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안녕하세요.
아래 게시물은 작년 8월에 안재용님이 올리신 것입니다.
http://www.testdrive.or.kr/?document_srl=814120
그때 안재용님이 올리신 사진 중에 하나입니다.
오프로드 하시는 분들에게 유명한 아침가리 계곡의 초입 끊어진 다리 지점입니다.
그때 저 사진을 보고 저 곳에 가보고 싶다고 결심하게 됩니다. 그리고 대충 아래와 같이 시간이 흘렀습니다.
(임도, 세미 오프, 약간 하드한 오프, 눈길 임도 주행 등의 주행 경험 및 구난 체험/목격기 등은 제외했습니다.)
2010년 08월 - 아내차 모닝을 팔자고 설득 후 중고 처분
2010년 08월 - 예산 범위 내에서 구형 쏘렌토 알아보기 시작
2010년 09월 - 예산 및 유지 비용, 온로드 주행 성능, 캠핑 용도, 오프로드(튜닝 포텐셜 포함) 주행
=> 카이런만이 진리(?)라고 확신 후 카이런으로 급선회 & 중고 입양
2010년 10월 - 기본적인 하부 보호 후 세미 오프 첫 체험. AT/MT 타이어 필요성 절감.
아침가리 끊어진 다리까지만 가겠다는 생각도 이때부터 변절되기 시작
2010년 11월 - 2010년 12월 - MT 타이어 및 휠 교체
2010년 12월 - 리프트업 및 관련 작업
그리고...
같은 장소의 어제(2/13일) 모습입니다.
지난주 동해안 지방의 폭설과 추운 날씨로 개울은 꽁꽁 얼었고 눈으로 덮여 있습니다.
토요일(2/12) 오후 늦게 도착해서 하루 지내고 그 다음날 아침입니다.
그 날 아침은 영하 17~20도 정도 되었습니다.
밤새 주차해 두었더니 차체에 묻었던 눈들도 이미 굳게 얼었습니다.
혹한기 테스트라도 하는 것 같네요. ^^
또 그리고... 끊어진 다리를 지나 구룡덕봉을 거쳐 월둔 방면 관통을 하게 됩니다.
앞에 일명 네발이가 신나게 달려가고 있습니다.
폼 잡고 사진도 한번 찍어 보니다.
제가 너무나도 좋아하는 눈꽃 풍경입니다.
이 광경을 눈으로 직접 보고 싶었던 것입니다.
사진으로 만만해(?) 보이지만 아침가리 관통 이벤트 코스 중에 하나입니다.
그런데 제가 갔던 날은 눈이 많이 쌓여서 너무 재미없게 지나가 버렸습니다.
또 다른 이벤트 코스입니다. 쉬워 보이시나요? ^^
오프로드 입문 후 가장 크게 배운게 있다면 온로드 4륜의 지식과 경험은 통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거의 정상 부근까지 올라왔습니다.
요즘은 고속도로가 되었다는 표현도 나돌 만큼 아침가리 관통 코스가 예전 같지는 않다지만
폭설 덕분에(?) 제가 목격한 구난(=자력 탈출 불가 상황) 케이스만 해도 4~5번 정도였습니다.
네비에서 경로 검색이 되는 정식 임도 구간 이면서도, 관통 까지 서너번의 이벤트 코스가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수려한 경치와 함께 명성이 자자한 것 같습니다.
작년 8월에 테드에서 보게 된 아침가리 사진 한장으로 시작된 저의 오프로드 입문은,
6개월의 준비와 연습, 그리고 시행 착오를 거쳐 아침가리 관통이라는 짜릿한 경험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이제 차에 대한 취향과 즐기는 방법도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제 카이런 오동이(=애칭)와 보낸 지난 시간동안 쌓인 전우애와 믿음은,
오동이는 제가 죽을 때 같이 폐차 시켜야 겠다는 변태스러운 생각까지 하게 만들었습니다. ㅎㅎㅎ
작년 8월 여름에 아침가리 다녀 오신 안재용님이 이 글을 보시게 될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 자리를 빌어 오프로드 입문의 촉매가 되었던 그 글을 올려주신 것에 대해서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
일상 온로드 주행이건, 서킷/와인딩 주행이건, 또 고속 영역에서의 한계 주행이건.. 그 무엇이 되었건 간에
다른 회원 여러분들도 자신의 성향과 욕구에 가장 부합되는 자동차 생활 즐기시기를 바래 봅니다.
끝으로, 테드 보드란에 걸맞게 카이런에 대한 제 평가를 오프로드 주행 관점에서 한 줄로 정리 해봤습니다.
"스포츠성에 빗대어 치환해보면, 제네시스 쿠페 3.8 만큼의 가격대비 완성도를 가지는 국산 SUV"
감사합니다.
그 이상은 아무런 오프로드 주행지식도 없고 차량의 포텐셜도 알지못했으니까요
괜히갔다가 빠지면 대책이없기에....
제가 중 고등학생때 카비젼의 부록이었던 4wd &rv에 아침가리골 소개할때는 순정으로 못넘는 코스라고했지만 요즘은 순정차들도 넘을수있게됬다는 이야기를 듣고 다시한번 도전해보고싶어졌습니다

아침가리, 구룡덕봉
두번 가본적이 있는데
재미있는 경험이었습니다.
눈이 쌓인 아침가리도 멋진데
요즘은 함께 할 사람이 없어서 못 가본지 오래네요.

