그리고 오후 5시쯤이었을까, 또 다른 국산 미니밴 동호회를 오는 길 문산 나오는 국도에서 만났습니다. 여긴 무조건 1차선이더군요. 그 바람에 2차선의 느린 차들과 엉켜 국도는 당연히 지체... 나름 1/2차선을 번갈아가며 메뚜기질을 해 빠져나가려고 해도 CB로 서로 이야기를 하시는지 엄청난 블로킹이.. ㅡㅡ;;;;;;
저도 동일차종 동호회 활동을 꽤 오래동안 했었고, 주욱 이어서 달릴 때의 느낌을 모르는 것은 아닙니다만 참 갑갑했습니다. 그런 것이 멋은 아닐텐데.. 라는 생각이 계속 들기도 했구요.
이 또한 자동차 문화의 일환이라고 보면, 그나마 발전을 하고 있는 중이겠습니다만 그게 언제쯤이 될지, 이곳 테드에 오시는 분들이라도 각자의 동호회 활동하시면서 그룹 드라이빙에 대한 이야기를 꼭 해주셨으면 싶네요.
2007.06.18 18:20:38 (*.148.159.138)

몇번이고 지적해도 옳은 말씀입니다...
영주님과는 조금 다른 의견일 수도 있으나, 비슷할 수도 있겠네요...
저는 운영진으로 있을 때, 떼빙(그룹 드라이빙)을 할 대열을 조율했었습니다...
일단 10대를 기준으로 그 이하이면 선두와 후미가 조절, 그 이상이면 무조건 2개조로 나누어서 중간 집결지까지 가도록 하고(한적한 곳으로 지정), 그곳에서 타 차량들의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유들이 있게 조율했었습니다...
제가 주로 선두에 섰으며, 되도록 4차선 기준에서 1차선 및 4차선은 무조건 주행 안하기(진출입 차량들에게 무제한 방해가 되므로), 과속 안하기(선두 80이면 후미는 대략 100이더군요), 실도로 주행 시 촬영 금지 등등을 기준으로 주지 시키고 주행을 시작했었습니다...
저도 동호회를 좋아라 했어서 타 동호회 떼빙도 참 이뿌게 봐주곤 했었는데, 가끔 통솔자가 부실한 떼빙을 보면 참 거시기하더군요...(선두가 저정도밖에 못하나? 하는 생각이... ㅡ.ㅡ;;)
언제나 말하는 거지만 공도는 그야말로 모두의 것이기 때문에 공도입니다...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는 공도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범죄자라고 생각합니다...
최소한 이곳에 계시는 분들은 '범죄자'는 아니시길 바라는 맘에 한자 남깁니다... ^^;;
영주님과는 조금 다른 의견일 수도 있으나, 비슷할 수도 있겠네요...
저는 운영진으로 있을 때, 떼빙(그룹 드라이빙)을 할 대열을 조율했었습니다...
일단 10대를 기준으로 그 이하이면 선두와 후미가 조절, 그 이상이면 무조건 2개조로 나누어서 중간 집결지까지 가도록 하고(한적한 곳으로 지정), 그곳에서 타 차량들의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유들이 있게 조율했었습니다...
제가 주로 선두에 섰으며, 되도록 4차선 기준에서 1차선 및 4차선은 무조건 주행 안하기(진출입 차량들에게 무제한 방해가 되므로), 과속 안하기(선두 80이면 후미는 대략 100이더군요), 실도로 주행 시 촬영 금지 등등을 기준으로 주지 시키고 주행을 시작했었습니다...
저도 동호회를 좋아라 했어서 타 동호회 떼빙도 참 이뿌게 봐주곤 했었는데, 가끔 통솔자가 부실한 떼빙을 보면 참 거시기하더군요...(선두가 저정도밖에 못하나? 하는 생각이... ㅡ.ㅡ;;)
언제나 말하는 거지만 공도는 그야말로 모두의 것이기 때문에 공도입니다...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는 공도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범죄자라고 생각합니다...
최소한 이곳에 계시는 분들은 '범죄자'는 아니시길 바라는 맘에 한자 남깁니다... ^^;;
2007.06.18 18:24:13 (*.145.162.179)

선두에서 차선변경하려고 하면 맨 뒤에서 블로킹 해주는 걸 보면 참 한국적이에요. 情이 많다고 해야할지.. 집단이기주의라고 해야할지..
2007.06.18 18:53:26 (*.148.159.138)

