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신경과 운전기량에는 얼마나 많은 연관성을 가질까요?

레이서들도 스포츠맨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프로레이서들에 있어서 운동능력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특히 F1드라이버들의 경우 중력가속도의 5배에 해당하는 G값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목근육이 매우 좋아야함은 물론 콕핏의 온도가 때론 60도에 육박하는 상태로 1시간반이상을 견뎌야하고, 급제동시 혈액의 1/3에 해당하는 양이 발끝으로 몰려 머리에 피가 모자라 순간적으로 시야가 검게되는 현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밖에도 동체시력이나 극도로 타이트한 좁은 공간에서 운전하다 사고가 나거나 화재가 났을 경우 5초 이내에 차에서 빠져나와야하는 등 여느 프로 스포츠맨과 비교해도 뒤떨어지지 않는 체력과 정신력을 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투어링카의 경우 포뮬러카들에 비해서 신체적인 하드웨어에 대한 제약이 좀 약하긴 하지만 정교한 동작을 요하는 카레이싱의 특성상 매우 높은 수준의 운동감각과 이를 유지하기 위한 각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들이 취미로 즐기는 스포츠드라이빙이나 서킷데이를 제외하고라도 항상 일상적인 운전을 하는 상황에서는 프로드라이버들이 요구하는 정도의 운동능력을 반드시 필요로하진 않습니다.

물론 반사신경과 운동신경이 뛰어난 경우 고급기술에 대한 습득이 빠른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로 이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판단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시가지를 주행할 때 제동을 하는 포인트나 가속을 해야하는 상황 혹은 코너를 돌 때 진입속도등 운전은 논리적이고 냉철한 판단력과  데이터 그리고 경험에 의한 분석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앞차들의 움직임을 보고 안전한 주행이 가능한 차선을 선택하는 센스가 아무 생각없이 앞만보고 달리다가 갑자기 내 앞으로 뛰어드는 차를 보고 반사신경에 의존해서 핸들조작이나 제동을 거는 것에 비해 훨씬 더 중요하고 비중이 크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앞차가 갑자기 자기 앞에서 어떤 행위를 한 것을 탓할수만은 없다고 봅니다. 이유는 미리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분명히 존재했기 때문이지요

 

앞차들의 흐름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습니다. 갑자기 뛰어드는 차는 고속화도로에서 갑작스레 출구로 빠져나가기 위해서 급차선 변경을 할 수도 있고, 혹은 그 차앞의 차가 급정거나 택시 같은 경우 승객을 태우기 위해 멈추는 것을 피하기 위해 내 앞으로 갑자기 뛰어드는 경우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도로의 흐름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고, 이 이유와 동작을 예측할 수 있는 상황판단이 진정한 방어운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운동신경에 의존한 급조작이나 빠른 반사신경을 가지고 속도에 자만하는 경우 매우 무모한 운전이 되고 맙니다.

차를 느끼고 급격한 움직임에 대처하는 방법을 익히는 과정속에 운동신경과 반사신경은 습득속도에 있어서 차이를 줄 수 있지만 일상적인 스포츠드라이빙에서는 진입속도를 결정하고 코너에서 차의 움직임을 몸으로 느끼고 속도를 높여야할 지 줄여야할 지 판단하는 판단력과 분석능력이 운동신경보다 훨씬 상위에 있어야한다고 봅니다.

 

섬세한 조작을 방해하는 요소중에서 가장 으뜸은 바로 자신이 자신의 조작을 느끼지 못하는데서 기인합니다.

즉 자신은 부드럽게 제동을 하고 가속을 하며 기어변속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은 경우가 허다하다는 것이지요.

섬세한 조작을 익히기 위해서는 객관적으로 자신의 운전이 얼마나 거칠고 어떠한 방법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운전은 반드시 전문가에게 배우는 과정 혹은 이를 지적해줄 수 있는 교관 역할을 해줄 수 있는 그 누군가가 필요합니다.

 

드라이빙 스쿨에서 차를 빠르게 모는 방법을 가르치지만 실제로 이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차를 섬세하게 다루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이런 섬세한 운전을 강조해서 가르치는 드라이빙 스쿨은 아쉽게도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운동도 어느 경지에 이르면 자기 스스로 개발이 되고 응용을 하게 됩니다.

운전도 어느 수준에 이르면 자신이 자신의 문제점과 잘 되는 부분과 잘 안되는 부분을 나누어서 개선시킬 수 있는 여지를 가지게 되는 것이지요.

근데 이렇게 자신의 잘못된 점 특히 섬세한 운전이 갖춰지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스스로가 느끼지 않는 이상 절대로 개선될 수 없습니다.

 

섬세한 운전이 몸에 배어 있으면 스포츠 드라이빙 테크닉에 있어서 훨씬 빠른 습득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이 역시 판단력과 분석능력을 먼저 갖춘 이후의 문제이지 이를 앞서서 우선시 될 수는 없습니다.

 

판단력과 도로의 상황을 분석하는 능력에 대한 스터디가 없으면 운전을 하는 기간 내내 사고의 확률을 줄일 수 없습니다.

즉 자신의 10년 경험속에서 사고의 경험이 어떠한 것으로 기인했는지? 왜 사고가 났으며, 피할 수 있는 방법은 뭐였는지를 생각해보면 해답이 나옵니다.

 

실제로 사고 피해자였건 가해자였건 상환없이 사고의 원인이 자신에게 있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면 어떠한 동작이나 상황판단력 부족 때문에 사고가 났는지에 대한 해답이 나옵니다.

이에 대해서 자신이 피해자였다면 방어운전의 수준을 끌어올리는 노력과 대처를 해야합니다.

 

자신이 피해자였기 때문에 피할 수 없는 사고였다는 것은 신호대기중 뒤에서 들이받힌 경우와 같은 극단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습니다.

 

고급운전은 화려한 기술보다는 유연한 대처와 높은 수준의 상황판단력을 동반할 때 가능합니다.

빠르면서도 안전한 운전을 매니어들이 이상적인 운전으로 생각하는바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판단력과 상황에 대한 분석능력을 키위야 안전하고 빠른 주행이 가능해집니다.

 

-testkwon-