요즘 아침가리는 로디우스 4륜도 통과하는 고속도로가 되었다는 소문이 -_-;;;
짚으로는 오프를 뛰어봤는데 suv로 뛰는 오프는 어떨까 궁금하네요.

우와~ 눈덮인 아침가리.. 장관입니다. . 저 땜에 오프에 입문하셨다니 책임감이 느껴지네요. 저런 눈길을 관통해주는 애마에 대한 믿음직한 느낌이 와 닿는듯 합니다. 아무쪼록 안전하고 즐거운 오프생활 즐기시기 바랍니다.

아침가리.. 스타랙스 4륜도.. 이젠 다닌답니다... ^^ ㅋㅋ 다리아래 통과도.. 하구요...
보실수 있을련지 모르겠지만.. http://minihp.cyworld.com/21201008/324239151 아침가리 영상및...
오프 영상 회질은 엄청 구림... 몇개 있습니다..

아침가리골... 예전에 쏘렌토4륜으로 다녀왔었습니다. 여름에 가면 좋지요~ 먼저 다녀온 차량문짝에 나뭇가지가 잔기스를 엄청 많이 낸걸 보고, 오디오샵에서 파란색 비닐(오디오 작업할때 붙이는 커다란 비닐)로 차량을 꽁꽁 싸메고 갔던 기억이 나네요~ ㅎㅎ

동영상 끝내줍니다... 금번투어로 배우셧겠지만... 와이어로 견인하는 부분 나올때... 즉 물웅덩이 치고 올라갈때...
선행차량 자리만 졸졸 딸라서 올라가면.. 후미차량은 대부분 올라가기가 어렵습니다... 선두 차량들이.. 땅을 다 파버려서..
후미 차량은 바닥이 걸리죠.. ㅋㅋ 선두차량 라인의 좌으로 조금식만 이동 하면서 올라가면... 후미 차량들도.. 수월하게..
잘 올라갈수 있습니다...
그나저나.. 카이런.. 성능 쥬기는군요..
정호님 글을 보면서 카이런도 다시보게 되었고 오프로드 주행도 무척 멋지게 느껴집니다.
오프로드에는 별 관심이 없었던터라.. 그것보다 주위에 오프로드 타시는 분이 없어서 그랬지 않았을까 싶네요.
근 7년간 차를 타면서 더 빠르게만 달리려했었지, 주위 아름다운 풍경을 느끼며 천천히 달리기를 했던적은 제 기억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적습니다. 매번 남겨주시는 글을 보면서 오프로드 주행도 무척 매력적으로 느껴지고 카이런의 진면목을
보게되는 느낌입니다. 설원에서의 카이런 참 멋지네요. ^^ 역시 차는 용도에 맞게 타주어야 빛이 나나 봅니다.
올려주신 동영상 잘봤습니다^^
제가 느끼기엔 전혀 고속도로가 아닌것같은데 ㅜㅜ....
눈이 없더라도 순정으로는 힘겨울것 같습니다.... 랭글러등의 차종에 기본으로 적용되는 디퍼렌셜 락이 있다면 오프로드 주파력이 상당히 올라갈것같네요....
현대의 ATT차량들보다는 파트타임 차량들이 로 기어 주파력이 더 좋고, 현대의 파트타임 4wd(테라칸, 갤로퍼2등)보다 쌍용의 파트타임4wd 주파력이 더 좋다는걸 알았습니다...
작년가을인가.... 디스커버리3를 타고 임도를 갔다가 구덩이에 빠진 일이 있었는데...너무도 쉽게 나와서 서운할 정도였습니다 ㅎㅎ;;;;운전자분이 오프로드를 워낙 잘뛰시기도했지만...차량 능력치가 어마어마 하다보니 ^^;;;;
차를 대놓는 곳이 비포장 공터라 외출을 다녀올때마다 오프로드(?) 체험을 하곤 합니다 ^^;;;
아직은 온로드가 더 좋지만, 정호님 글을 볼 때마다 오프로드의 매력에 자꾸만 끌리네요 ㅎㅎ 후에 여력이 생길 나이가 되면 저도 정호님의 글에 나왔던 여러 장소들을 찾아다닐지도 모르겠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