둘 다라고 봐야할 거 같네요... ^^;;
제가 봤던 가장 무서운 블로킹은 폭주맨들의 사거리 블로킹 이었답니다...
폴리쑤맨님들도 손도 못대던...
세종대 입구 사거리에서 쌀벌하게 봤었죠... ㅎㄷㄷ
제가 봤던 가장 무서운 블로킹은 폭주맨들의 사거리 블로킹 이었답니다...
폴리쑤맨님들도 손도 못대던...
세종대 입구 사거리에서 쌀벌하게 봤었죠... ㅎㄷㄷ
2007.06.18 20:37:14 (*.25.141.250)

콘보이는 군에 있으면서 너무 많이 해서 별로 하고 싶지 않던데 그게 동호회에서 하면 재미있나봅니다.ㅋㅋ. 앞차 뒷차 신경 쓰려면 상당히 피곤할텐데...
2007.06.19 02:43:25 (*.182.232.143)

전에 몸담고 있던 모 동호회의 정모에 참석했다가 완전 낭패본 경험이 있습니다. 당시 CB가 장착되어 있어 켜논 상태로 그룹드라이빙을 했는데 이건 완전 난장판도 이런 난장판이 없었습니다. 쉴새없이 떠들어대는 불필요한 무전과 시내도로 주행중 정차라도 하면 어김없이 나타나는 선두권의 후진역주행.. 그 대열에 끼어있는것 자체로도 얼굴이 후끈 달아오르더군요 . 심하게 실망을 한 나머지 복귀때는 먼저 와버렸고 이후로는 모임 참석조차 하지 않습니다. 가끔 길가다 보면 매너좋은 동호회 그룹드라이빙을 보게 되는데 이런모습을 보면 저절로 입가에 웃음이 지어지더군요 ㅎㅎ
2007.06.19 09:12:56 (*.146.52.239)

가끔 출퇴근할때
대통령 혹은 총리일행들 떼빙을 보곤합니다.
잘만 뒤에 붙으면 목적지가 비슷할 경우 정말 빨리 갈 수 있... ㅋㅋㅋ
저도 그룹주행에 대해서는 좀 의아한 마음을 갖고 있습니다. 자유로같은 경우라면
소통이 별로 없을때 별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홍보나 그런 특정한 목적을
가진것도 아니고
앞뒤 신경쓰면서 우르르 갔다가 주르르 오는것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네요.
집단의식이랄지, 동질감이랄지 그런것을 고취하려는데에 효과가 있을진 모르겠으나
타인에게 끼치는 피해도 만만치 않은것 같습니다.
대통령 혹은 총리일행들 떼빙을 보곤합니다.
잘만 뒤에 붙으면 목적지가 비슷할 경우 정말 빨리 갈 수 있... ㅋㅋㅋ
저도 그룹주행에 대해서는 좀 의아한 마음을 갖고 있습니다. 자유로같은 경우라면
소통이 별로 없을때 별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홍보나 그런 특정한 목적을
가진것도 아니고
앞뒤 신경쓰면서 우르르 갔다가 주르르 오는것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네요.
집단의식이랄지, 동질감이랄지 그런것을 고취하려는데에 효과가 있을진 모르겠으나
타인에게 끼치는 피해도 만만치 않은것 같습니다.
2007.06.19 09:50:39 (*.192.187.141)

이동댓수가 많을땐 3-4대의 작은 그룹으로 나누어 중간중간 집결지에서 모이는 방식이 가장 좋은듯... 일렬로 줄줄이... 이건 서로 피곤하죠
2007.06.19 09:54:31 (*.94.41.89)

찬반 의견과는 별개로 ..작년 여름인가에 나이가 지긋히 드신 분들이 진흙좀
묻은 랜드로버 올드모델들을 데리고 삼삼오오 올림픽 대로를 달리는 풍경이
기억납니다 열지어 행렬은 아니고 각개 규정속도 맞춰서 가시는 분들이였는데
인상적이였던 이유가.. 뭐랄까...고증?..클래식한 레이벤 썬글라스의 여유있는
카키셔츠 그리고 사파리 캡과 매너있는 운전등.. 완전 반했었죠
묻은 랜드로버 올드모델들을 데리고 삼삼오오 올림픽 대로를 달리는 풍경이
기억납니다 열지어 행렬은 아니고 각개 규정속도 맞춰서 가시는 분들이였는데
인상적이였던 이유가.. 뭐랄까...고증?..클래식한 레이벤 썬글라스의 여유있는
카키셔츠 그리고 사파리 캡과 매너있는 운전등.. 완전 반했었죠
2007.06.19 17:06:18 (*.211.109.189)

떼빙... 자동차 동호회 초기에 생긴, 이제는 지양 해야할 단체행동 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이야기와는 별상관 없을지 모르지만, 얼마전 밤에 강남역-신사역 방향으로 가면서 마주친 세대의 스쿠터가 생각납니다. 한 스무살쯤이나 되었을까...세대의 이쁘장한 스쿠터에 각각 여친을 뒤에 태우고 지나가는 일행이더군요. 그간의 양아치 오토바이 족들의 만행에 길들여진 나머지 일단 눈살부터 찌푸렸습니다만..한마디로 기우였습니다. 모두 헬멧을 착용하고 얌전히 보도쪽 차도로 붙어 나란히 운행을하며 꼭 필요할때만 좌/우 깜빡이를 켜고 조심스레 끼어드는 그들을 보고 너무 이쁘다고 생각했습니다. 자연스레 저도 최대한 그들에게 위협이 되지 않으려 조심스럽게 운행을 하게 되더군요. 필요하다 싶으면 뒤차를 잠시 막아주기도(방해는 되지않는 선에서..^^;) 하였습니다. 어린 친구들이 보여주는 성숙된 느낌의 오토바이 운행과 주말에 양평국도에서 사이렌에, 앞차량에 위협적인 엔진굉음내기(후까시 라 하나요?) 무리한 끼어들기등등 온갖위협을 하며 지나가는 오토바이 무리들과 비교를 하게 되더군요. 후자들의 경우 나이를 어디로 드셨는지..ㅎㅎ
이 이야기와는 별상관 없을지 모르지만, 얼마전 밤에 강남역-신사역 방향으로 가면서 마주친 세대의 스쿠터가 생각납니다. 한 스무살쯤이나 되었을까...세대의 이쁘장한 스쿠터에 각각 여친을 뒤에 태우고 지나가는 일행이더군요. 그간의 양아치 오토바이 족들의 만행에 길들여진 나머지 일단 눈살부터 찌푸렸습니다만..한마디로 기우였습니다. 모두 헬멧을 착용하고 얌전히 보도쪽 차도로 붙어 나란히 운행을하며 꼭 필요할때만 좌/우 깜빡이를 켜고 조심스레 끼어드는 그들을 보고 너무 이쁘다고 생각했습니다. 자연스레 저도 최대한 그들에게 위협이 되지 않으려 조심스럽게 운행을 하게 되더군요. 필요하다 싶으면 뒤차를 잠시 막아주기도(방해는 되지않는 선에서..^^;) 하였습니다. 어린 친구들이 보여주는 성숙된 느낌의 오토바이 운행과 주말에 양평국도에서 사이렌에, 앞차량에 위협적인 엔진굉음내기(후까시 라 하나요?) 무리한 끼어들기등등 온갖위협을 하며 지나가는 오토바이 무리들과 비교를 하게 되더군요. 후자들의 경우 나이를 어디로 드셨는지..ㅎㅎ
2007.06.19 23:37:46 (*.237.245.113)
무리한 그룹드라이빙은 온라인 상에서도 많은 화두가 되기도 하지만 휴일날 1개의 차선을 통째로 차지한 요한한 형태의 그룹드라이빙은 정말 왕짜증이더군요. 위에서 말씀하신바와 같이 드라이빙요령을 숙지하시던가 아니면 중간중간의 집결지를 미리 정해서 최대한 교통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운행이 원만할 것입니다.
때문에 개인적으로 전 대열을 지어서 달리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언급하신 SUV동호회 처럼 중간에 끼어드는 차를 허용하는 식이면 괜찮지만 대부분 대열을 유지하면서 한차선을 이용하더라도 상당히 전투적인 운전을 하는 경우도 많이 보았습니다.
대열을 구지 고집하는 것이 기점이나 중간 기착지를 정해두고 알아서 가는 것에 비해 타인들 입장에서는 좋을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